독립군 홍범도의 ‘공산당 이력’…육사, 흉상 이전 추진 논란

강태화, 전민구 2023. 8. 28. 00: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3월 1일 서울 태릉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독립전쟁 영웅 5인 흉상 제막식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사관생도와 참석자들. [연합뉴스]

국방부가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김좌진·홍범도·지청천·이범석 독립군 장군과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선생의 흉상을 철거하고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로 한 데 대해 거센 논란이 일고 있다. 흉상 철거는 2018년 3월 흉상이 설치된 지 5년여 만이자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78년 만에 공군의 호위를 받으며 고국으로 돌아온 지 2년 만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27일 통화에서 “홍범도 장군의 경우 지난 정부에서 육사 교내에 동상을 설치할 때부터 소련 공산당 가입 이력 등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고 밝혔다. 육군에 따르면 동상 이전은 윤석열 정부 출범 첫해인 지난해 시작한 종합발전계획의 일환으로 검토돼 왔다.

육사는 지난 25일 “생도들이 학습하는 건물 중앙현관 앞에 설치된 독립군·광복군 영웅 흉상은 위치의 적절성이나 국난 극복의 역사가 특정 시기에 국한되는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며 “자유민주주의 수호 및 한·미 동맹의 가치와 의의를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기념물 재정비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종섭 국방장관도 “공산주의 경력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흉상 철거 결정의 배경이 홍범도 장군의 공산당 가입 전력 때문임을 분명히 했다.

홍범도 장군은 1920년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 120명을 사살하는 대승을 이끌었다. 같은 해 김좌진 장군과 함께 청산리 전투에서도 일본군을 대파했다. 봉오동·청산리 전투는 지난 7일 배우자의 유해 송환 이후 합장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물적 지원으로 치러졌다.

역대 정부는 보수·진보를 가리지 않고 홍범도 장군의 공을 인정했다. 박근혜 정부는 2016년 해군의 1800t급 최신 잠수함을 ‘홍범도함’으로 명명하기도 했다.

홍범도 장군이 1927년 소련 볼셰비키당에 입당한 건 사실이다. 그러나 1937년 스탈린이 그를 일본인과 닮았다는 이유 등으로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시켰고, 홍범도 장군은 해방 이전인 1943년 카자흐스탄에서 타계했다.

홍범도 장군·우당 이회영·신흥무관학교·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 관계자들은 지난 2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군의 기원인 독립전쟁의 역사를 뒤집으려는 매우 심각하고 엄중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회견엔 이회영 선생의 손자인 이종찬 광복회장과 김좌진 장군의 손녀인 김을동 전 국회의원도 참석했다. 이 회장은 27일 이종섭 장관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에서 “민족적 양심을 저버린 귀하는 어느 나라 국방장관이냐”며 “스스로 판단할 능력이 없으면 자리에서 퇴진하는 것이 조국 대한민국을 위한 길”이라고 촉구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에 “육사 교정 항일무장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 철거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 대한민국의 뿌리가 임시정부에 있듯이 우리 국군의 뿌리도 대한독립군과 광복군에 있음을 부정하는 것인가”라며 “여론을 듣고 재고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니 부디 숙고해 주기 바란다”고 썼다.

국민의힘 소속 홍준표 대구시장도 27일 페이스북에 “항일 독립전쟁의 영웅까지 공산주의 망령을 뒤집어씌워 퇴출시키려고 하는 것은 오버해도 너무 오버한다”며 “그건 반(反)역사이고, 그렇게 하면 매카시즘으로 오해받는다”고 적었다.

정부는 홍범도 장군의 동상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의 흉상들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국방부와 육사가 잘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며 추가 언급을 자제했다.

강태화·전민구 기자 thka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