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진료받은 어린이·청소년, 최근 4년새 82%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최근 4년 사이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8~2022년 ADHD 진료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 ADHD 진료를 받은 만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은 모두 4만4741명이었다.
이로부터 4년 뒤인 2022년 6∼18세 ADHD 진료인원은 8만1512명으로 2018년과 비교해 82.19%(3만6771명) 급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최근 4년 사이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8~2022년 ADHD 진료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 ADHD 진료를 받은 만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은 모두 4만4741명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3만6469명, 여자가 8272명이다.
이로부터 4년 뒤인 2022년 6∼18세 ADHD 진료인원은 8만1512명으로 2018년과 비교해 82.19%(3만6771명) 급증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6만3182명, 여자 1만8330명이다. 교육당국에 등록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올해 4월 기준 10만9천700명가량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규모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이처럼 ADHD 진료인원이 증가한 것을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인향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청소년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진단 기준은 바뀌지 않았다”며 “유병률 자체가 늘었다기보다는 질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선생님들도 ADHD가 병이고 치료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생긴 것 같고, 방송의 영향도 있어 부정적인 편견이 해소되고 있다”며 “실제로 (ADHD는) 치료받으면 증상이 많이 호전되는 등 치료의 이득이 크고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인 1000만명 시대’... 롯데·신라, 면세업 부진에 시니어 주거 사업 참전
- [R&D 금맥을 캐라]② 日 독주에 도전한 내시경, 전기연 11개 특허서 출발
- ‘22만원짜리 위스키도 오픈런’... 국산 위스키, 침체기 속 반전 드라마 썼다
- [르포] 신뢰 잃은 중고차 시장 ‘썰렁’… 인증 업체로만 몰려
- [금통위폴] 전문가 100% “2월엔 금리 내린다”… 올해 성장률 1% 중반 전망
- 50억 이상 초고가 거래 10건 중 6건은 ‘반포동‧압구정동’
- [세계 속 K컬처]⑤한식과 와인의 만남으로 프랑스 매료시킨 ‘맛있다’
- [르포] 아파트 ‘쥐떼 퇴치 대작전’...“쥐약·쥐덫으로 강력 대응” vs “죄없는 고양이 죽는다
- 48년 만에 생겼는데… 3년 만에 사라진 회계업계 최초 노동조합, 이유는
- [차세대 유니콘](34) 삼성·현대차에 AI 공정 자동화 솔루션 공급하는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