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 묻혀 동면한 벌레, 4만6000년 만에 깨어나 움직였다

허미담 2023. 7. 28. 1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베리아 동토에 묻혀 있던 석기시대 벌레가 4만6000여년 만에 깨어나 움직이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27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 생물은 2018년 시베리아 콜리마강 인근 화석화한 다람쥐 굴과 빙하 퇴적층에서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됐다.

동토층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에 따르면 이 벌레들은 후기 플라이스토세(12만6000∼1만1700년 전)부터 줄곧 얼어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베리아 동토에 묻혔던 석기시대 벌레
"자칫하다 고대 바이러스 부활" 우려도

시베리아 동토에 묻혀 있던 석기시대 벌레가 4만6000여년 만에 깨어나 움직이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27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 생물은 2018년 시베리아 콜리마강 인근 화석화한 다람쥐 굴과 빙하 퇴적층에서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됐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벌레들은 마지막 빙하기에 휴면에 들어간 선충류의 일종으로 파악됐다.

4만6000년 전 벌레. [이미지출처=MAX-PLANCK-GESELLSCHAFT 홈페이지]

이 생물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종으로, '파나그로라이무스 콜리맨시스'(Panagrolaimus kolymaensis)라는 이름이 붙었다.

선충은 약 1㎜ 길이로, 일부는 다세포 동물 중 가장 깊은 지하 1.3㎞에서도 생존이 가능하고 일부는 민달팽이 내장에서도 번식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선충은 동면과 같은 상태를 뜻하는 휴면(cryptobiosis)을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동토층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에 따르면 이 벌레들은 후기 플라이스토세(12만6000∼1만1700년 전)부터 줄곧 얼어있었던 것으로 추정됐다. 동시대에 출현했던 매머드 등 고대 생명체들과 섞여 산 셈이다.

텔레그래프는 이 벌레들이 충분한 영양 공급을 통해 다시 생명을 되찾았고 전했다. 처음 발견된 벌레들은 몇개월밖에 살아남지 못해 새롭게 번식한 벌레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연구를 이끄는 독일 쾰른대 필립 쉬퍼 박사는 "벌레들이 되살아난 즉시 번식을 시작했다"고 했다.

다만 학계 일각에서는 냉동 상태에서 깨어난 생명체를 되살리는 과정에서 고대 바이러스도 함께 부활시켜 인류 및 환경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선충은 큰 위협이 안 되지만, 박테리아나 곰팡이 동식물 등 다양한 유기체가 되살아나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