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탐욕에 물가 상승? "한국은 다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이 우리나라 물가 상승은 미국과 유럽처럼 기업이윤 증가가 물가 상승을 이끄는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탐욕에 의한 인플레)으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한국은행은 1일 블로그에 올린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 주요국과의 비교' 글을 통해 우리나라와 미국 및 유로 지역(유로화 사용 20개국) 물가 급등에 기업이윤이 얼마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한국은행이 우리나라 물가 상승은 미국과 유럽처럼 기업이윤 증가가 물가 상승을 이끄는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탐욕에 의한 인플레)으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한국은행은 1일 블로그에 올린 '기업이윤과 인플레이션 : 주요국과의 비교' 글을 통해 우리나라와 미국 및 유로 지역(유로화 사용 20개국) 물가 급등에 기업이윤이 얼마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한은은 실제 기업이윤 증가가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물가와 유사한 흐름을 나타내는 일종의 물가지표인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deflator) 상승률을 국민계정 상의 부가가치 항목(피용자보수, 영업잉여, 세금) 및 수입물가 기여도로 분해해 점검했다. 피용자보수는 국민소득 중 노동의 대가인 임금 등을 의미하며, 영업잉여는 기업에 돌아가는 이윤을 나타낸다.
한은 분석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 상승폭 기여도를 살펴보면 수입물가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영업잉여 기여도는 오히려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전력이나 가스공사 등이 포함된 전기·가스·수도업의 영업잉여 기여도가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이들 기업이 인플레이션이 감소 효과를 낸 것이다.
전기·가스·수도업을 제외한 기업의 기업이윤 영향은 플러스로 나타났지만, 유로 지역이나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반면 미국이나 유로 지역의 경우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에서 영업잉여의 기여도가 가장 크고, 피용자보수 기여도가 그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와 달리 유로 지역의 수입물가 기여도는 영업잉여, 피용자보수보다 작았고, 미국은 오히려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과 유럽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핑계 삼아 대기업들이 상품·서비스 가격을 필요 이상으로 올려 인플레이션을 부추긴다는 비난이 제기됐다.
한은은 "팬데믹 이후 영업잉여 기여도 추이를 보면 유로 지역이나 미국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정보기술(IT) 업황 호조 등으로 2021년 증가했다가 지난해 상당폭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로 지역의 경우 팬데믹 시기 공급부족이 심화되면서 기업이 가격을 상당폭 인상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수급불균형에 따른 가격 인상 폭이 유로 지역에 비해 크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