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필향만리’] 始可與言詩已矣(시가여언시이의)
2023. 7. 27. 00:42
앞 회에서 살폈듯이 “본바탕으로 아름다움을 삼았다(素以爲絢)”라는 옛 시의 뜻을 묻는 자하에게 공자는 “회사후소(繪事後素)”, 즉 “그림 그리는 일은 바탕을 먼저 마련한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자하가 “예(禮)가 뒤이겠군요”라고 다시 묻자, 공자는 “나를 흥기(興起:흥이 나게 함)시키는 사람은 자하로구나! 비로소 더불어 시를 이야기할 만하구나”라고 크게 칭찬했다. 두 사람 사이에 큰 교감이 이루어진 것이다.
자하는 “예(禮)가 뒤이겠군요?”라는 반문을 통해 ‘본질인 진심이 먼저이고 진심을 담는 형식인 예(禮)는 나중’이라는 자신의 깨달음을 말했는데, 자하의 그 말뜻이 자신이 말한 ‘회사후소(繪事後素)’의 의미와 완벽하게 부합했으므로 공자는 그토록 큰 칭찬을 한 것이다.
“줄탁통시(啐啄同時:여기서는 ‘同’을 ‘통’으로 읽는다)”라는 말이 있다. 알껍데기를 깨고 나오려는 병아리가 어미닭에게 보내는 신호인 ‘줄(啐::재잘거릴 줄)’과 어미닭이 알껍데기를 쪼아주는 ‘탁(啄:쫄 탁)’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표현한 말로서 가르침과 배움이 완벽하게 투합한 스승과 제자 사이의 대화를 비유하는 말이다. 더불어 시를 논할 만한 줄탁통시의 소통이 그리운 요즈음 교육현장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엄마, 1억 빚은 나누시죠” 상속 뒤 날아온 아들의 소송 | 중앙일보
- 주호민, '특수교사 고발' 논란에 "자폐 아들, 등교 거부…충격" | 중앙일보
- 지글지글 끓어도 좋다? 바르셀로나 해변서 브래지어 벗어보니 | 중앙일보
- "먹태깡 이렇게 먹어"…'반모' 날린 정용진도 열 올린 '쓰팔' | 중앙일보
- "아XX 벌려" 총구 넣고 방아쇠 당겼다…해병대 뒤집은 가혹행위 | 중앙일보
- "환자가 칼 들었어요" 급박한 신고…경찰, 방패로 '퍽' 이 장면 | 중앙일보
- 장원영, 초등생 손에 놀라 움찔…"벌레냐" 맘카페 부글부글 | 중앙일보
- "대표가 중요 부위 만졌다"…성인화보 모델들 폭로 '발칵' | 중앙일보
- '남성 4명 성범죄 의혹' 케빈 스페이시, 생일에 '무죄' 받았다 | 중앙일보
- '우리가 남이가' 野 눈감는데…'김·태·홍' 줄줄이 벌 준 與의 고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