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민간 학술 조명부터 이뤄줘야"
와타나베 노부유키"민간 분야 학술 지원 필요"
1923년9월1일 일본 관동 지방에서 대지진이 일어나 10만여명이 목숨을 잃고, 200여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했지만,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 ‘방화를 저지르고 있다’ ‘무장하고 일본인을 해하려 한다’ 등의 유언비어가 퍼지면서 조선인 6000여명이 일본인 자경단에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그 내막은 베일에 싸여 지금껏 제대로 밝혀진 바가 없다. 실체적 진실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 우익단체는 희생된 한국인이 범죄 우려로 피살됐다고 주장하는 상황. 일본 저널리스트인 와나타베 노부유키는 책 ‘관동대지진 학살 부정의 진실’을 통해 100년 전 한국인의 억울한 희생을 조명한다.
와나타베 씨는 40여년의 기자생활 중 후반기 10년을 관동대지진 취재에 투신했다. 역사에 관심을 갖던 중 당시 한국인 희생에 관한 정보가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에 호기심을 갖고 취재를 시작했다. 18일 서울 중국 전태일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는 이번 책 출간을 “양심적이거나 진보적 일본인으로 한 일이 아니다”라며 “기자로서 역사적 사실을 취재한 결과”라고 밝혔다.
취재를 위해 10년 전 관동대지진 90주년을 기념해 일본 내에서 열린 각종 기획전을 찾았지만, 그곳에서 한국인 희생 정보를 찾을 순 없었다. 일부 기획전에서 조그맣게 조선인 학살 내용이 전시되기도 했지만, 한국인이 희생된 이유 관련해서는 제대로 아는 이가 없었다. “한국인이 일본인 하층민의 일감을 차지하면서 원한을 샀을 것”이란 일부 추측이 있을 뿐이었다.
와타나베 씨는 “기자는 사회가 지닌 병의 원인을 찾는 의사”라는 생각으로 취재에 임했다. 그는 자경단에 주목했다. 당시 자경단의 주축이 된 건 해외파병에서 돌아온 퇴역군인이었다. 그에 따르면 당시 군인들은 최빈곤층으로 이뤄졌으며, 다수는 시베리아 파병 경험을 지녔다. 문제는 1920년 시베리아 점령지였던 니콜라옙스키에서 당시 소련 공산군과 대한 독립군에 패한(니항 사건) 기억이 있다는 것. 당시 연합작전으로 일본 군인과 거류민 7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와타나베는 이들이 귀국해 자경단을 구성했고, 시베리아에서의 패배 기억으로 한국민을 향해 증오심을 표출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인 피살에 일본 정부 차원의 지시가 있었다는 의혹에는 선을 그었다. 그는 일본 정부 차원의 묵인은 있었으나, 직접적인 한국민 살해 지시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1923년9월1일 관동대지진 발생 당일 저녁부터 시작된 한국인 살해 피해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요코하마의 경우 “경찰서 8곳 중 7곳이 전소했고, 당시 요코하마에는 주둔한 육군 병력이 없었으며, 외부와의 통신과 교통도 차단돼 정부 영향이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체 판단은 물론 인접한 도쿄의 영향력도 미칠만한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다만 사후 묵인과 관련해서는 관련 사실을 당시 경찰이 파악했음에도 요코하마에서 체포된 일본인은 2명에 불과했다며 대다수는 살인 처벌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2019년 발표한 ‘경찰 민영화: 일본의 경찰, 조선인 학살 그리고 민간 경비 회사' 논문의 허구성도 꼬집었다. 해당 논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된 조선인이 많지 않으며, 일부 사람들은 범죄 혐의가 있기에 정당방위가 인정된다는 식의 주장이 담겨 있었다. 그는 이런 내용을 비판하며 램지어 교수가 근거로 내세운 과거 신문 기사의 허구성을 주장했다. 당시 지진으로 교통·통신이 두절되면서 부정확한 정보가 신문에 담겼고, 램지어 교수가 그중 일부만을 인용했다는 것이다. 그는 “새로 발견하거나 주장한 내용은 사실상 없다”며 “우익단체가 내세우는 주장을 짜깁기한 논문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라고 말했다.
사후 100년이 되도록 진상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사건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그는 진실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정부가 움직이기에 앞서 민간 차원의 학술 조사가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대국과 누가 옳은지 대결하기보다 상황을 객관화해서 봐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학술 컨퍼런스 포럼을 많이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Z칼럼]한강 작가도 받지 못한 저작권료와 저작권 문제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북한강 시신 유기' 현역 장교는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아시아경제
- "수지 입간판만 봐도 눈물 펑펑"…수지 SNS에 댓글 남긴 여성이 공개한 사연 - 아시아경제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석유는 신의 선물이야"…기후대책 유엔회의서 찬물 끼얹은 사람 - 아시아경제
- 바이크로 수험생 바래다주던 송재림…"화이팅 보낸다" 격려도 - 아시아경제
- '이렇게 많은 돈이' 5만원권 '빽빽'…62만 유튜버에 3000억 뜯겼다 - 아시아경제
- "저거 사람 아냐?"…망망대해서 19시간 버틴 남성 살린 '이것'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