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상징은 이제 'X'…머스크, '파랑새' 없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의 로고가 알파벳 'X'로 바뀌었다.
기존 트위터의 상징이자 2006년 설립 당시부터 소통의 아이콘이었던 로고 '파랑새'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4일(현지시간) 트위터 웹사이트에는 기존 로고였던 파랑새 대신 검은색 바탕에 흰색으로 표시된 알파벳 X가 새로운 로고로 등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야카리노 CEO "대대적인 개편 작업 중"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의 로고가 알파벳 'X'로 바뀌었다. 기존 트위터의 상징이자 2006년 설립 당시부터 소통의 아이콘이었던 로고 '파랑새'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4일(현지시간) 트위터 웹사이트에는 기존 로고였던 파랑새 대신 검은색 바탕에 흰색으로 표시된 알파벳 X가 새로운 로고로 등장했다.
트위터는 2006년 설립 이후 파랑새를 로고로 사용해 왔다. 이후 몇 차례 문양이 바뀌긴 했지만, 2012년부터 현재의 로고는 트위터의 상징이 됐다.
트위터 회장인 일론 머스크가 로고 교체를 선언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인 로고 교체가 단행됐다. 머스크 회장은 전날 트위터에 "우리는 곧 트위터 브랜드, 점진적으로는 모든 새(새 문양)에게 작별을 고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같은 날 밤 본사 건물에 'X' 표시가 있는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새로운 로고인 X는 트위터를 메시징, 지급 결제, 원격 차량 호출 등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슈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만들겠다는 머스크 회장의 비전이 반영돼 있다. 그는 지난해 트위터 인수 당시에도 "모든 것이 가능한 앱 'X'를 만들 것"이라며 의지를 내비치기도 했다.
린다 야카리노 트위터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우리는 대대적인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회사는 발명가적 마인드를 갖고 있다"며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즐긴다"고 썼다.
그러면서 "X는 앞으로 이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비디오, 오디오, 메시징, 은행 및 결제 분야의 경험을 계속해서 개발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자신과 머스크는 "모든 팀과 함께 일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머스크 회장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위험한 도박'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마케팅 전문가인 벤 파는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를 파괴하는 것이 사업상에 현명한 결정인 이유를 설명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지적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7억에 팔렸다…버려진 아파트서 우연히 발견한 '이 작품' 알고 보니 - 아시아경제
- 코로나보다 더 큰 게 왔다…카페·술집들 곡소리나더니 - 아시아경제
- "아버지의 마지막이 병원 침대가 아니어서 다행입니다"[내 집을 시니어하우스로] - 아시아경제
- "9월까지 결혼 안 하면 해고" 공지에 '발칵'…당국에 제동 걸린 中 기업 - 아시아경제
- "北 지방 간부들 목욕탕 성접대…분노한 김정은, 여성 봉사원도 처벌" - 아시아경제
- 입길 오르던 '백종원 빽햄'…더본코리아, 자사몰 판매 중단 - 아시아경제
- 홍준표 "가짜인생이 나라 뒤흔들다니…'명태균 일당' 용서치 않을 것" - 아시아경제
- 오픈AI는 ‘토큰’만 가져가는데…사용자 정보 '통째로' 가져가는 딥시크 - 아시아경제
- 단어 하나 빼먹었다가 2100만원 벌금 폭탄…날벼락 맞은 아디다스 - 아시아경제
- "언론들이 이간질" 트럼프, 또 전쟁 시작…폭스뉴스 편애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