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항에서 해운항으로 우뚝... 삼천포, 도약 기회 잡다

뉴스사천 하병주 2023. 7. 28. 15: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천포의 성장 이야기 마을이 도시로 ③] 삼천포의 개항

[뉴스사천 하병주]

 1928년의 삼천포항 모습이다. 지금의 삼천포수협 앞 방파제 방향에서 삼천포용궁수산시장 쪽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사진 출처=삼천포지명지(사천문화원 발행)
ⓒ 뉴스사천
 
[뉴스사천=하병주 기자] 삼천포는 항구다. 행정에서는 삼천리, 삼천리면, 삼천포면, 삼천포읍, 삼천포시 등으로 시대에 따라 달리 불렸으나, 바닷가 포구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음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삼천포항이 지척에 마주하고 있는 늑도가 2천여 년 전 국제 무역항으로 이름을 날렸음은 각종 유적과 유물 발굴로 이미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삼천포는 그 이후로 오랫동안 군사적 요충지 성격이 더 강했다. 고려 성종 11년(992년)에 조창의 하나로 세워진 통양창(용현면), 조선 시대의 구해창과 가산창 등이 사천만의 안쪽에 있었으므로 세곡(稅穀) 운송을 호위했다. 통양창의 외창이 동금동(지금의 통창) 지역에 설치되기도 했다.

또 삼천포는 남해안에 자주 출몰했던 왜구에 대응하는 역할도 컸다. 각산 봉수대 관리와 운영도 그중 하나다. 조선 성종 9년(1478년)에 '사천현 남면 삼천리(三千里)에 삼천진(三千鎭)을 쌓는다'는 기록도 있다. 조선 말기에는 대방진 굴항(大芳鎭掘港)을 설치해 군사 300명이 상주하기도 했다.

삼천포가 항구로서 더 주목받기 시작한 건 근대에 이르러서다. 1876년에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이른바 강화도조약이 체결되면서 부산항을 시작으로 전국의 여러 항구가 개항을 맞았다.

여기서 말하는 개항이란 행정적 의미보다 사회·문화적 의미가 더 크다. 항구를 이용한 여객과 화물의 운송이 크게 늘고, 특히 기선(=증기 기관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배)이 드나들기 시작한 시점이다.
 
 오늘날 삼천포항의 모습
ⓒ 뉴스사천
 
일본인의 국내 이주가 많아진 건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내정 장악을 위해 통감부를 설치한다는 내용을 담은 을사늑약(1905년 11월 17일)이 맺어지면서다. 마침 러일전쟁에서도 승리한 일본의 콧대가 하늘을 찌를 때다. 삼천포항의 개항도, 일본인의 삼천포 진출도 이 무렵부터 시작한다.

일본인의 삼천포 진출에 상징적 인물은 오노 이쿠지(대야육이·大野育二)이다. 그는 '경남의 자동차왕'이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교통·운수 업계에서 큰 힘을 발휘한 재력가였다. 그가 삼천포에 들어와 정착한 게 1906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사천시사>에선 1906년을 삼천포항의 개항 시점으로 일관되게 언급하고 있다. 관련 내용 중 한 대목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삼천포항은 1906년 일본인들에 의해 개항되고 일본인들이 수산업과 농업 등 각종 산업에 손을 뻗어나가면서, 해운업에까지 참여하면서 오노 이쿠지가 회조부(回漕部)를 설치하게 되고, 1908년에는 다시 합동기선회사가 설립되면서, 삼진(三晉) 회조부까지 개설하게 되어 해상운송업을 장악하면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여기 등장하는 회조부나 기선회사는 모두 배로 여객이나 화물을 실어나르는 운송 업체를 말한다. <사천시사>에선 일본인이 삼천포지역에 처음 이주해 온 시기를 1906년 10월경이라고 특정하면서 "이주해 온 사람은 4호에 13명에 불과했다"고 적었다.

이어 약 5년 뒤인 1911년 6월의 일본인 인구는 109호에 444명이라고도 밝혔다. 여기엔 일본 에히메현의 우치도마리 마을에서 집단 이주해 온 어민들도 포함됐을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선진항 모습. 사진 출처=국립중앙박물관
ⓒ 뉴스사천
그러나 여객선의 운항 시점만 본다면 삼천포의 개항 시점이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다. 역사학자이자 민족문제연구소 진주지회장이기도 한 강호광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은 일본 외무성 자료를 바탕으로 "1905년 12월께부터 삼천포에서 월 7~8회 기선 운항을 했다"고 말한다. 그는 '부산에 본사를 둔 충영회조점(업체 이름)이 198톤급 신룡호를 부산-마산-통영-삼천포 노선에 운항한다'는 당시의 기록을 근거로 내세웠다.

기선이 여객과 화물을 싣고 삼천포항을 드나들기 시작한 정확한 시점을 찾는 데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하지만 이를 기점으로 삼천포가 근대화의 길로 성큼 더 걸어 들어가게 됨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근대화 시기에 삼천포항이 크게 주목받은 이유 중 하나는 당시 경남의 도청소재지였던 진주의 관문이어서다. 처음엔 옛 장암진(구해창, 축동면 구호마을 소재)이 그 역할을 했으나, 수심이 너무 낮아 큰 배가 닿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었다. 그래서 차선으로 떠오른 게 삼천포항이었다.

다만 삼천포항 역시 큰 약점이 있었으니, 진주의 관문이 되기엔 거리가 너무 멀었다. 이에 진주와 삼천포를 잇는 신작로 개설이 추진돼 1909년 12월에 준공을 봤다. 하지만 운송 수단으로서 자동차 이용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대안으로 떠올랐던 게 용현면에 있는 선진항이다. 1912년 봄, 조선기선회사가 선진항에 스가 회조점이라는 지점을 설치하면서 연간 700~800척 이상의 화물선을 운항했다. 선진항은 자동차 운송 문화가 발달할 때까지 삼천포항의 대체 항구로 환영받았다.
 
 대한제국 4년(1910년) 2월 1일로 삼천포에 세관감시서를 설치한다는 내용이 담긴 관보의 일부분.
ⓒ 뉴스사천
 
한편 삼천포항의 개항 시점에서 '세관감시서의 설치'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사천시에서 해양수산과장을 지낸 문정호 씨는 지난해 사천문화원이 펴낸 2022 사천문화 제24호에 '삼천포항 개항사(開港史)에 대한 소고(小考)'란 글을 실은 바 있다.

그는 이 글에서 삼천포항의 개항일을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 2월 1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거로는 융희(隆熙) 4년(1910년) 1월 26일에 발행한 <관보 제4586>을 들었다.

이 관보에는 "탁지부대신(度支部大臣) 고영희(高永喜)는 부령(部令)으로 경상남도 사천군 삼천포, 경기도 개성군 벽란도, 경상북도 연일군(영일군) 포항, 전라남도 제주군 제주에 세관감시서(稅關監視署)를 설치하고 융희 4년 2월 1일부터 시행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세관감시서는 입항하거나 출항하는 배를 대상으로 관세 업무를 담당하던 기관이다. 1883년 7월 25일 조선과 일본 사이에 맺은 '조일통상조약'에 따른 결과물이다. 세관감시서의 설치는 곧 개항을 의미하며, 부산, 마산, 울산, 목포, 군산 등 국내 다른 도시의 항구도 세관감시서 설치와 개항이 동시에 이뤄졌음을 문정호 씨는 그의 글에서 강조했다. 융희는 대한제국 순종 때의 연호로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쓰였다.
 
 1928년에 촬영된 삼천포항 방파제 공사 모습이다. 사진 출처=삼천포지명지(사천문화원 발행)
ⓒ 뉴스사천
 
세관감시서의 설치로 삼천포항에는 더 많은 배가 드나들기 시작한다. 그중 하나가 부산기선회사가 운영하는 여객선이었다. 1910년에 운행 인가를 받은 이 여객선의 노선은 부산-장승포-마산-통영-욕지도-삼천포-여수-나로도-거문도-조천-산지-목포였다. 삼천포에서 부산까지는 하루가 꼬박 걸렸다고 한다.

남해안의 중심에 있는 삼천포항은 지정학적으로 아주 중요했다. 그래서 여객 노선이 새롭게 생길 때마다 중요 기항지에 늘 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삼천포항은 '수산업 더하기 해운업'의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수산과 해운의 발달은 항만시설의 근대화로 이어졌다. 먼저 조선총독부는 1918년 8월에 삼천포항을 지정항(指定港)으로 발표한다. 지정항이란 항만의 공사, 시설물 설치 등 항만과 관련된 제반 행정상의 처분이 조선총독의 권한에 속하는 항구이다. 삼천포는 여수, 포항 등과 함께 선정된 전국 최초의 지정항이었다.
 
 1928년에 작성된 삼천포항 잔교 건설 설계도. 사진 출처=국가기록원
ⓒ 뉴스사천
 
지정항 선정으로 삼천포항은 날개를 단다. 항만 인프라를 다듬는 기회가 생긴 셈이다. 그러나 다른 항과 달리 국비 투입 계획이 늦어졌다. 이에 경남도는 순수 지방비로 1926~1927년에 방파제와 하양장을, 1928년에 잔교와 부잔교를 설치했다. 들어간 비용은 1만 3879엔과 2만 1437엔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조선총독부 조선토목사업지에 나타나 있다.

항만 인프라 조성으로 1928년에는 삼천포와 일본 오사카를 잇는 개척 항로가 생겼다. 일종의 시범 운항이었다. 그러다 1935년 무렵에 이르러 부산-시모노세키 사이에 물류 포화 문제가 생기자 그 대안으로 삼천포-하카다를 연결하는 항로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는 나중에 삼천포-모지 항로로 바뀌어 최종 결정에 이르렀으나, 잇따라 터진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등으로 미뤄지면서 차질을 빚었다. 해방 직전인 1943년부터 삼천포항 확장 공사가 대대적으로 시작되었으나, 1945년 일제의 패망으로 멈췄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뉴스사천에도 실렸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