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운영 부정 평가 높은데 민주당 지지율도 하락세 [김성탁 논설위원이 간다]
여론조사로 본 여야의 총선 리스크
국정운영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훨씬 높은데도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역시 일부 조사에서 20%대로 떨어졌다. 호남 유권자의 규모가 전체의 10%가량이고 수도권의 호남 원적자가 20% 정도라는 점을 들어 민주당의 ‘콘크리트 지지율’ 30%가 깨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등장했다.
한국갤럽의 지난 8~10일 여론조사를 보면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35%, 부정 평가는 57%였다. 대구·경북(TK)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6%, 민주당 30%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특히 서울에서 27%를 보여 국민의힘(34%)에 뒤졌다. 민주당의 호남 지지율도 42%로 집계됐는데, 국민의힘이 TK에서 얻은 58%와 비교하면 텃밭으로 불리는 지역에서의 지지 강도가 더 약했다.
전화면접 조사 민주당 지지율 낮아
지난 14~16일 실시된 전국지표조사(NBS)는 케이스탯리서치와 코리아리서치가 했는데, 국정 운영 긍정 평가 38%, 부정 평가 54%로 나왔다. 이 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4%, 민주당 23%였다. 민주당 지지율은 서울과 인천·경기, 충청에서도 20%대 초반을 보였다. 호남에서도 41% 지지에 그쳤다. 두 조사와 달리 리얼미터가 지난 10~1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상회했다. 민주당 45.7%, 국민의힘 37.2%였다. 앞선 두 조사는 전화면접 방식이고, 리얼미터는 자동응답(ARS) 조사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조사 방법의 차이에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한다. NBS는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 여부와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한 평가 등 관련 질문 네 개를 먼저 던진 뒤 정당 지지율을 물었다. 한국갤럽은 국정 운영 지지율 관련 질문 두 개에 이어 정당 지지를 묻는다. 반면 리얼미터는 정당 지지율만 조사했다. 한 여론조사 기관 관계자는 “국정 운영을 잘못하고 있다는 답변이 높은 상황에서 해당 질문을 먼저 받은 뒤 정당 지지 여부를 답하게 되면 더 엄격하게 정당을 평가하게 된다”고 했다. 야당인 민주당에 대해서도 냉정하게 반응한다는 얘기다. 전화면접 방식의 응답률이 14~17%가량인 반면 ARS 조사의 응답률이 2.8%에 그친 것도 영향을 주는 변수로 꼽힌다.
조사별 편차가 있지만, 정부·여당이 호감을 사지 못하는 가운데 야당인 민주당도 인기를 잃어가는 현상이 포착되고 있다.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문제가 있다는 질타 여론이 있는 동시에 ‘그럼 민주당은 잘하고 있느냐’는 비판이 공존하는 셈이다.
박성민 민컨설팅 대표는 “민주당이 관심을 못 끄는 이유는 5년 만에 정권 교체를 당한 이유와 같다”며 “정책을 거칠게 다 해봤는데,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한 반성을 전혀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일부 자성의 뜻을 밝힌 게 고작일 뿐 외교·안보, 노동 정책, 공수처 및 검경수사권 조정, 탈원전 등에 대해 제대로 성찰한 적이 없고, 문재인 정부 5년에 대한 평가도 없었다”며 “정권을 빼앗긴 뒤 백서도 안 만드는 등 마치 2020년 황교안 대표의 미래통합당을 보는 느낌”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에 반기를 들지만 소속 의원들은 지역구에 내려가 ‘각자도생’을 위한 관리만 할 뿐이어서 중앙당 활동에 힘이 실리지 않는다는 평가도 당 안팎에서 나온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김봉신 메타보이스 이사는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등 여러 의혹 가운데 김남국 의원의 코인 의혹이 가장 큰 악영향을 미쳤다"며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오래 돼 상수화하긴 했지만 검찰 수사에서 큰 게 나오면 악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호남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광주에서도 전 정부에서 종합부동산세 납부자가 늘었고 경제가 안 좋아지면서 민주당에 대한 관심이 빠졌다”고 풀이했다.
지방선거, 전당대회 호남 투표율 저조
지난 총선 때 수도권 싹쓸이 이후 당 지도부에 호남 출신 인사가 포함되지 않은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서 광주의 투표율은 46.2%로, 전국 평균 투표율보다 낮았다. 지난해 8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도 광주·전남 투표율은 30%대로 매우 낮았다. 이 같은 지지세 이완은 수도권 전통 지지층의 약화로 이어질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도덕성 논란은 특히 충청에서 민주당 지지가 빠지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류된다.
민주당 강성 지지그룹의 영향으로 소장파가 소멸하다시피 하면서 이재명 대표 외에 차기 대선 주자군을 찾아볼 수 없는 당내 상황도 지지율 마이너스 요인으로 꼽힌다. 김 이사는 “야당이 된 민주당이 대선 후 조기에 지지율을 회복한 데에는 이른바 ‘개딸’ 등 강성 지지층의 영향이 컸지만, 명암이 있다”며 “강성 지지자들의 의견이 중도 성향 유권자들의 판단과 어긋날 경우 리스크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야당인 민주당이 검찰 수사 등 여권 주도 변수에 대응하는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는 것도 한계다.
■
「 국정 지지 35% 수준 고착 속 일부 조사 민주당 지지율 20%대
'텃밭' 호남서도 40%대…ARS조사는 민주당이 국민의힘 앞서
"소극적 국정 부정 평가자, 총선서 무조건 야당 찍진 않을 것"
강성 보수 어필하는 대통령 메시지 놓곤 "지지 확장전략 결여"
」
박 대표는 선거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정당 지지율보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을 찍을 것인지, 견제를 위해 야당을 찍을 것인지에 대한 조사 ▶야당이 대안인가에 대한 조사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정 운영은 부정 평가가 높은 상황이다. 박 대표는 “대선에서 윤 대통령을 찍은 사람 중에는 흔쾌히 찍은 사람과 마지못해 찍은 사람이 있을 텐데, 흔쾌히 찍은 사람들은 현 정부가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다 뒤집으니 잘한다고 답할 것”이라며 “하지만 마지 못해 찍은 이들은 정책도 뒤집어야 하지만 정치적 태도도 바뀌어야 한다고 보는데, 윤 대통령이 통합 노력을 소홀히 하고, 잘못에 대한 시인·사과도 소극적이다 보니 부정적인 평가를 보이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풀이했다.
다만 이런 국정운영 부정 평가자가 총선에서 무조건 민주당을 찍기보다 국민의힘을 찍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부정평가 수치만 보고 민주당이 안심하기는 이르다. 더욱이 갤럽 조사에서 '정치에 관심이 많다'고 밝힌 고관여층에서는 국정운영 긍정 평가가 48%로 높았다. 정치에 관심이 많거나 약간 있다고 밝힌 이들이 투표장에 더 많이 나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변수에 해당한다.
국정 안정론이냐 국정 견제론이냐를 묻는 조사에선 야당 지지 응답이 더 높은 경우가 대체로 많았지만, 일부 조사는 여야에 대한 지지도가 비슷했다. 민주당이 대안으로 인정받느냐는 조사는 실시되지 않고 있으나, 한국갤럽이 지난 6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역할 수행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적이 있다. 김 대표에 대한 부정 평가는 57%, 이 대표에 대한 부정 평가는 60%에 달했다. 이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를 부정 평가한 사람도 이 대표에 대해 후한 점수를 주지 않아 긍정과 부정이 47%로 같았다.
'이대남''이대녀' 총선서도 변수 될까
여권 역시 첩첩산중이다. 총선에서 선전하려면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이 40~45% 수준이 돼야하는데 지금 수준으로는 접전지 승리가 불투명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많다. 김 이사는 “지지율을 10%포인트 정도 높이려면 경제 이슈로 넘어가야 하는데, 고물가 등으로 실적을 보이기 쉽지 않다”며 “일본 오염수 방류 이후 자영업자·어민 등의 고충도 악재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8·15 경축사 등에서 ‘공산전체주의’ ‘반국가세력’ 등을 언급한 윤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일부 전문가는 “대통령실과 여당이 선거 전략이 없는 것 같다”며 “지지층을 확장해도 모자랄 판에 어떻게 해도 떠나지 않을 층에 어필하는 메시지만 계속 내고 있다”고 했다.
2030의 민심도 중요 변수다. 지난 대선 때 젊은 남성은 윤 대통령을, 젊은 여성은 이재명 대표를 많이 지지했다. 하지만 20대 남성을 필두로 젊은 층의 국정운영 부정평가가 매우 높다. 하지만 이들이 민주당 지지세를 강하게 보이는 것도 아니다. 젊은 층이 중시하는 이슈가 터지면 달아오를 가능성이 여전하지만, 반대로 젊은 층 투표율이 매우 낮을 경우도 선거에는 큰 영향을 미친다. 역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투표율이 높았을 때 승리한 경우가 많은데, 2030 투표율이 높았을 때였다. 민주당이 대승을 거둔 2020년 21대 총선 투표율은 66.2%였고, 민주당이 대패한 2008년 18대 총선 투표율은 46.1%였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모두에서 내년 총선 수도권 위기론이 터져 나오는 것도 이런 결과와 무관치 않다.
김성탁 논설위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 아이 예민할까 둔할까, 생후 5분 만에 알아보는 법 | 중앙일보
- 250t 순식간에 완판…구미산 '냉동김밥' 미국서 대박 무슨 일? | 중앙일보
- 봅슬레이 강한, 25년 만에 만난 생모 사망 "온갖 죄책감으로 미안" | 중앙일보
- 부여군의원 극단적 선택…부인은 72억 투자 사기 치고 잠적 | 중앙일보
- '전 펜싱 국대' 남현희 이혼 발표…동시에 새 연인 깜짝 고백 | 중앙일보
- 신혼 첫날밤 성관계 했다가…태국인 아내에 '강간' 고소 당했다 | 중앙일보
- "버스 놓치면 끝" 비장한 아침…남들 운동할 때, 난 살려고 뛴다 [출퇴근지옥②] | 중앙일보
- 韓 103건 뿐인데 10배 많다…中 단체 관광객 몰려가는 나라 | 중앙일보
- "허탈했다"…판결 오자에 2000만원 손해, 그걸 고친 대법도 오자 | 중앙일보
- 감자전 한장에 3만원?…그래도 달콤했다, 알프스서 한달 살기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