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합 "소양호 상류 녹조에서도 남세균 독소 검출" 주장
최근 녹조가 발생한 북한강 소양호 상류에서도 남세균 녹조 독소가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네트워크는 최근 녹조가 발생한 소양호 상류 인제대교 부근 6개 지점의 녹조 독소를 분석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 3일 소양호 상류에서 시료를 채취해 국립부경대 이승준 교수 연구팀에게 분석을 의뢰했다.
이 교수팀은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에서 사용 중인 효소 면역 측정법(ELISA)에 따라 대표적인 녹조 독소인 총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이하 MCs) 농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제대교 1-2지점에서는 MCs가 L당 300㎍(마이크로그램, 1㎍=10억분의 1g), 즉 300ppb로 가장 높게 검출됐다.
또, 관대리 채수 지점에선 100.29ppb, 인제대교 1지점에선 40.2ppb가 검출됐다고 환경운동연합은 설명했다.
미국 EPA는 물놀이 금지 가이드라인으로 MCs 8ppb로 설정하고 있는데, 인제대교 2지점은 이 기준의 37.5배, 관대리는 12.53배, 인제대교 1은 5.02배 수준이었다.
또, 미국 오하이오주는 20ppb 이상이면 시민들에게 아예 ‘접촉하지 말 것(No Contact)’을 규정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보도자료에서 "같은 독성 녹조 문제에 대해 소양호와 낙동강에서의 행정기관 대응이 현저히 다르다는 점을 주목한다"고 밝혔다.
소양호의 경우 지난달 29일부터 관계 당국에서 녹조 방제 활동을 벌였다. 녹조 제거선 투입에 이어 사람이 직접 들어가 수면에 흡착포를 부착해 수거하거나 뜰채 등으로 직접 녹조 제거 작업을 벌였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사실상 전 구간이 상수원에 해당하는 낙동강의 경우 매년 녹조가 창궐하고 있지만, 환경부와 지자체 등에서 적극적인 녹조 제거 활동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0여 일 동안 소양호 수위는 변화 없이 거의 정체되면서 녹조가 발생했다"면서 "영양염류 유입과 댐으로 인한 물의 정체가 겹치면 어디든 녹조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댐과 보는 명칭만 다를 뿐 똑같은 구조이고,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되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소양강댐은 홍수 방지, 용수 공급 등 편익이 있지만, 낙동강의 8개 보는 가뭄과 홍수 예방에는 도움이 안 되고, 수질·수생태계 악화 등 비용만 발생할 뿐이어서 녹조 예방을 위해 4대강 보 수문을 활짝 열어야 한다고 환경운동연합은 요구했다.
한편, 제6호 태풍 '카눈'이 북상하면서 강원 지역에도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태풍이 지나가면 소양호 녹조는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소양강댐 앞의 경우 수심이 100m 이상으로 깊고, 영양염류 농도도 낮아 녹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작다.
소양호에서도 1980~90년대에는 남세균 녹조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오염을 일으키던 가두리 양식장을 철거하면서 녹조가 뜸해졌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수홍, 막냇동생 증언에 흐느껴"…다음 재판, 모친이 법정 선다 | 중앙일보
- 류호정에 “한동훈과 싸우자”…화제의 설전 계산한 기획자 | 중앙일보
- 위험한 이안류에 뛰어들었다…70대 구한 '삭발투혼' 여자 유도국대 | 중앙일보
- 만취 여중생 무인빨래방 난동..."판사 앞에서 좀 울면 그만이야" | 중앙일보
- "텐트서 렌즈가 번쩍"...해변가 비키니 여성 불법촬영 사진 쏟아졌다 | 중앙일보
- 피해자 뇌사 빠졌다…"롤스로이스남, 한번도 상태 묻지 않아" | 중앙일보
- 제품 뒷면만 보면 알 수 있다, 치매·암 부르는 ‘악마의 식품’ | 중앙일보
- 새벽이면 칼 들고 윗집 찾아갔다…CCTV 찍힌 20대 여성이 한 짓 | 중앙일보
- 윤도현, 암 투병 중이었다…"3년 치료 끝에 이틀 전 완치 판정" | 중앙일보
- 여성대원 앞 홀딱 벗고 원샷…일본 소방서 엽기 '알몸 회식'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