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성의 '보호자', 도전은 통할 수 있을까 [볼 만해?]

류지윤 2023. 8. 15. 1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폭력 조직에 속해 있던 남자가 10년 만에 출소해, 딸의 존재를 알게 되고, 조직 생활을 청산하려 한다.

애써 부성애를 강조하지 않고, 어린 딸이 그저 연약한 존재로만 그려지지 않는 것도 '보호자'의 장점이다.

또 다른 아쉬움은 수혁 만큼 다른 인물들의 서사가 잘 보이지 않는다.

수혁을 노리며 폭력을 이들에게 서사를 주지 않음으로써, 공감 혹은 연민을 주지 않겠다는 연출 의도일 테지만, 이 의도가 관객들에게까지 닿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연출 데뷔작

폭력 조직에 속해 있던 남자가 10년 만에 출소해, 딸의 존재를 알게 되고, 조직 생활을 청산하려 한다. 그러나 주변인들은 그를 가만두지 않는다. 심지어 사랑하는 여자를 죽게 만들고 딸까지 데려가고 만다.

배우 정우성의 첫 장편 연출작 '보호자'는 평범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다시 폭력의 굴레에 제 발로 다시 들어가야 하는 남자의 사투를 담은 이야기다.

영화의 줄거리는 새로울 것 없다. '아저씨', '테이큰' 등 소중한 존재를 지키기 위해 폭주하는 남성이 주인공인 액션 장르 영화들과 외형을 공유한다. 정우성은 뻔하디 뻔한 소재지만, 이 안에서 폭력을 다루는 지점을 변주시켜 '폭력의 정당화'에 대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수혁(정우성 분)에게 열등감과 위기의식을 느낀 조직의 2인자 성준(김준한 분)은 , 2인조 살인청부업자 우진(김남길 분), 진아(박유나 분)에게 수혁의 살인을 의뢰한다.

우진은 어린 남학생처럼 해맑다. 남의 이야기나 아픔에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과 재미에 집중하는 인물이다. 진아는 그런 우진 곁에서 보호자처럼 파트너가 돼 준다. 수혁에게 호되게 당한 후 인질로 잡혀있는 인물은 진아가 아닌 우진이며, 그런 우진을 구하려 오토바이를 몰고 오는 것도 진아다.

수혁은 대사도 많지 않고 감정을 폭발시키지도 않는다. 이성적이며 감정을 절제하며 딸을 되찾기 위해 나아간다. 특히 차를 이용해 상대방의 폭력을 방어하는 지점이 흥미롭다. 차는 완전히 세상 밖으로 나오지 못한 수혁을 의미한다. 차는 곧 수혁의 좁은 세상이자, 방어책이다.

애써 부성애를 강조하지 않고, 어린 딸이 그저 연약한 존재로만 그려지지 않는 것도 '보호자'의 장점이다.

배우 중 가장 눈에 띄는 건 주연 정우성, 김남길이 아닌, 성준 역의 김준한이다. 쿠팡플레이 시리즈 '안나'에서 악역을 한 번 연기했던 김준한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일부러 더 거만하게 행동한다거나 지질하게 목숨을 구걸하는 성준을 오히려 매력적으로 만들었다.

조직 보스 응국 역의 박성웅은, 자신의 이미지가 계속 이런 식으로 소비되는 걸 지양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인상 깊게 다가오지도, 새롭지도 못하다. 등장할 때마다 재능이 낭비되고 있단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박유나의 연기도 아쉽다. 미쳐 날뛰는 우진 옆에서 그를 컨트롤 하는 진아의 캐릭터 성향을 감안하고 봐도 박유나의 연기는 경직돼 있고 어색하다. 한결같은 표정이 진아란 인물의 매력을 반감시킨다. 김남길과의 합도 조화롭지 못하다. 감독의 디렉션 역량을 지적하기엔, JTBC '스카이 캐슬' 이후 한 번도 눈에 띄는 연기력을 보여주지 못한 박유나다.

또 다른 아쉬움은 수혁 만큼 다른 인물들의 서사가 잘 보이지 않는다. 서사가 잘 보이지 않으며 개연성은 덜컹거린다. 우진과 진아는 왜 살인청부업자가 됐는지, 성준이 왜 이토록 수혁을 경계하게 됐는지, 조직의 보스 응국(박성웅 분)은 수혁을 계속 조직에 잡고 싶은 건지, 없애고 싶은 건지 갈피가 잡히지 않는다. 수혁을 노리며 폭력을 이들에게 서사를 주지 않음으로써, 공감 혹은 연민을 주지 않겠다는 연출 의도일 테지만, 이 의도가 관객들에게까지 닿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전반적으로 장르 영화의 관습을 뒤집겠다는 의도적 연출이 재미와 쾌감을 줄인다. 러닝타임 97분. 15일 개봉.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