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충재의 인사이트] 이념 앞세운 '윤석열식 세대포위론', 빨간불 켜졌다
[이충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서초구 플로팅아일랜드 컨벤션홀에서 열린 청년정책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 대통령실 제공 |
윤석열 대통령 일가와 관련된 의혹이 잇따르면서 최근 여권이 마련한 '윤석열식 세대포위론'이 벽에 부닥쳤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세대포위론은 지난 대선에서 '이대남(20대 남성)'을 앞세워 승리한 경험을 토대로 여권이 수립한 내년 총선의 핵심 전략입니다. 전통적 지지층인 60대 이상에 더해 2030 지지까지 끌어 모으면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와 장모 최은순씨와 관련된 잇단 비리와 의혹으로 젊은층 이탈이 확산되면서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입니다. 여권 일각에선 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핵심 세력은 이미 세대포위론을 기반으로 한 총선 전략 수립을 마쳤습니다. 이런 구상에 따라 윤 대통령의 일정과 메시지, 인사 등에서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 합니다. 윤 대통령이 최근 "내년부터는 근본적인 개혁이 가능할 것"이라는 식의 발언을 자주 하거나 여권 관계자들이 모인 사석에서 총선 목표치로 170석을 제시했다는 얘기도 이런 일환입니다.
총선 전략과 관련된 윤 대통령의 가장 두드러진 행보는 '이념 전쟁'입니다. 최근 윤 대통령의 언행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반북' '반공' 등 이념적 코드입니다. 한국자유총연맹을 방문해 전임 정부와 야당을 겨냥해 '반국가세력'이라는 메시지를 낸 것을 시작으로 '김정은 정권 타도'를 외치는 김영호 교수를 통일부장관에 지명했습니다. 친북논란 독립유공자 공적 재평가 계획도 같은 맥락입니다. 여권의 주요 지지기반인 60대 이상을 최대한 결집시키려는 의도입니다.
이념전과 색깔론은 60대 이상뿐 아니라 2030세대를 겨냥한 전략이기도 합니다. 젊은층의 반중·반북 정서를 자극해 지지를 이끌어내자는 구상입니다. 지난달 갤럽 여론조사를 보면 한미동맹 강화 필요성에 대해 20대와 30대는각각 44.8%, 45.2%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중국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각각 2.9%, 2.6%에 그쳤습니다. 여권은 한편으로는 청년층을 사로잡기 위한 정책 마련에도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윤 대통령은 최근 청년들이 모인 자리에서 "청년정책이 국정 기본방향"이라고 했고, 국민의힘도 연일 청년정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처가 의혹 등 부도덕한 행태, 2030에 반감
문제는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2030세대의 지지율이 정체상태이거나 하락 추세를 보인다는 점입니다. 최근 대다수 여론조사에선 2030의 윤 대통령 지지율이 20% 내외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율도 비슷한 추이를 보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의 2030 지지율도 떨어지는 상황에서 여야가 동반추락하는 모양새입니다. 반대로 2030의 무당층 비율은 연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권 내에서는 최근 잇따른 김 여사를 비롯한 윤 대통령 처가 의혹이 발목을 잡는 것으로 분석합니다. 윤 대통령에게 기대한 공정과 상식에 대한 배반감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과 김 여사의 '명품 쇼핑' 의혹, 장모 최은순씨 법정 구속 등 하루가 멀다하고 튀어나오는 부도덕한 행태에 2030세대가 강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윤석열 정부의 우경화 기조가 2030 유권자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근 논란이 된 실업급여 폄훼는 여당의 청년세대 노동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수능 킬러 문항 논란도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현실 인식을 보여줍니다. 20대 남성의 보수성향이 강하다해도 극우와는 확실히 선을 긋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겁니다. '윤석열식 세대포위론'은 애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깁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충재의 인사이트> 뉴스레터를 신청하세요. 매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주필을 지냈던 이충재 기자는 오랜 기자 경험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우리 사회 현안을 들여다봅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