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민호의 레저터치] 해녀 특공대
영화 ‘밀수’가 흥행몰이 중이다. 류승완 감독의 새 범죄영화라지만, 여행기자로서 관심 가는 대목은 따로 있다. 해녀다. 해녀가 밀수하는 이야기라니. 영화는 실제 사건을 소재로 삼았다고 했다. 얼마나 사실일까.
우선 서해 해녀. 해녀가 제주도에만 있는 줄 아는 사람에게 서해 해녀는 낯설 테다. 해녀는 전국 어느 바다에도 있다. 원정 물질 나왔던 제주 해녀가 정착하면서 육지 해녀가 시작됐다. 제주 바깥으로 물질 나간 해녀를 ‘출가 해녀’라 한다.
출가 해녀는 러시아·중국·일본에도 진출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넘어가려는 해녀가 일단 집결했던 아지트가 부산 영도다. 그 내력이 이어져 현재 영도 인구의 약 3분의 1이 제주도 출신이다. 삼척·울진·포항 같은 동해 남부 해안에도 해녀가 많다. 강원도 삼척으로 물질 나왔던 한 제주 해녀가 정착해 낳은 아들이 마라토너 황영조다. 황영조 선수의 가공할 폐활량은 해녀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다음으로 밀수꾼 해녀. 류승완 감독은 인터뷰에서 “군산에 해녀가 밀수에 개입했었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사실이다. 출가 해녀 중 일부가 밀수에 가담했었다. 1950년대 일본에서 들어오는 배가 밀수품을 실어 날랐는데 1960년대 세관 감시가 심해지자 밀수품을 바다에 던져놓고 나중에 수거하는 신종 수법이 등장했다. 이때 투입된 해녀를 ‘해녀 특공대’라 불렀다. 1970년대 보도에 따르면 영도의 한 해녀 특공대 조직이 7년간 약 5억원어치 물건을 밀수했었다고 한다. 영화에선 3억원어치 다이아몬드가 나온다.
영화에서 해녀들은 자주 “삼촌”을 부른다. 제주 화법에서 비롯된 호칭이다. 제주에선 남자든 여자든 나이가 많으면 다 삼촌이다. 영화에 등장한 해녀 복장도 제주 해녀 복장을 따랐다. 1980년대 초반 고무 잠수복이 나오기 전까지 제주 해녀는 무명으로 지은 잠수복 ‘물소중이’를 입고 바다에 들어갔다.
해녀에게 가장 중요한 장비는 테왁이다. 테왁은 물질 나간 해녀의 튜브이자 표지판이다. 물에 들어간 해녀가 수면에 뜬 테왁을 보고 올라온다. 무엇보다 테왁은 해녀에게 신성한 존재다. 옛날에는 엄마 해녀가 해녀를 시작하는 딸에게 테왁을 선물했다. 딸을 해녀로 인정하는 일종의 증표였다.
사람은 숨을 쉬어야 살지만 물질 나간 해녀는 숨 쉬면 죽는다. 바다에서 숨을 죽여 숨을 지켰던 해녀가 바다 밖으로 나와 숨을 되살리는 소리가 ‘숨비소리’다. 호이익호이익, 이 숨비소리에 해녀의 기구한 삶이 들어있다. ‘제주해녀문화’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혹 오해하실까 덧붙인다. 영화 ‘밀수’는 해녀를 밀수꾼으로 몬 영화가 아니다. 해녀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한 영화다. 보다 경쾌하게 살짝 짓궂게.
손민호 레저팀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현역 피해자 도운 18세 학생 "지혈하는데 칼부림범 달려왔다" [영상] | 중앙일보
- "치욕" 운운 3억 다 챙긴 김은경..."그런 文알박기 100명 더 있다" | 중앙일보
- 삼전 바닥 맞힌 애널리스트 “주가 더 간다, 지금 담아라” | 중앙일보
- 녹취 들은 전문가 "주호민 억울할 것…사과할 사람은 아내" | 중앙일보
- "진짜 천송이 같네"…맨시티 홀란 사인 받고 소리친 전지현 | 중앙일보
- 그 식당 한국말은 "없어요"뿐…전세계 이런 차이나타운 없다 | 중앙일보
- '일본판 주민등록증' 18만원 준다는데…기시다 최저 지지율, 왜 | 중앙일보
- 선글라스·후드티로 가리고…도망가는 사람들 쫒아 칼 휘둘렀다 | 중앙일보
- 오리역 이어 잠실역까지…온라인서 기승 부리는 '살인예고글' | 중앙일보
- 캠핑 바비큐에 스릴만점 루지…한여름 스키장, 의외의 놀거리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