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전협정, 한·미동맹 70주년…“저절로 오지 않는 자유”
━
전후에도 나라 지키려 한·미군 4360명 희생당해
동맹, 대비 역량 강화로 한반도 긴장 철저 대비를
6·25전쟁의 포성이 멈추고 휴전선이 그어진 지 70년이 됐다. 국제연합군과 북한군·중공군은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정전협정에 서명했다. 이후 남과 북은 반목과 경쟁 속의 적대적 상존 관계를 이어 왔다. 때론 남북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정상회담을 하며 통일의 기대를 한껏 부풀렸던 때도 있었다. 전쟁 이후 천안함 폭침사건 등 한국군 4268명과 미군 92명 등 모두 4360명이 북한과의 충돌 과정에서 전사했다는 통계는 “자유는 저절로 오는 게 아니다(Freedom is not Free)”는 금언을 실감케 한다.
최근 북한이 핵과 미사일 위협 수위를 노골적으로 높이며 남북관계는 더욱 어두운 터널로 접어들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갈등 속에 끼여 있는 한반도는 한·미·일과 북·중·러라는 두 개의 톱니바퀴에 각각 끼여 남북의 간극은 커져만 가고 있다. 신냉전이라고까지 불리는 국제질서의 양극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게 한반도다.
이럴 때일수록 한국의 위기관리 능력 강화가 절실하다. 우선 70년간 이어진 한·미 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며 안보 역량을 확충해야 한다. 국제사회에서 독불장군은 없다. 국제질서의 격변 속에 자유민주주의 시장 가치를 함께 하는 유럽,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도 필수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25일 발표한 청소년(13~18세) 대상 통일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전협정 체결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000명 가운데 60.8%에 불과했다. 과거를 잊은 자에게 미래는 없다. 70년 전의 전쟁은 지금 휴전일 뿐이라는 안보의식을 심어주고, 평화와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나아가 자유민주주의와 국가를 지키려고 희생한 이들과 그 유족들을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를 확고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귀한 목숨을 바쳐 국가를 지키려고 나설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마침 정부는 어제 미국에 있던 한국전 국군 전사자 유해 7구를 국내로 봉환했다. 희생자들의 신원확인은 물론 아직 해외에 있는 전사자의 유해 발굴에도 속도를 내주기 바란다.
동시에 정부는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대북 제재와 압박이라는 채찍과 함께 언젠가는 대화를 위한 당근이 필요한 때가 오기 마련이다. 남북 관계나 북·미 관계 역시 앞으로도 숱한 부침을 겪을 수밖에 없다. 통일부를 마냥 북한에 유화적인 ‘손 볼 조직’으로만 여길 게 아니라 향후 대화에 대비한 정부의 역량 강화에도 신경을 써야 하겠다. “통일 및 남북대화·교류·협력에 관한 정책의 수립, 통일교육, 그 밖에 통일에 관한 사무”라는 정부조직법상 통일부 장관의 역할(31조)대로 말이다. 기회는 늘 준비하는 자에게만 올 뿐이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 1억 빚은 나누시죠” 상속 뒤 날아온 아들의 소송 | 중앙일보
- 주호민, '특수교사 고발' 논란에 "자폐 아들, 등교 거부…충격" | 중앙일보
- 지글지글 끓어도 좋다? 바르셀로나 해변서 브래지어 벗어보니 | 중앙일보
- "먹태깡 이렇게 먹어"…'반모' 날린 정용진도 열 올린 '쓰팔' | 중앙일보
- "아XX 벌려" 총구 넣고 방아쇠 당겼다…해병대 뒤집은 가혹행위 | 중앙일보
- "환자가 칼 들었어요" 급박한 신고…경찰, 방패로 '퍽' 이 장면 | 중앙일보
- 장원영, 초등생 손에 놀라 움찔…"벌레냐" 맘카페 부글부글 | 중앙일보
- "대표가 중요 부위 만졌다"…성인화보 모델들 폭로 '발칵' | 중앙일보
- '남성 4명 성범죄 의혹' 케빈 스페이시, 생일에 '무죄' 받았다 | 중앙일보
- '우리가 남이가' 野 눈감는데…'김·태·홍' 줄줄이 벌 준 與의 고민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