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에서 '개 진찰료' 22배차…반려인들 "진료비 표준화 필요"

나상현 2023. 8. 3. 18: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의사가 반려동물을 진료하는 모습. 뉴스1

개 초진 진찰료가 서울 내에서 최대 22배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진료 항목인데도 지역 간 또 지역 내에서 동물 병원 진료비가 큰 차이를 보였다. ‘부르는 게 값’인 동물 병원 진료비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3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개의 초진 진찰료는 전국 평균 1만840원, 입원비(중형견 기준)는 6만540원, 종합백신은 2만5991원으로 나타났다. 고양이의 경우 전국 평균 초진 진찰료는 1만889원이며, 입원비는 7만2718원, 종합백신은 3만9610원으로 집계됐다.


충남-세종 1.9배 차이…지역 내 격차도 다양


동물병원 진료비가 지역마다 들쑥날쑥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개 초진 진찰료를 기준으로 충남 지역은 평균 1만3772원인 반면, 세종은 평균 7280원이었다. 약 1.9배 차이다. 중형견 하루 입원비는 울산이 6만7608원으로, 세종(4만5200원)의 1.5배 수준이었다. 개 종합백신은 최대 1.4배, 엑스선 검사비는 최대 1.6배 차이가 나타났다.
정근영 디자이너
같은 지역 내에서도 가격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개 초진 진찰료는 최저 3300원에서 최고 7만5000원으로 22배가 넘게 차이가 났다. 인천(16.7배)·경기(13.3배)·경남(12배)도 가격 차이가 컸다. 격차가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로 1.9배(최저 7700원, 최고 1만5000원)였다.

“규모·전문성 차이” vs “그래도 너무 제각각”


동물의료업계는 “임대료·보유 장비·직원 수 등 동물병원 규모와 사용 약품, 개별 진료에 대한 전문성 등을 고려해 진료비를 정하기 때문에 가격 편차가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반려인들은 ‘부르는 게 값’인 동물병원 진료비가 표준화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섯살 비숑을 반려견으로 둔 오모(33)씨는 “좋은 치료를 받을 수 있다면 큰 금액도 쓸 수 있지만, 같은 수준의 진료인데도 동물병원마다 차이가 너무 크다 보니 어느 수준이 적정한지 알기 어려워 답답하다”고 말했다. 세살 된 고양이와 사는 이모(32)씨도 “바가지 걱정 없이 아무 병원에나 가도 진료비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지역별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을 알 수 있는 '진료비 현황 공개 누리집' 화면. 홈페이지 캡처


표준수가제 재도입 연구용역…‘시장경쟁 저해’ 우려도


이에 정부는 올해까지 반려동물 진료 항목 60개에 대해 표준화를 추진하고, 내년에는 표준화 대상 항목을 100개로 늘릴 계획이다. 현재 표준 진료 항목은 ‘중성화 수술’ 등 10개에 그친다. 또한 오는 10월부턴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

동물병원 진료비 표준수가제 도입과 관련한 정부 연구 용역도 진행되고 있다. 다만 표준수가제는 1999년 공정거래위원회의 자율경쟁 유도 방침에 따라 한 차례 폐지됐던 제도인 만큼 농식품부는 재도입에 신중한 입장이다. 자칫 평균 진료비가 ‘상향 평준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표준수가제를 다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며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찰료·입원비 등 지역별 공개…개·고양이도 구분


이날 공개된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은 지난 1월부터 수의사 2명 이상이 근무하는 동물병원의 경우 진료비를 의무적으로 게시하도록 바뀌면서 마련됐다. 내년 1월엔 의무 게시 대상이 수의사 1인 이상 동물병원으로 확대되는 만큼 조사 대상도 늘어난다.

공개 대상 진료비 항목은 진찰(초진·재진), 상담, 입원, 백신접종(5종), 검사(엑스선·전혈구) 등 총 11개다. 전국·시도·시군구 단위별로 최저·최고·평균·중간 비용이 공개된다. 다만 병원별 세부 진료비 내역은 시스템에선 확인할 수 없다. 김세진 농식품부 반려산업동물의료팀장은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정보가 공개됨으로써 반려인이 진료비 현황을 참고해 합리적으로 병원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나상현 기자 na.sanghye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