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서늘한 지리산 피아골에 다녀왔습니다
[이돈삼 기자]
▲ 지리산 피아골 풍경. 계곡물이 장쾌하게 흐르고 있다. 지난 7월 12일 모습이다. |
ⓒ 이돈삼 |
산으로 간다. 울창한 숲그늘이 한 올의 햇볕도 허락하지 않는 지리산이다. 그 중에서도 무더위를 피하기에 좋은 피아골이다. 피아골은 장쾌한 물소리만으로도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금세 시원하게 해준다. 귓속은 물론 뼛속까지 서늘하게 해준다.
피아골은 대한민국 국립공원 제1호 지리산이 품고 있다. 임걸령에서 시작된 물이 지리산 골골을 거쳐 섬진강과 만난다. 장장 40∼50리에 이르는 길고 깊은 계곡이다. 속을 헤아릴 수 없는 연못, 집채만한 바위와 어우러진 풍치도 빼어나다. 녹음 우거진 여름은 말할 것도 없고 봄과 가을, 겨울 언제 오더라도 좋은 골이다.
▲ 지리산 피아골의 위용. 지리산 아래 첫 마을, 직전마을 앞으로 흐른다. |
ⓒ 이돈삼 |
▲ 지리산 피아골에서 만난 다람쥐. 도토리를 갖고 소풍이라도 나온 것 같다. |
ⓒ 이돈삼 |
피아골은 우리 근현대사의 질곡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예부터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잦았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한말엔 의병들이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여순사건과 한국전쟁을 전후해선 국군과 빨치산의 교전이 치열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죽임을 당했다. 비극의 현장이다.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피비린내가 진동해 '피아골'로 불렸다는 얘기가 전해지는 이유다. 조정래도 소설 〈태백산맥〉에서 피아골 단풍을 역사의 비극과 연결 지어 묘사했다. '피아골 단풍이 핏빛으로 고운 것은, 옛날부터 그 골짜기에서 수없이 죽어간 사람들의 원혼이 그렇게 피어난 것'이라고.
▲ 직전마을로 흐르는 지리산 피아골. 계곡이 마을과 한데 어우러진다. |
ⓒ 이돈삼 |
▲ 지리산 피아골을 따라 가는 자연관찰로. 직전마을에서 표고막터를 이어주는 길이다. |
ⓒ 이돈삼 |
산자락에는 피밭마을이 있다. 한자로 피 직(稷), 밭 전(田)을 쓰는 직전마을이다. 직전마을은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속한다. 지리산의 남동부로 흐르는 피아골에 자리하고 있다. 피아골을 따라 내려오면 산 아래 첫 동네다. 섬진강변에서 올라가면 끄트머리에서 만나는 마지막 마을이다.
직전마을에서 길은 자연관찰로(임도)를 따라 표고막터로 이어진다. 계곡물은 왼편에서 흐른다. 물속은 버들치, 피라미, 다슬기들의 세상이다. 계곡을 품은 숲은 담비와 족제비, 어치와 물까치들의 놀이터다. 도토리 '점심' 가지고 소풍 나온 다람쥐도 보인다.
다양한 생물이 함께 사는 숲은 우리에게도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산소를 공급해주고, 지하수를 내어주며, 홍수도 예방해준다. 길은 표고막터에서 등산로와 만나 삼홍소, 피아골삼거리로 올라간다. 피아골삼거리에서 노고단은 왼쪽, 임걸령과 반야봉은 오른쪽으로 간다.
▲ 구례 직전마을 전경. 마을이 지리산 자락에 들어앉아 있다. |
ⓒ 이돈삼 |
▲ 지리산 자락에서 채취하고 재배한 나물.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건강해지는 것 같다. |
ⓒ 이돈삼 |
직전마을에는 30여 가구 60여 명이 살고 있다. 척박한 산간을 일구며 살아온 산골사람들의 후손들이다. 주민들은 민박을 겸한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산골에서 채취한 산채와 약초를 버무려 음식을 차려낸다. 마을이 민박촌이고, 식당촌이다.
▲ 지리산 피아골에 줄지어 있는 전통식품 항아리들. '피아골 미선씨'의 것이다. |
ⓒ 이돈삼 |
장류와 장아찌를 담그는 젊은 아낙네들도 마을에 살고 있다. 언론에 심심찮게 나오는 김미선씨 자매다. 자체 브랜드화한 '피아골 미선씨'로 유명세를 탄 그는 대학을 졸업한 뒤 태어난 자리로 돌아와 전통식품을 만들고 있다. 대한민국 6차산업 경진대회에서 대상도 받았다.
▲ 직전마을 쉼터. 구례읍내에서 직전마을을 오가는 군내버스의 종점이기도 하다. |
ⓒ 이돈삼 |
▲ 지리산 연곡사의 일주문. 연곡사는 피아골을 대표하는 절집이다. 지난 7월 12일 모습이다. |
ⓒ 이돈삼 |
마을 아래에 자리한 연곡사의 역사도 깊다. 544년, 백제 성왕 때 연기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한때 지리산에서 가장 큰 절집이었다. 도선국사, 현각국사 등 많은 고승을 배출했다. 절집의 운명이 바뀐 건 임진왜란 때였다.
연곡사 스님들이 의병으로 나서 맹위를 떨쳤다. '화엄사나 연곡사에 가서 주먹자랑 하지 말라'는 말이 나온 연유다. 승병들의 활약은 그만큼 일본군한테 위협적이었다. 일본군이 불을 질러 절집을 모두 태워버렸다. 스님들의 의병 활동에 대한 보복이었다.
▲ 한말 의병장 고광순의 순절비. 연곡사 내 동백나무 숲에 세워져 있다. |
ⓒ 이돈삼 |
▲ 현각선사의 탑으로 추정되는 연곡사의 북승탑. 국보로 지정돼 있다. |
ⓒ 이돈삼 |
연곡사는 한국전쟁 때도 불에 타는 수난을 겪었다. 전각이 모두 사라지고, 석조물만 남았다. 석조물은 국보와 보물로 지정돼 있다. 동쪽과 북쪽에 있는 승탑, 동승탑과 북승탑이 국보다. 삼층석탑과 현각선사탑비, 동승탑비, 소요대사탑은 보물로 지정됐다.
▲ 연곡사에 세워진 피아골순국위령비. 지리산 피아골에서 숨진 영혼을 위로하는 비석이다. |
ⓒ 이돈삼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전남일보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거짓말까지 하며 '인권조례' 공격... 그렇게 정치하지 마시라
- "이태원은 북한 소행" 이죽댄 보수단체... 유가족들 격분
- 저는 실업급여로 삶을 즐겼습니다, 웃으면서
- 버럭 화 내고, 문책 운운... '남의 편' 같은 정치인의 입
- 반복되는 상주보 제방 붕괴... '낙동강 도미노 재앙' 우려
- 가슴속 돌덩이 '감당 못 할 빚', 여기로 오세요
- 학교에서 '여행'을 배워본 적 있나요?
- 윤석열 정부의 방송 장악 시나리오, 꼼수가 화를 부르고 있다
- 대구 추모 교사들 "쉬는 시간도 쉬는 게 아니다.. 한계점"
- 용산서 고양이 2마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긴급 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