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에너지 빈국에서 기업만 ‘고군분투’ 안 된다
지난 1월 불거졌던 ‘난방비 대란’은 글로벌 에너지 수급 전쟁의 영향력을 새삼 실감케 했다. 글로벌 3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인 한국이 해외에 지분을 확보한 가스전 비중이 작다는 것은 언제든지 에너지 대란이 재현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의 석유·가스 자원개발률(자주개발률)은 지난해 말 기준 11%로 일본(40.1%)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더 심각한 것은 2015년 말 16%로 정점을 찍은 이후 계속 하락세라는 사실이다.
자원개발, 특히 가스전 개발은 진입장벽과 난도가 높은 사업이다.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지만 생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초기 탐사평가 단계에선 성공을 낙관하기도 힘들어서다. 이 때문에 국가적인 정책 지원과 인센티브가 충분하지 않으면 민간 기업이 선뜻 뛰어들기 어렵다.
국내 기업이 1조5000억원을 투입한 호주 바로사 가스전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2025년부터 약 20년간 매년 약 130만t의 천연가스를 국내로 도입할 예정인데, 이는 연간 국내 천연가스 소비량의 3%에 해당한다. 바로사 가스전은 국내 최초로 CCS(탄소 포집·저장) 기술이 적용돼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저탄소 LNG’ 생산이 추진되는 가스전이기도 하다. CCS 상용화 자체만으로도 탄소저감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국가 차원에서 응원해야 할 이 프로젝트가 특정 세력의 공격으로 불필요한 오해를 받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가스전 개발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좌초 자산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동시에 특정 에너지원(태양광·풍력 등)에 과도하게 몰입돼 해외 자원개발이 불가피한 한국적 상황을 도외시하고 있다.
그들의 신념을 존중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우리는 앞으로 20년 동안 천연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가. 유럽의 주요국과 메이저 에너지 기업들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가스전과 LNG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자체적인 자원 확보 노력 없이 일방적 수입에만 의존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한국은 해외에서 자체 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LNG를 도입하는 것이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핵심 과제다. 다행히 정부는 주요 에너지정책 방향의 하나로 민간 중심의 해외 자원개발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설정했다. 에너지 안보가 국제 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지금, 단순 의지를 넘어 제2, 제3의 바로사 가스전이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금이라도 각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김진수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멋진 걸 엄마 아빠만 봤다니"…54세 김완선에 빠진 MZ 왜 [이윤정의 판&펀] | 중앙일보
- 퇴직 후 월 330만원 쓰려면…27년간 월 75만원씩 부어라 | 중앙일보
- 만취 상태로 택시 태워진 20대 여성…이 한마디 덕에 위기 탈출 | 중앙일보
- "신발장만 달라도 '차별' 항의…교사들, 강남·서초학교 힘들어해" | 중앙일보
- 35살이 왜 어린이보험 가입해?…금감원이 던진 이 질문 | 중앙일보
- 성병 진단 후 일부러 여성과 성관계…20대男이 받은 처벌 | 중앙일보
- '반려동물과' 교수 반전 정체…불법 동물 경매장 '큰손'이었다 | 중앙일보
- 홍준표 '골프' 김영환 '늑장'…"엑스맨이냐" 재해 때마다 與 골치 | 중앙일보
- "금쪽이 솔루션? 씨알도 안먹혀"…오은영 저격한 소아정신과 박사 | 중앙일보
- 인천 초등생이 교사 폭행…머리채 잡힌 교사, 119 실려갔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