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무덤에서 한반도 담뱃대가 나온 까닭
박현국 2023. 7. 21. 11:30
일제 강제 징용 노동자 무덤 유품 순회 전시
일제 강점기 일제의 강압으로 강제 징용을 해야만 했던 사람들은 788만을 헤아립니다. 그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일본 각지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일본에서 일하던 사람들 가운데 운이 좋아서 무사히 한반도를 돌아간 사람도 있지만 이름 없이, 무덤 없이, 흔적도 없이 일본 땅에 묻힌 사람들도 많습니다.
특히 홋카이도 광현사 부근 슈마리나이 지역에는 큰 댐 공사를 하면서 많은 한반도 출신 강제 노동자가 있었습니다.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은 제대로 입거나 먹지도 못하면서 어렵고 힘든 일에 매달려야 했습니다. 그래서 희생자도 더 많았습니다. 죽은 뒤 가족에게 연락은 고사하고, 정식 장례나 화장 절차도 없이 그냥 맨땅에 묻어 버리기도 했습니다.
이번 '일제 강제 징용 노동자 무덤 유품 순회 전시'는 홋카이도에서 발굴한 성과와 기록을 세상에 알리고, 보전하고, 교육 현장으로 만들기 위한 모금 행사였습니다. 처음 강제 노역자들의 위패가 모셔진 광현사 절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어서 '사사노 무덤 표식 전시관 강제연행자료관'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참고누리집>도노히라 요시히코, 패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shihiko.tonohira/?locale=ja_JP,
류코쿠대학 교우회, https://ryukoku-koyukai.jp/town/%E6%B5%84%E5%9C%9F%E7%9C%9F%E5%AE%97%E6%9C%AC%E9%A1%98%E5%AF%BA%E6%B4%BE%E3%80%80-%E4%B8%80%E4%B9%97%E5%AF%BA/, 2023.7.20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 50-1, 2017.3
평화디딤돌, 강제노동희생자 70년만의 귀환, http://steppingstone.or.kr/category/funding/funding-1st_2015/?ckattempt=1, 2023.7.20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theme/next/victimSearch01/sub01.do
참고자료> 정병호 교수님의 논문(2017.3)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내려 받았습니다.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박현국 기자]
19일과 20일 류코쿠대학 성취관에서 홋카이도에서 발굴된 '일제 강제 징용 노동자 무덤 유품 순회 전시'가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는 동아시아공동워크숍, 사사노 무덤 표식 전시관 재생, 화해와 평화의 숲을 만드는 실행위원회가 주관하고, 류코쿠대학 안중근 동양평화연구센터(센터장, 奥野恒久)가 중심이 되어 열렸습니다.
▲ 류코쿠대학 학생들이 일본 이번 행사를 주관하는 동아시아공동워크숍 김영현 선생님에게 자료 설명을 듣고 있습니다. |
ⓒ 박현국 |
일제 강점기 일제의 강압으로 강제 징용을 해야만 했던 사람들은 788만을 헤아립니다. 그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일본 각지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일본에서 일하던 사람들 가운데 운이 좋아서 무사히 한반도를 돌아간 사람도 있지만 이름 없이, 무덤 없이, 흔적도 없이 일본 땅에 묻힌 사람들도 많습니다.
우연히 홋카이도 광현사(光顯寺) 절에 위패가 모셔져 있던 것을 알게 된 일본 스님 도노히라 요시히코(殿平 善彦)의 소개와 한양대학교 정병호 교수를 비롯한 여러 사회 단체의 노력으로 홋카이도에서 발굴된 한반도 출신 유골 115구가 파주 시립묘지 납골당로 모셔졌습니다. 일제 강점기 홋카이도의 여러 노동 현장에서 강제 노력에 시달렸던 한반도 출신 노동자는 11만 5천 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 홋카이도 백금 채취 현장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리는 노동자 모습입니다. 1943-1945 |
ⓒ 전시 촬영 |
특히 홋카이도 광현사 부근 슈마리나이 지역에는 큰 댐 공사를 하면서 많은 한반도 출신 강제 노동자가 있었습니다.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은 제대로 입거나 먹지도 못하면서 어렵고 힘든 일에 매달려야 했습니다. 그래서 희생자도 더 많았습니다. 죽은 뒤 가족에게 연락은 고사하고, 정식 장례나 화장 절차도 없이 그냥 맨땅에 묻어 버리기도 했습니다.
처음 도노히라 스님은 광현사에 모셔진 위패 가운데 한반도 출신 강제 노역자를 발견하고, 관청을 찾아서 그들의 신상 정보를 비롯하여 사망 이유나, 매장지를 찾아서 확인했습니다.
이후 우연히 이곳을 찾은 정병호 교수를 만납니다. 1997년 정병호 교수는 학생들과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홋카이도를 방문하여 일본 사회 단체와 공동으로 강제 징용 노동자 공동묘지를 찾고, 맨땅을 파헤쳐 유해를 발견하고 유품을 수습하여 파주로 옮겨옵니다.
▲ 2015년 70년만의 귀향, 홋카이도 강제 노동 희생자 유골 귀환 행사는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출발하여 홋카이도까지 끌려 가셨던 여정을 되돌아오는 길이었습니다. |
ⓒ 박현국 |
이번 '일제 강제 징용 노동자 무덤 유품 순회 전시'는 홋카이도에서 발굴한 성과와 기록을 세상에 알리고, 보전하고, 교육 현장으로 만들기 위한 모금 행사였습니다. 처음 강제 노역자들의 위패가 모셔진 광현사 절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어서 '사사노 무덤 표식 전시관 강제연행자료관'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처음 절이었다가 자료관으로 사용되던 건물도 이제 오래되고, 겨울철 눈 피해로 무너졌습니다. 그래서 이 건물 자리에 자료관을 다시 짓고, 둘레에 교육을 위한 시설과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머물면서 역사 현장을 체험하고, 교육 현장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자금을 모집하려고 합니다.
정병호 교수님과 더불어 홋카이도 수마리나이 지역 강제 연행 한반도 출신 강제 노역자 유골을 한반도로 보내는 일을 앞장서 온 도노히라 스님은 이번 전시회가 열리는 류코쿠대학 문학부 철학과에서 공부를 하셨습니다. 도노히라 스님은 그동안 정병호 교수님과 행해 온 유골 송환 작업의 공적을 인정받아서 류코쿠대학 교우회가 주는 제 26회 류코쿠 특별상을 받으셨습니다.
▲ <4> 홋카이도 강제 노동 희생자 유골 무덤에서 부장품으로 나온 담뱃대와 도노히라 스님, 정병호 교수입니다. |
ⓒ 박현국 |
참고누리집>도노히라 요시히코, 패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shihiko.tonohira/?locale=ja_JP,
류코쿠대학 교우회, https://ryukoku-koyukai.jp/town/%E6%B5%84%E5%9C%9F%E7%9C%9F%E5%AE%97%E6%9C%AC%E9%A1%98%E5%AF%BA%E6%B4%BE%E3%80%80-%E4%B8%80%E4%B9%97%E5%AF%BA/, 2023.7.20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 50-1, 2017.3
평화디딤돌, 강제노동희생자 70년만의 귀환, http://steppingstone.or.kr/category/funding/funding-1st_2015/?ckattempt=1, 2023.7.20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theme/next/victimSearch01/sub01.do
참고자료> 정병호 교수님의 논문(2017.3)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내려 받았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박현국 기자는 교토에 있는 류코쿠대학 국제학부에서 주로 우리말과 민속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오마이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단독]국토부, '양평 김건희 라인' 구두 보고만 받고 검토 의혹
- 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 남 일 같지 않습니다
- 국힘, 초등교사 사망 두고 '문재인 정권-학생인권' 탓
- 국군의 뿌리가 적나라하게... 육사 안 표지석의 씁쓸한 다섯글자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카르텔
- [이충재 칼럼] 윤석열 정부, 권력에 취한 징후들
- '오송 침수' 공유한 외국인의 경고 "이제 한국 차례"
- "방치해 쌓인 수초로 배수펌프 고장" 청양 폭우 피해 인재인 이유
- 전국 시도교육감, 교사 사망 애도 "교권 존중받는 제도 필요"
- 환경단체 "4대강 정쟁 삼는 정부·감사원·환경부 카르텔 맞서 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