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거리엔 혐오문구... 씁쓸한 '기림의날' 풍경
[이태준 기자]
▲ 2023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 장 입구에는 피해자의 인격을 모독하고 역사를 부정하는 피켓이 도로 구조물에 붙어 있었다. |
ⓒ 이태준 |
고백하건대 정부 기념사업을 중요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언제나 내게 8월 14일 기림의 날은 일본대사관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진행된 시민사회의 문화제였다. 뜨거운 태양 아래 손바닥만 한 나비 부채에 기대 2~3시간을 버텨야 했지만, "전쟁범죄 인정하라!" "전시성폭력 중단하라!" 구호를 목청껏 외칠 수 있던 곳, 피해생존자 투쟁의 상징곡인 <바위처럼>이 나오면 전부 일어나 율동을 추고, 선선히 부는 바람을 느끼며 또 운동을 결의했던 그곳이 내겐 더 익숙했다.
'함께 바꾸는 미래, 변화를 향해'라고 하지만
더욱이 현 윤석열 정부에서 기림의 날 기념식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였다. 전임 정권과 관련된 일이라면 부정으로 일관하고, 여가부 폐지에 안달이 난 정부에서 여가부 주관 행사를 유의미하게 치를 리 만무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여가부는 폭망한 잼버리를 수습하기에도 바쁜 상황이었다.
이번 기림의 날 기념식 슬로건은 "함께 바꾸는 미래, 변화를 향해"였다. 정부 행사엔 거창한 슬로건이 등장하긴 하지만, 기념식 내내 도대체 정부와 내가 '함께' 만들 '변화'의 '미래'는 무엇일까 고민하게 됐다.
기념식엔 대구에 거주하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 이용수 할머니가 참석했지만, 그에게는 짧은 인사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13일 오후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제11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나비문화제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 연합뉴스 |
이날 기념식에선 일본군'위안부' 관련 발언이 많이 나왔을까? 아니다. 김현숙 여가부장관은 이날 기림의 날 행사에 불참했는데, 차관이 대독한 발언 말고는 영상 몇 편과 노래 공연이 전부였다. 대독 발언 또한 매번 반복되는 일본군'위안부' 역사 교육의 중요성과 피해·생존자의 생활안정과 관련 연구 지원뿐이었다. 참고로 이날 김현숙 장관은 국무회의에 참석했다.
영상의 메시지도 참신하지 않았다.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의 등장 이전까지 피해생존자들이 오랫동안 피해 사실을 숨겨왔고, 8월 14일은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으로 일본군'위안부' 피해 사실이 세계에 고발됐다는 내용이었다.
왜 일본군'위안부' 여성들이 반세기 동안 침묵할 수밖에 없었는지, 도대체 여성들이 겪었던 식민지·전쟁·성 폭력은 무엇인지, 나아가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으로부터 30년이 지난 한국 사회는 사회적 배제된 존재들의 말을 제대로 듣고 있는지에 대한 역사로부터의 성찰 과제는 제시되지 않았다.
덧붙여, 1991년 8월 14일은 피해생존자가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처음 밝힌 날도 아니다. 이미 일본 오키나와에 거주하고 있던 고 배봉기 할머니를 비롯해 여러 피해생존자들은 자신이 겪었던 일본군'위안부' 피해를 밝혀왔고, 당시 한국 언론도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사를 실었다. 그렇다면 1991년 8월 14일은 그동안 피해생존자의 목소리를 듣지 못했던, 또는 외면했던 한국 사회가 반세기를 지나고 나서야 '들을 수 있었던' 참회의 날로 규정해야 마땅하다고 본다.
이미 뻔한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반복하는 기념식에 '변화'와 '미래'는 거창하다 못해 부담스럽게 느껴졌다. 피해생존자의 목소리는 듣지 않으면서, 피해생존자를 기리겠다는 정부의 기념식이 헛헛하게 느껴졌다.
피해생존자 아홉 분이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정의롭게 해결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용수 할머니는 고되지만 "먼저 떠난 언니들과의 약속이 있다"면서 자신을 불러주는 곳곳에서 "아무도 안 한다, 내가 해결하겠다"라고 투지를 불태우고 있다.
지난 30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은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의 인식을 뚫고, 세계인으로부터 공감받는 운동을 이뤘다. 식민지 성착취 문제는 국내로 국한된 것이 아닌, 오늘날 전시성폭력 여성들과 연대하며 인권과 평화의 무한한 공명을 이뤄왔다.
▲ 2023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날 기념식은 여성가족부 주최로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됐다. |
ⓒ 이태준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느 날 새벽 '납치'된 소녀상... 그 이후는 이렇습니다
- 일본에서 며칠 사이 한국인 수천 명이 죽은 사건
- 윤 대통령 "공산전체주의 세력, 늘 민주·인권·진보로 위장"
- 경상북도에서 캄보디아 국가 음원 제작, 이런 사연이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조선제일엿
- "한번도 본 적 없는 사고" 베트남 형제 사망에 혀를 찬 기능공들
- 두 아이와 떠난 46일간의 여행, 이랬습니다
- 윤 대통령은 '제왕적 대통령'으로 질주하고 있다
- "한미일, 3국 관계 강화할 '캠프 데이비드 원칙' 발표할 듯"
- LH, 철근누락에 '꼼수' 임원사퇴... "사실상 임기끝난 4명 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