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2년 3개월 만 최대치…전체 미분양은 4개월 연속 감소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준공 후 미분양은 9399가구로 5월보다 5.7%(507가구) 증가했다. 2021년 4월(9440가구) 이후 가장 많다. 수도권(1992가구)은 준공 후 미분양이 5월보다 23.3% 늘었다. 인천 46.5%, 서울 31.9%, 경기 5.6% 순으로 5월과 비교해 악성 미분양 적체가 심해졌다. 전체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의 78%(7407가구)는 지방에 몰려있다.
신규 분양 물량이 줄어들면서 전체 미분양 주택 규모는 4개월째 감소세를 보였지만 경기 침체 여파는 여전한 상황이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 3월 7만2104가구로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뒤 지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다.
미분양이 해소된 것보다는 미분양 우려와 경기 침체 여파로 전체 분양 물량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는 것이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 올해 6월까지 전국 공동주택 분양(누적)은 지난달 6만6477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6619가구)보다 43% 줄었다. 수도권(34.4%)보다 비수도권(50.9%)의 감소 폭이 컸다.
주택 공급의 선행지수로 불리는 주택 인허가·착공·분양 모두 큰 감소 폭을 보인다. 미분양 우려가 여전히 큰 탓이다. 올해 6월까지 주택 인허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2% 줄어든 18만9213가구였고, 착공은 절반(50.9%)이 줄어든 9만2490가구로 나타났다.
통상 아파트 등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이후엔 3~5년 뒤 입주가 이뤄진다. 부동산 침체기에 미분양 등 여파로 인한 사업 지연이 이어질 경우 최소 2~3년 뒤에는 공급 부족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주택 공급 부족은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6월 기준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259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다. 하지만 수도권이 2만83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 거래량이 증가한 것에 반해, 지방은 2만8603가구로 0.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4136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배 이상 늘었으며, 2021년 8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김원 기자 kim.w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계파 힘 쓰는 형이 상주” 빈소서 목격한 조폭 인증법 | 중앙일보
- 관광객 다 뺏겼다…한국인도 300만명, 우르르 몰려간 이 나라 | 중앙일보
- "한 줌 흙보다 좋은 일 했으면" 4명 살리고 떠난 29살 태희씨 | 중앙일보
- 이 여가수 공연장서 7만명 들썩…'규모 2.3 지진' 땅 흔들렸다 | 중앙일보
- 가수는 마이크 던지고 관객은 유골∙폰 던졌다…요지경 미국 공연 | 중앙일보
- "주호민 부부, 아들로 인한 성교육 강사도 아는 사람으로 요구" | 중앙일보
- '7만원 과자'도 한몫했다...엔데믹 후 첫 여름휴가 3가지 키워드 | 중앙일보
- 대도서관·윰댕, 라방으로 8년만에 '이혼 발표'…재산 분배는 | 중앙일보
- "내 상사는 내가 고른다"…통념 깨부순 日회사서 벌어진 일 [세계 한잔] | 중앙일보
- 법원은 영탁 손 들어줬다…"예천양조, '영탁막걸리' 상표 떼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