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한 '인생 마무리'를 위해 돈을 썼습니다
[이진순 기자]
"어르신들이 살고 싶은 곳에서 살면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건강하고 즐겁게 지내시다가 생을 마감하는 부분까지 돕겠다는 게 우리의 목표에요."
'이런 단체가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기사를 읽었다. 경남산청의료사협 사무국장 황재홍씨의 말이다. 내가 살던 집에서 안전하게 살다 죽는 것. 꿈이라기엔 너무 소박한 듯도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로또 같은 꿈일 수도 있겠다.
책 <아픔이 마중하는 세계에서>의 저자인 왕진 의사 양창모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에서 가족의 보살핌 속에 죽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건 '의사가 환자를 찾아가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노후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죽음으로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곤 한다. 나이가 들어가고 아버지의 노환과 죽음을 접하고 어머니와 같이 살아가면서, 예전에는 손이 닿지 않을 먼 곳에 있던 '죽음'이 성큼 다가와 내 손을 잡는 듯하다.
▲ 바다를 보는 사람들. |
ⓒ pexels |
우리 사회는 개개인이 나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늙어가는 중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900만 명을 넘어서 전체 인구 중 17.5%를 차지하게 됐다. 그리고 2025년엔 그 비율이 20%를 넘어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어디서 어떻게 살다 죽어갈지가 많은 사람들의 고민거리가 되는 게 자연스러운 시대가 됐다.
한편에서는 '장수마을'을 찾아서 장수의 비결을 묻고, '전국장수자랑'이란 TV프로그램도 생겨 어르신들을 찾아가 명아주 지팡이를 선물하는 등 '늙음'을 축복한다. 그러나 세금 낼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세금 받을 노인들만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를 반복해 듣다 보면, 노인층을 어찌 하지 못 해 안절부절하는 우리 사화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이제는 죽어야 하는데 죽지도 않아'라는 노인들의 한숨 섞인 하소연이 그들이 처한 상황을 말해주는 듯하다.
전쟁 후 베이비붐 세대에 주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고도성장'이라는 경제적 성과를 이뤄낸 이들이 이제는 '노인'이라는 명찰을 달게 됐다. 젊은 시절, 저임금과 힘든 노동을 감당하며 열심히 일한 그들이 이제 조금은 편하게 살 수 있기를 바라지만, 쉽지는 않아 보인다.
매해 3000명 넘는 노인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회, 프랑스의 10배, 미국의 2배가 되는 노인 빈곤율을 자랑하는 사회가 우리 사회다.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이 매우 익숙하지만, 이것은 현실이라기보다는 실낱같은 희망 또는 절규가 아닐까 싶다. 우리 사회는 노인들에게 그다지 친절하지 않다.
'방문 진료'는 소중하다
그러나 다행히도 아주 조금씩 민간과 공공 영역에서 장애인, 노인 등 약자들을 위한 움직임들이 생겨나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집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진행하고 있는 방문 진료 시범사업도 그런 제도 중 하나다. 2019년 12월부터 3년 단위로 시범사업이 시작됐고, 현재 3년 연장된 상태다. 필요할 때 전화해도 연결이 잘 안 되기도 하고 참여병원도 적고 진료를 받은 환자도 소수이지만, 해마다 참여환자가 늘고 있다. 방문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이런 제도가 시범사업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인 제도로 정착된다면, 내 집을 찾는 주치의가 죽음의 순간까지 나를 돌봐줄 수도 있을 것이다. 양창모씨는 '왕진주체가 민간의료가 아니라 공공의료로 바뀌어야 하고, 이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한다. 시간이 곧 돈인 의료시장에 돈 안 되는 왕진을 맡기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보는 것 같다. 마을 보건소마다 어르신들의 상황을 잘 아는 왕진 의사가 있다면, 마음이 든든하겠다.
▲ 제주의료사협 홍보물 제주에서도 의료사협이 준비되고 있다. 과거의 마을들이 많이 부서져버린 지금, 서로가 서로를 돌보는 마을을 만들어가는 데 의료사협이 중요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 |
ⓒ 이진순 |
제주에서도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의료사협)이 만들어진다는 소식을 접하고, 조합원으로 가입했다. 설립 인원 500명, 출자금 1억 원이 돼야 조합 설립이 가능하다고 한다.
오랫동안 유기농업과 먹거리를 위해 일해 온 한살림이 주도해서 준비 중이라니 믿음이 생겼다. 앞으로 병원이 만들어져서 진료를 받을 수 있기까지는 많은 준비와 노력이 필요할 텐데, 응원의 마음을 보낸다.
내가 의료사협에 가입한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건강하고 안전한 노후를 위해서다. 병원을 가능한 적게 다니고 살다가 병원 신세 안 지고 집에서 죽고 싶은 나에게 믿을 수 있는 병원과 주치의는 꼭 필요한 존재인 것 같다. 조합원 가족 혜택도 있다니 어머니와 나의 주치의가 생기는 그날을 기다린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브런치에도 실릴 에정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교실 문 잠그고 욕... 순식간에 그 일이 생각났습니다
- "여기가 할렘? 강남엔 안 그러잖나"... 살인사건 이후 신림동은 지금
- 정부 "고강도 감찰" 자신했지만... 김영환 충북지사는 빠졌다
- 방통위원장 지명된 이동관 "가짜뉴스와 전쟁,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 복원"
- "지식인이 벌인 철없는 짓" 몰매... 과연 누구의 죄인가
- 먹방하는 대통령... '당신 원통함 내가 아오' 연대하는 유족
- '임실치즈마을' 사람들만 아는 불편한 비밀
- 뉴질랜드 외교장관 "오커스 가입, 영혼 팔아야"... 미 '초대' 거절
- "대통령 노림수 뻔해"... 이동관 내정에 야당 격분
- 국힘, 이동관 내정에 "방송 온전히 국민 품에 돌려줄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