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배터리 공장에 5조 투자"…이런 中기업들 노림수 따로 있다

이유정 2023. 7. 31. 12: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동부 저장성 창싱현의 한 공장에서 리튬 배터리를 조립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전기차 규제를 우회하기 위해 한국 배터리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미 블룸버그통신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는 “최근 4개월 동안 중국 회사들은 한국 파트너들과 손잡고 한국의 신규 배터리 공장 5곳에 총 5조 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발표했다”면서 “중국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 접근하는 관문으로 한국 산업을 이용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시도가 전기차 등 첨단 산업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을 약화할 수 있다고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한국에서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납품한 뒤, 이를 미국의 완성차 업체에 수출하면 IRA에 따른 세금 감면 혜택을 누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노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혜택도 활용할 수 있다. 중국 기업들은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으며, 한국의 주요 2차 전지 업체들에게도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음극재와 양극재, 이를 만들기 위한 전구체를 대량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이 지난달 21일 중국의 전구체 전문기업인 CNGR과 2차 전지용 니켈 및 전구체 생산에 협력하는 합작투자계약(JV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연합뉴스

실제로 중국의 에너지 기업 롱바이커지는 지난 23일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의 소재가 되는 삼원 전구체 연간 8만t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한국에 짓는 방안이 한국 정부로부터 승인됐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한국에서 생산한 제품들은 미 IRA의 관련 요건을 충족할 수 있으며, 유럽과 미국 시장에 수출할 때 관세 혜택도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매체 이카이 글로벌에 따르면 롱바이커지는 2022년도 연례 보고서에서 “한국에서 생산하는 소재는 유럽·미국에 수출할 때 무관세 혜택을 누리지만,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소재는 미국에 수출할 땐 25%, 유럽에는 6%의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에 앞서 SK온은 올해 3월 중국 거린메이와 배터리 소재 생산을 위한 합작 투자를 발표했고, 중국 화유코발트도 LG화학, 포스코퓨처엠과 새만금 국가산업 단지, 경북 포항 등에 니켈·전구체 생산 라인을 짓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중국 CNGR과 1조 5000억원 규모의 니켈 생산 공장 라인을 신설하는 합작 투자 계약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SK온과 LG 측은 블룸버그에 “중국 기업들과 서명한 합의는 초기 단계”라며 “미국의 IRA 세부 사항이 확정될 때까지 계약 조건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 정부는 이 같은 우회 전략을 어디까지 허용할지 검토하고 있다. 중국·러시아 등 ‘해외 우려 집단(foreign entity of concern)’과 연계 생산된 외국산 제품을 규제할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 미 재무부 애슐리 샤피틀 대변인은 블룸버그에 “우리는 국내외 공급망과 관련된 국가 안보 문제를 계속 평가하고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