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AI 다음은 AGI…세계 각국 AI 주권 확보 사활
세계 각국 AI 주권 확보 사활
“ ‘바둑 천재’ 알파고 시절만 해도 AI는 개별 종목과 문제를 해결해주는 데 집중했다. 지금은 통합 사고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준다. 진화는 앞으로도 거듭될 것이다.”
‘이스라엘 AI의 아버지’로 불리는 모세 밴바셋 플래테인 회장의 말이다. 그는 매경이코노미 창간 44주년 기념 ‘초거대 AI’ 콘퍼런스(공동주최 포티투마루)에서 이같이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를 활용하면, 봇 개발자가 MS의 코파일럿(Copilot)을 통해 자연어를 이용해 몇 분 만에 맞춤형 가상 비서를 만들 수 있다. 이 AI 비서에게 “제품 전략을 어떻게 업데이트했는지 팀에 알려줘”와 같은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해당 비서는 오전 회의, 이메일, 채팅 내역 등 사용자 앱의 모든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팀원에게 전달한다.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AI의 영향력이 강하게 퍼지고 있다. 이런 근간에 초거대 AI가 자리한다. 이제 관건은 기업들이 어떤 AI를 채택하느냐다. 이에 따라 기업은 물론 국가 경쟁력이 좌우될 수 있다. 지난해 챗GPT 열풍 이후 각 국가와 기업이 초거대 AI 전쟁에 속속 참전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장병탁 서울대 교수는 이렇게 단언했다. AI 기술 수준이 이제 텍스트나 이미지 부분에서는 AI가 직접 창작하거나 응용하며 인간 수준에 다다랐다는 진단이다. 물리적으로는 AI가 물컵을 잡거나 책상 위 물건을 스스로 학습해서 다른 쪽으로 옮길 수 있는 단계가 된다.
장 교수는 “이처럼 물리적 활동으로 접어들면 또 다른 세계가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상 같은 일이 실제로 벌어질 수 있는 배경에 초거대 AI가 자리한다.
초거대 AI란 종전 AI 대비 수백 배 이상 대용량 데이터 학습을 통해 판단 능력이 인간의 뇌에 한결 가깝게 향상된 대규모 시스템을 말한다.
초거대 AI가 주목받는 이유는 자명하다. 영화 아이언맨의 비서 ‘자비스’를 떠올려보자. 자비스는 아이언맨이 절체절명의 순간 가장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게 도와 여러 번 그의 목숨을 구했다. 궁극적으로 AI업계에서는 이런 모델을 AGI(범용인공지능)로 본다. AGI는 인간 뇌 구조와 유사하게 특정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를 뜻한다.
AGI까지 가려면 무엇보다 기초 체력이 있어야 한다. 그 엔진 역할을 하는 것이 초거대 AI라고 보면 이해가 쉽다.
최근 LG그룹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 2.0’ 개발을 주도한 LG AI연구원 배경훈 원장은 “초거대 AI 역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챗GPT 같은 생성형 AI가 주로 언어에 초점을 맞췄다면 ‘엑사원 2.0’은 인간이 사물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방식에서 착안, 텍스트 외 이미지와 음성 등 여러 입력 방식을 받아들여 ‘내 것’으로 만드는 멀티 모달 AI로 넘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형 AI’ 내놓는 네이버, LG
이미 선진국에서는 초거대 AI 전쟁이 격화되고 있다.
오픈AI가 챗GPT를 공개, 이 시장을 선점하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연합군이 된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에 자극받은 구글은 ‘바드’를 앞세워 응전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더해 페이스북으로 유명한 메타가 자사의 AI 대규모 언어모델(LLM)인 라마2(LLaMA2) 소스를 무료로 공개하면서 시장 주도권을 가져오려 한다. 세계 1위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애플 역시 자체 AI 모델 개발 방침을 밝힌 상태다.
국내 기업 또한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국제전에 어떤 방식으로 참전할 것인가다. 네이버, LG, KT, 카카오 등은 이들과 정면 승부하기보다는 글로벌 빅테크가 잘하기 힘든 한국어 모델이라든지 특정 분야 전문 AI를 만들고 이를 연합군을 자처하는 대중소기업과는 공유,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려 한다.
물론 이런 과열 현상을 우려하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당장 AI를 활용한 가짜 뉴스 유포가 이슈가 됐는가 하면 무분별하게 저작권을 AI가 갖다 쓰면서 원작자 반발과 소송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김진형 카이스트 명예교수는 “기술로 인한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 ‘6개월간 기술 개발을 하면 안 된다’는 식의 규제는 어불성설”이라며 “문제가 있는 부분은 연구를 통해 극복, 잘 사용하게 하든지 규제를 한다 해도 설익은 AI를 현장에 배치 못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식으로 제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열 과기부 국장 역시 “통신, IT 서비스, AI 벤처·강소기업 등 국내 대·중소 105개 기업과 민관 합동으로 ‘초거대 AI 추진협의회’를 가동하고 있다”며 “산업 진흥을 기본으로 깔고, 규제를 하더라도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려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시 달리는 에코프로 [MONEY톡] - 매일경제
- 2차전지 개미들 ‘머니무브’...에코프로 팔고 엘앤에프로 - 매일경제
- LG엔솔 ‘신났다’...캐나다 기업과 5년간 황산코발트 1만9000t 규모 계약 - 매일경제
- 국제유가 3개월 만에 최고 수준...S-Oil 덩달아 ‘강세’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질주하는 포스코홀딩스...한투證 “대한민국 국민주 될 것”[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엘앤에프, 4분기부터 수익성 회복 전망”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하반기 IPO 대어 ‘파두’ 잭팟 터지나 [IPO 따상 감별사] - 매일경제
- 국내 유일 합법 공유숙박앱 ‘위홈’...“에어비앤비 안 무섭다” [그래도 오프라인] - 매일경제
- 해외여행 급증했다는데...티웨이항공 목표가 잇따라 하향, 왜?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한국인 기대수명 83.6년 OECD 3위...의료 인력 부족은 해결해야 할 과제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