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한 판 1만 원' 시대 온다... '달걀 수급 충격' 뒷짐 진 정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로 계란 공급이 30% 급감할 거라는 '달걀 수급 충격'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안두영 대한산란계협회장은 "계란 공급이 30% 넘게 줄어 한 판 가격이 1만 원을 넘을 경우 서민 가구와 물가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며 "사육면적 확대 적용을 코앞에 두고 나온 보완책이 계란 공급 충격을 얼마나 불식시킬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육면적 확대 발표 4년 지났지만
보완책 없이 이제야 실태조사
계란 공급 30% 급감 우려 계속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로 계란 공급이 30% 급감할 거라는 '달걀 수급 충격'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작 정부는 5년 넘게 손 놓고 있다가 이제야 실태조사에 나섰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산하 기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달 ‘산란계 사육면적 개정에 따른 국내 농가 대응 실태·파급 효과 및 국외 사례 조사’ 연구용역을 체결했다. 산란계 사육면적을 마리당 0.05㎡에서 0.075㎡로 확대하기로 2019년 7월 발표한 축산법 시행령 적용(2025년 9월 1일)을 앞두고, 농가의 시설 변경 계획과 계란 생산량·가격 변화 예측 등에 나선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계란 수급 영향이 얼마나 될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당 결과는 올해 11월에 나온다. 앞서 국립축산과학원은 용역공고에 “산란계 사육수와 계란이 30% 이상 감소해 계란 수급 부족과 가격 상승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적었다.
산란계 농가는 '뒷북 대응'이라고 비판한다. 농가가 고사 위기에 빠질 것이란 우려를 수년째 제기했다는 것이다. 현 속도라면 관련 대책은 사육면적 확대 적용을 1년여 앞둔 내년 상반기에나 나올 가능성이 높다. 안두영 대한산란계협회장은 “계란 공급이 30% 넘게 줄어 한 판 가격이 1만 원을 넘을 경우 서민 가구와 물가에 미칠 영향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며 “사육면적 확대 적용을 코앞에 두고 나온 보완책이 계란 공급 충격을 얼마나 불식시킬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농가가 뒤늦은 대책에 따라 부랴부랴 전환에 나선다 해도 ‘승자 없는 게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미진한 터라, 큰 폭으로 뛸 계란 가격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농가의 경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동물복지 기준 강화 전 사회적 합의 마련에 상당한 시간을 쏟은 선진국과 달리, 기준만 세워 놓고 그에 따른 부담은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떠미는 형국이다.
그 피해와 혼란은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이혜원 한국동물복지연구소장은 “대책 없는 동물복지는 큰 반발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동조직위원장에 장관만 셋인데… 누구도 책임지지 않은 잼버리
- "운동하던 아들, 경찰에 끌려가"... '흉기 난동' 오인 신고 피해
- '우아한 제국 '이상보 "마약 투약 누명, 많이 힘들었지만 버텼다"
- 자이언트 핑크♥한동훈 "한 달 수입 1,500만 원, 집안 곳곳 현금으로 보관" ('쩐생연분')
- 한국 양궁, 42년 만에 남녀 개인전 '노메달'
- 푸바오의 쌍둥이 동생들 구별 방법..."등 무늬가 달라요"
- "김은희 작가에 졌다" '악귀' 오정세가 염해상을 만난 방법
- "진짜 20만회 접어도 멀쩡하다니" 한 유튜버가 증명한 '갤럭시Z플립5'의 튼튼함
- "설마 잡히겠어?"... 54명 검거돼도 속수무책 번지는 '살인예고'
- 김은경 子 "시부모 돌보며 두 아이 키운 어머니 삶 부정당해"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