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365일 '온콜'…소아과 탈출 러시에도 환자 지키는 의사

신성식 2023. 7. 23.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연정 충남대병원 소아혈액종양내과 교수가 국회 의원회관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성식 기자

“병원에 두고 온 환자가 걱정돼 눈물이 납니다.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소아암 전문 교수가 이렇게 말하며 눈물을 보였다. 목소리는 약간 떨렸다. 이날 ‘소아청소년암 필수진료체계 구축 토론회’에서 토론자로 나선 충남대병원 소아혈액종양분과 임연정(48) 교수는 부산에서 온 소아암 환자의 어머니 호소를 듣고 눈물을 흘리며 토론을 시작했다. 토론회는 국민의힘 서정숙·김미애·이종성·최재형 의원이 주최했다.

임 교수가 걱정한 환자는 16개월 된 급성골수성백혈병 아이다.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이 한창이던 지난 14일 이 아이에게 의사 7명이 달라붙었다고 한다. 항문 주변의 염증이 커져서 혹시 패혈증으로 번질까 봐 노심초사하면서 임 교수를 비롯해 감염·소아외과·성형외과·입원전담전문의 등이 매달렸고, 다행히 아이의 상태가 호전됐다고 한다.

임 교수는 지난해 11월부터 혼자서 소아암 환자를 돌본다. 전공의 4년 차 3명이 수련을 마치면서 전공의가 사라졌다. 오래전부터 전임의(펠로)도 없다. 10여년 동안 충남대병원 소아혈액종양분과를 지켰다. 전문의 한 명을 키우려 했으나 서울의 큰 병원으로 뽑혀갔다. 입원환자를 돌보는 전담 전문의 1명이 있지만, 낮에만 근무한다.

소아청소년과 다른 전공 교수들과 번갈아 가면서 주 1회 당직을 선다. 6~7명의 소아암 환자가 입원해 있는데, 성인 암 환자와 달리 응급 상황이 수시로 발생한다. 심 정지나 패혈증 쇼크 등의 위급 상황이 언제든지 생길 수 있다. 다른 소아청소년과 전공 교수가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임 교수는 24시간 365일 항상 전화 대기(온콜) 상태로 산다. 한밤중에 전화가 오면 처치법을 지시한다. 상황이 급하면 병원으로 달려나간다. 주말에도 회진한다. 아이들의 부모는 임 교수가 없으면 불안한지 “교수님 또 언제 오나요”라고 묻는다.

임 교수는 서울의 친정 부모 얼굴을 본 지 오래다. 명절에도 못 간다. 휴가는 엄두를 못 낸다. 19, 20일 이틀 용케 쉬었다. 며칠 더 쉬기로 돼 있지만, 아이들 상태가 맘이 놓이지 않아 이틀 쉬다 멈췄다. 휴가 때도 병원 전화를 계속 받았다. 학회는 평일 낮에만 간다.

임 교수를 더 힘들게 하는 게 있다. 충남대병원에서 해결할 수 없는 환자를 서울로 보내는 것이다. 16개월 된 아이도 건양대-충북대를 거쳐 충남대 임 교수한테 왔다. 조혈모세포 이식 수술이 필요한데, 아이의 몸무게가 얼마 안 되는 점 등이 우려돼 서울에서 수술할 것을 권했다. 부모는 아이의 쌍둥이 동생을 돌봐야 하는 등 형편이 여의치 않아 충남대를 떠나길 원하지 않았다. 임 교수는 “서울로 가는 게 아이에게 좋을 것 같다”고 부모에게 권했다.

아이 부모는 “서울 어디로 가야 하나요” “서울에 집을 얻어야 하나요” “큰 치료가 끝나면 충남대로 와도 되나요” 등을 임 교수에게 물었다. 부모가 기댈 데는 임 교수밖에 없다. 임 교수는 “부모에게 조언할 사람이 나밖에 없지 않으냐”고 말했다.

임 교수는 “여기서(충남대병원) 치료받기를 원하는 애들에게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그리하려면 간호사·인턴·전공의 등이 필요하다. 나 혼자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또 한 번 눈물을 흘렸다. 소아암 환자는 병원에서도 반기지 않는다고 한다. 중환자를 진료할수록 적자가 쌓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의사를 적극적으로 뽑아줄 이유도 없다.

토론회 이후 임 교수에게 “소아청소년과 교수들이 대학병원 탈출 러시라는데, 왜 힘들게 사느냐”라고 물었다.

“내가 떠나면 다른 의사가 오려고 할까요. 아이 돌보는 게 너무 좋아요. 애들을 두고는 못 갑니다.”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sssh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