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루베’ 한차 따는데 대기만 1시간” [공구리디스토피아②]

송금종 2023. 8. 17. 06: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사현장에 레미콘 차량이 모여있다.  사진=송금종 기자 

영화 ‘콘크리트유토피아’엔 대지진을 겪고도 무너지지 않는 아파트가 등장한다. 시멘트와 물, 모래, 자갈 등 골재를 잘 배합하면 단단하고 내구성 좋은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허구이긴 하나 지진을 견딜 만큼 안전한 아파트도 좋은 품질의 콘크리트에서 탄생한다. 실상은 다르다. 불량 골재를 쓰고, 타설 시간을 준수하지 않는다. 하자가 생겨도 눈가림하기 바쁘다. 유토피아인 줄 알았던 ‘내’ 집은 사실 디스토피아일지 모른다. 증언을 토대로 현장 부조리를 파헤쳐본다. ‘공구리’는 ‘콘크리트’(concrete)에서 나온 일본식 발음이다. -편집자 주
건축공사 표준시방서를 보면 ‘콘크리트 비빔 시작부터 타설 종료까지의 시간 한도는 바깥 기온이 25℃ 미만이면 120분, 25℃ 이상이면 90분’이다. 다만 콘크리트 온도를 낮추거나 응결을 지연시키는 등의 특별한 대책을 강구해, 책임기술자의 검토 및 확인 후 담당자 승인을 얻어 한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하절기엔 90분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게 이상적이다.
레미콘 차량이 콘크리트를 펌프차량에 옮기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붉은 배관길이는 5~60m다. 레미콘이 배관을 타고 작업 현장까지 운반된다.  사진=송금종 기자 

본지는 단시간 무더기 배차와 장시간 타설 지연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불량 문제에 주목했다. 차량이 5~10분에 한 대 꼴로 들어오는데, 앞차가 자리를 비켜주지 않는다. 테이블 회전이 느린 식당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16일 기자가 들른 현장이 그랬다. 수요가 공급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원인은 현장 상황에 있었다. 실외 공사는 펌프를 이용해 바로 타설할 수 있다. 그래서 회전도 빠르다. 업계에 따르면 차량 한 대엔 레미콘 ‘6루베’가 들어간다. ‘루베’는 사실 일본어다. 일본에서는 세제곱미터를 ‘입방미’라고 하는데, 이를 일본식으로 발음하면 ‘류우베이’다. 이게 루베로 굳어져 지금까지 현장에서 쓰이고 있다. 6루베는 레미콘으로 꽉 채운 1㎥ 상자 6개 분량을 의미한다. 양이 상당하지만 실제 비우는 데 오래 걸리지 않는다. 빠르면 5분, 보통은 10~15분이란다.
지하로 연결된 레미콘 배관. 오른쪽은 배관을 잇는 연결부위.  사진=송금종 기자 

현장에선 배관을 이용해 지하 깊숙이 레미콘을 퍼 나르고 있었다. 수십, 수백 미터 배관을 타고 운반된 레미콘을 펴 바르는 작업이 더딜수록 타설은 미뤄진다. 실내 공사는 구간에 맞게 배관도 잘라야 한다. 나사를 풀고, 배관 옮기는 데도 시간이 소요된다. 실제 타설을 멈췄다가 재개하기를 반복했다. 

운송기사는 “원래 쉬지 않고 레미콘을 따야(비워야) 하는데 현장 작업이 더디면 따는 걸 중단 한다”며 “이럴 땐 30분, 1시간도 걸린다. 늦게 온 차량은 다 비울 때까지 기다려야한다”고 말했다.

현장은 레미콘 공장에서 차로 20분 거리다. 신호를 다 무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빠르면 10~15분이면 도착한다. 그러나 대기시간이 길어 ‘하절기 90분’을 지키기가 사실상 불가능해보였다. 출차대수를 기록해봤다. 1시간에 42대. 약 2분에 한 대 꼴이다. 이 공장 일평균 출차 대수는 2000루배(333대)다. 이 공장보다 규모가 크고 차량을 더 많이 보유한 기업은 많다.

현장에서 만난 기사는 “현장에 와서 20분을 기다렸다. 대기 중인 차량이 4대다. 레미콘 회사 3곳이 오는 걸로 안다”며 “보통 오면 한 시간씩 대기한다. (이런 경우가) 흔하진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사는 “(레미콘을)상차한 지 25분, 현장 와서 대기한 지는 10분 째”라고 말했다.

차례를 기다리는 동안 운송기사는 담배를 물고, 차량 점검을 한다. 이들에겐 원치 않는 휴식이다. 벌이가 줄기 때문이다. 레미콘은 대당 7만원을 번다. 회전이 빠르면 하루 6~7대를 딴다. 여의치 않으면 2~3대가 전부다. 수리·보험 등 차량 관리비용을 고려하면 한 번이라도 더 타야하지만, 여건이 받쳐주지 못한다. 다행히 배차가 적으면 회전이 빠른 현장으로 가도록 배려해준단다.

18년 동안 업계에 근무했다는 기사는 “(현장에) 오자마자 따고, 또 가서 따고 해야 하는데 오늘처럼 일을 하면 하루에 많이 못 한다”며 쓴맛을 다셨다. 그의 한 달 운송 대수는 100~120대라고 했다.

또 다른 기사는 “차가 고장 나면 사비로 수리해야 한다. 1년 보험료 200만원, 센서 하나 고장 나도 100만 원이다”며 “일당이 많이 올랐다. 2년 전 만해도 4만원 이었다. 그래도 10만원은 받아야한다”고 말했다.

콘크리트에 가수(加水)할수록, 즉 물을 더 많이 부을수록 강도는 약해진다. 비오는 날 타설 작업을 중단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현장에서 뜻밖의 얘기를 들었다. 레미콘은 더 묽어야 한다는 것이다. 배관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머금고 있는 물기가 사라진다. 이러면 현장에선 거의 ‘긁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이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