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계속되는 소화불량…갑상선 기능 이상 의심해봐야
국내 갑상선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2020년 기준 질환자가 56만2000명까지 늘었고, 갑상선 항진증 환자도 해마다 10만명당 40여명 이상으로 늘었다. 환자마다 양상은 모두 다르지만 공통점은 갑상선 호르몬 이상 분비로 인해 평소와 다른 증상을 겪기 쉽다는 것이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진대사 및 체온 조절 등을 돕는 대표적인 내분비 호르몬인 만큼 갑상선에 문제가 생기면 피로감, 이상 체온, 심장 박동 변화 등의 눈에 띄는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무심코 넘기기 쉬운 소화불량, 변비, 설사 등 소화기 계통 증상도 갑상선 호르몬의 이상으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다. 김규형 강남베드로병원 갑상선센터 원장은 “소화기 증상을 가볍게 여기는 이들 중 사실은 갑상선 기능 이상을 겪는 사례가 생각보다 많다”며 “병원에서 특별한 소화기 이상이 없다고 한다면 갑상선 기능 이상을 한 번 의심해 보는 게 좋다”고 권장했다.
목 안쪽에 위치한 갑상선은 보이거나 만져지지 않아 이상 증세를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2차 질환으로 연결될 위험이 있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는 심방세동 및 조동은 7.7배, 심부전은 2.2배나 위험도가 크다.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은 4.4배, 골절은 4.8배 더 위험하다. 저하증일 때는 허혈성 심장질환 1.8배 및 인지장애 4.6배, 치매 3.5배로 가능성이 훨씬 커진다.
두 질환은 원인 및 발생 연령대가 천차만별이지만 ‘면역체계의 오류’가 주된 이유다.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항진증은 자가 면역 질환인 그레이브스병이 주원인으로 20~40대에 주로 나타난다. 반대로 호르몬이 정상보다 결핍되는 저하증은 만성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에 의한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원인인 사례가 많으며 50~60대에서 발병 경향이 높다.
김규형 원장은 “갑상선 호르몬 이상을 빠르게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겪는 신체의 ‘불편 신호’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저하증이나 항진증 모두 특징적 증상이 있는 만큼 평소와 다른 신체적 불편감이 일종의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항진증은 주로 대사량 증가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소화기 방면으로는 장운동 증가로 인해 잦은 대변 혹은 설사가 일어나기 쉽다. 식욕이 늘지만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도 일어난다. ▲지나친 땀 분비 ▲피로감 증가 ▲맥박의 빨라짐 ▲체온 증가 ▲가려움증 ▲안구 돌출도 눈에 띄게 관찰된다. 반면 저하증은 기초대사량이 감소한다. 속이 더부룩하고 변비가 생기기 쉬운 것은 물론, 증상이 심해지면 장이 움직이지 않아 장폐색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극심한 피로 ▲체온 저하 및 심한 추위 ▲피부 건조 ▲거친 머리카락과 탈모 증상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두 질환 모두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호전될 가능성이 높다. 일차적인 갑상선 이상 유무는 혈액 검사를 통해 파악이 가능하다. 항진증은 티록신(T4), 트라이아이오딘화티로닌(T3) 호르몬 농도가 높지만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은 낮게 나타나고, 저하증은 이와 반대 양상을 보인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한 갑상선 스캔을 통해 보다 정밀한 검사가 진행될 수도 있다.
항진증과 저하증의 치료는 대부분 약물로 이루어진다. 항진증은 항갑상선제를 통한 약물 치료가 일반적이고, 이외 상태에 따라 갑상선 절제 수술이나 방사선 아이오딘(요오드)을 복용해 갑상선을 파괴하는 치료도 이뤄질 수 있다.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제 복용법으로 치료한다. 이후 주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고 약의 복용량을 확인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갑상선 치료에 대한 풍부한 임상 및 노하우를 갖춘 전문의에게 제대로 검진 및 진료를 받는 것이다.
김규형 원장은 “갑상선 질환을 평생 고생해야 하는 질환으로 여기는 이들이 많은데,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저하증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이른 시일 내 호전될뿐더러 사회생활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혹시라도 다양한 증상으로 불편을 겪었다면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보다 갑상선 기능을 체크해보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Z칼럼]한강 작가도 받지 못한 저작권료와 저작권 문제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북한강 시신 유기' 현역 장교는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아시아경제
- "수지 입간판만 봐도 눈물 펑펑"…수지 SNS에 댓글 남긴 여성이 공개한 사연 - 아시아경제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석유는 신의 선물이야"…기후대책 유엔회의서 찬물 끼얹은 사람 - 아시아경제
- 바이크로 수험생 바래다주던 송재림…"화이팅 보낸다" 격려도 - 아시아경제
- '이렇게 많은 돈이' 5만원권 '빽빽'…62만 유튜버에 3000억 뜯겼다 - 아시아경제
- "저거 사람 아냐?"…망망대해서 19시간 버틴 남성 살린 '이것'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