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의 이익에만 치중하더니…" 네이버·카카오 입지 흔들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글 등 미국 빅테크의 한국 정보기술(IT) 플랫폼 시장 잠식에 속도가 붙고 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국내 토종 플랫폼의 절대 강자 네이버 등이 계속 밀리는 양상이다.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총사용 시간과 활성 기기 대수 지표에서 유튜브가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앞지른 지도 오래다.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하게 된 까닭은 카카오와 네이버가 국내 시장에 안주해 눈앞의 이익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신저·음원·OTT 등 국내 플랫폼 모두 고전
구글 등 미국 빅테크의 한국 정보기술(IT) 플랫폼 시장 잠식에 속도가 붙고 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국내 토종 플랫폼의 절대 강자 네이버 등이 계속 밀리는 양상이다.
1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MAU(월간 실사용자 수)에서 카카오가 운영하는 카카오톡과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의 격차가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MAU는 한 달에 최소 1차례 서비스를 쓴 이용자 수를 뜻한다.
지난달 카카오톡은 4155만8838명의 MAU로 1위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2위 유튜브(4115만7718명)와의 차이는 40만1120명까지 좁혀졌다.
올해 들어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5개월 연속으로 감소, 지난 5월 50만명대로 좁혀진 데 이어 지난달 40만명대에 진입한 것이다. 이는 2020년 5월 스마트폰 양대 운영 체제인 안드로이드(구글)와 iOS(애플)를 통합한 모바일인덱스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소 격차다.
이 같은 변화의 열쇠는 30대 사용자의 선호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전의 연령대별 MAU를 살펴보면 유튜브는 10대 이하와 20대가, 카카오톡은 30대 이상이 선호했다. 그러나 지난 5월과 지난달에는 유튜브가 30대의 MAU 1위를 차지했다.
이런 흐름이 계속 이어진다면 올해 안에 카카오톡이 유튜브에 추월당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음원 시장에서도 유튜브는 국내 최대 플랫폼인 카카오의 멜론을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다. 지난달 국내 모바일 음원 시장 MAU에서 1위 멜론(665만1897명)과 2위인 유튜브뮤직(580만7421명)의 차이는 84만4476명까지 줄었다.
두 플랫폼의 월간 MAU 차이가 100만명 아래로 좁혀진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다. 유튜브뮤직의 사용자 수 점유율(25.3%)도 처음으로 25%를 넘어섰다.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과 소셜네트워크(SNS) 시장은 이미 넷플릭스와 메타의 인스타그램에 각각 1위를 내줬다.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월간 총사용 시간과 활성 기기 대수 지표에서 유튜브가 카카오톡과 네이버를 앞지른 지도 오래다. 지난달 국내에서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 사용 시간은 약 15억2920만 시간으로, 2위 카톡(약 5억1876만시간)과 3위 네이버(약 3억4554시간)의 각각 2.9배, 4.4배에 달했다.
활성기기대수 순위에서는 유튜브(4195만1522대), 지메일(4193만3632대), 포털 구글(4178만2931대), 크롬(4177만8247대), 구글지도(4158만5710대)가 상위권을 휩쓸었다. 카카오톡(4041만5882대)과 네이버(3959만3651대)가 그 뒤를 이었다.
웹 기반 검색엔진 시장 역시 구글의 점유율이 30%대로 올라간 반면 네이버의 점유율은 50%대로 떨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하게 된 까닭은 카카오와 네이버가 국내 시장에 안주해 눈앞의 이익에만 치중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본연의 검색 서비스 개선이나 기술 개발을 등한시하고 광고 사업을 통한 이익 창출에 골몰했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자사 상품·서비스를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하기 위해 검색 알고리즘을 조작한 혐의로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6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카카오의 경우는 지난해 10월 판교 데이터센터(IDC) 화재로 서비스가 장기간 중단된 것이 고객 이탈의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들이 온 친구남편은 성추행·불법촬영…남편은 친구와 불륜 '경악' - 아시아경제
- "살면서 가장 큰 고통 느꼈다"…日 성인배우에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얼굴이 세 배 커졌어"…멕시코 유명 여배우 충격 근황 - 아시아경제
- 네덜란드 '홍등가'에 때아닌 여성 홀로그램…이런 슬픈 사연이 - 아시아경제
- "깔보고 떠넘기는 사람 많다면…당신 회사는 썩고 있다" - 아시아경제
- "트럼프 2기, 관세 인상 땐 '오일 쇼크'급 충격…전 세계 물가 더 오른다"[인터뷰] - 아시아경제
- 외투 입다가 짬뽕 그릇 '퍽'…엉망된 벽보고 말도 없이 '쌩' - 아시아경제
- '단돈 12만 원 때문에'..서산 승용차 운전자 살인 범행 경위 '충격' - 아시아경제
- 15분 일찍 왔으니 먼저 간다는 신입사원…지적하니 "꼰대 아줌마" - 아시아경제
- "흑인이 왜 백인 아이 낳았냐" 의심커지자 친모 결국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