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책만 만들어봐야…실행이 중요”
Q. 폭염이 이상 기온 수준을 넘어섰다.
A. 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2022년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에 비해 1.15℃ 상승했다. 이런 상태에서 기후 위기가 점점 심화하면 향후에는 더욱 심각한 폭염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99~100% 확률로 폭염 일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Q. 폭염이 경제를 얼마나 위협하는지.
A. 폭염은 농작물 성장에 악영향을 미쳐 농업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주요 식량 작물인 쌀과 밀, 옥수수의 수확량이 줄어들면서 국제 곡물가가 상승한다. 이는 결국 식량 수입국의 높은 물가 상승 압박으로 이어진다. 또한 야외 근로자 노동생산성이 떨어지고 노동 시간 감소와 작업 일수 감소로 인해 경제성이 악화한다. 대표적인 예가 건설업계다.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철근이나 골재는 열전도율이 높아 야외 노동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물류 산업도 작업 환경 질이 떨어져 물류비가 상승한다. 특히 폭염이 가뭄과 함께 발생하면 물 부족 현상이 심화하면서 물 소비가 많은 반도체 공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Q. 기업 등 경제 주체는 폭염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A. 기업은 야외 작업 노동자 건강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충분한 그늘과 물, 휴식을 제공해야 한다. 각 산업 작업자의 폭염 노출도와 영향, 취약성 등을 고려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정부는 곡물 공급 부족이나 곡물가 상승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할 수 있도록 보다 세심한 농업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폭염은 사회·경제적 약자에게 더 가혹하다. 열악한 가옥에 거주하는 사람들일수록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같은 에너지를 소비해도 단열이 취약해 훨씬 더울 수밖에 없다. 이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대응만을 요구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의 돌봄 노력이 필요하다.
Q. 구체적인 폭염 대응 정책은.
A. 정부는 폭염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재난 관리 시스템을 작동시켜야 한다. 정부는 폭염 대피소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 다수가 폭염 대피소를 인지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폭염 대피시설 운영에 관한 지원 노력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또한 폭염은 물론이고 한파 또한 주택 단열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단열을 강화해 적은 에너지 투입으로도 냉난방 효과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발전 방식인 영농형 태양광을 설치해 화석연료 기반 발전을 줄이는 것도 기후변화 위기 대응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인터뷰 = 조동현 기자)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22호 (2023.08.16~2023.08.22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서울 노른자위 용산마저도…키움證 500억 ‘브리지론 디폴트’ - 매일경제
- 시노펙스 갑작스러운 상한가 왜?...혈액투석기 GMP 인증 성공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초전도체주 다음은 “나야 나~”...경동·휴비스 등 맥신주 급등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싼 맛 탈출, 살맛 추구’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CAR톡] - 매일경제
- 카카오페이, 글로벌 페이 도약…유럽까지 진출 - 매일경제
- ‘적자 행진’ 넷마블...신작 힘입어 반등 노린다 - 매일경제
- 정점 향하는 금리 인상 [MONEY톡] - 매일경제
- 압타바이오, 500억원 투자 유치···바이오 혹한기에도 ‘순항’ - 매일경제
- 결혼하면 손해?...신혼부부 ‘늑장 혼인 신고’ 늘자 정부 대출 요건 완화 나서 - 매일경제
- 남성 화장품 해외 진출 성공?...K뷰티 새 성공 공식 ‘세이션’ [내일은 유니콘]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