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만에 조사 결과 세 번 뒤집혀…‘도덕성 누락’ LH

황의영 2023. 8. 14. 00: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무량판 아파트 전수조사 관련 기자회견에서 이한준 사장이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또다시 존폐 위기에 몰렸다. 2021년 3월 직원 땅 투기로 물의를 빚은 지 2년 반 만에 아파트 철근 누락 사태가 터지면서다. 단순히 아파트 주차장에 철근을 빠뜨린 것도 모자라 조사와 보고, 통계 누락까지 드러났다. 일각에선 LH 해체론까지 나온다.

LH는 지난 4월 인천 검단 아파트 주차장 붕괴를 계기로 2017년 이후 착공한 무량판(보 없이 기둥만으로 천장을 지탱하는 방식) 구조 아파트에 대해 3개월간 전수조사를 벌였다. 지난달 30일 발표된 조사 결과는 91개 단지 중 15곳에서 철근이 누락됐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지난 9일 무량판 아파트 10곳이 조사 대상에서 빠졌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11일엔 추가로 5곳에서 철근 누락이 확인됐다. 무량판 구조인데도 조사에서 빠진 1개 단지도 나왔다. 2주 만에 LH 조사 결과가 3번이나 뒤집힌 것이다. 결과적으로 무량판 구조 102개 단지 중 20곳에서 철근이 빠진 셈이다.

이 과정에서 보고 체계 부실도 드러났다. 특히 LH는 아파트 5곳에서 철근이 누락된 점을 알고도 ‘부실이 경미하다’는 이유로 이한준 LH 사장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김영옥 기자

LH가 ‘부실 집합소’가 된 데는 우선 조직 비대화가 꼽힌다. LH는 2009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합병해 덩치를 키웠다. 출범 당시 6000명 수준이던 직원 수는 지난 6월 기준 8885명에 달했다. 신도시 조성부터 공공주택 사업까지 독점적 권한도 주어졌다.

조직 문화도 문제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직원의 윤리의식 부족 등 LH 문화가 이번 사태를 촉발했다”고 말했다. 실제 LH가 2년 전 직원 땅 투기 논란 때도 혁신안을 내놨지만, 달라진 건 거의 없다. LH가 2021년 6월 퇴직자 취업 제한 강화를 담은 혁신안을 꺼냈지만, 지난 2년간 심사 대상자 21명 중 실제 취업이 제한된 건 1명뿐이었다. 고질적 병폐로 지목되던 전관예우를 비롯해 임직원 비위도 그대로다.

이 때문에 ‘해체 수준’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조직이 너무 비대해져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택지를 공급하는 택지공사, 주택을 공급하는 주택공사, 준공된 주택을 관리하는 주택관리공사로 분리하는 안을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반면 최명기 교수는 “조직을 분리하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조직 분리보단 조직에 끼친 손해에 대해 구상권을 청구하는 식의 처벌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LH는 쇄신안으로 인력 축소와 함께 자체 설계와 시공 권한을 줄이고 감리 기능을 떼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