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부탁드립니다, 신입 홍길동 54세입니다" 30년 후 직장 풍경
상의 SGI 보고서…"저출산·고령화 심화 탓"
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로 2050년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연령이 약 54세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OECD 국가 평균연령(43.8세)보다 10세가량 높은 것으로, 고령층 생산성 제고와 인력수급 개선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21일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22년 국내 취업자의 평균연령을 46.8세로 추정하며,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바탕으로 현재의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취업자 평균연령을 구한 결과, 우리나라 취업자의 평균연령은 2030년에 50세를 넘어서고 2050년에는 53.7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이는 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인 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최근 고령층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고 저출산이 심화하는 추세를 고려하면 취업자 고령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SGI는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 경제로 전환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변화 속도가 빠른 업종에서 젊고 양질의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게 된다면 국가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커다란 지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IMF는 2016년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노동력 고령화가 총요소생산성을 연평균 0.2%포인트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보고서를 발간했다.
지난해 산업별 전체 취업자 중 50세 이상 비중을 계산한 결과 제조업에 속한 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이른바 저위기술 산업에서 절반을 넘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 사업지원(57.1%) 등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약(15.7%),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등의 제조업과, 정보통신(16.8%), 전문과학기술(23.8%) 등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SGI의 김천구 연구위원은 “기업 입장에서는 업무에 필요한 역량 습득을 위해 충분한 교육 기간과 비용 투입이 필요한 고위기술직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을 충분히 회수할 정도로 고용기간이 남아 있는 젊은 인력을 선호한다”며 “아직은 괜찮은 편이지만 앞으로 20~30대 인구가 급감하는 인력공급 환경에서 고위기술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이 구인난을 겪을 가능성 있다”고 우려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30대 인구는 2022년 1357만8000명에서 2030년 1208만3200명, 2040년 948만1000명, 2050년 735만4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취업자 고령화, 지방소멸과도 밀접한 연관관계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취업자 고령화 문제는 인력 미스매치와 산업경쟁력 저하, 지방소멸과도 밀접한 연관관계를 보였다.
SGI가 지난해 취업자 고령화 정도를 지역적으로도 분석한 결과 ‘50세 이상이 50%를 넘어선 곳은 전남(58.7%), 강원(55.5%),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으로 나타났다. 모두 비수도권이다.
반면 서울(38.5%), 인천(42.6%), 경기(41.7%) 등 수도권과 대전(41.4%), 세종(34.5%) 지역은 상대적으로 5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이 작았다. SGI는 수도권과 대전·세종 등에서도 서울을 제외하면 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지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취업자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저출산 대책 효율화 ▲ 고령층 생산성 제고 ▲ 임금체계 개편 ▲ 인력수급 개선 ▲ 지역 특화 미래 전략산업 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SGI의 김천구 연구위원은 “지역별로 고령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면서 산업 생태계의 배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수도권 등에 고위기술 업종이 집중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박양수 대한상의 SGI 원장은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인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 경쟁력 저하, 지역소멸 등을 해결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방안, 지역 산업역동성 회복, 혁신인재 공급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달에 150만원 줄게"…딸뻘 편의점 알바에 치근덕댄 중년남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
- "돈 많아도 한남동 안살아"…연예인만 100명 산다는 김구라 신혼집 어디? - 아시아경제
- "일부러 저러는 건가"…짧은 치마 입고 택시 타더니 벌러덩 - 아시아경제
- 장난감 사진에 알몸 비쳐…최현욱, SNS 올렸다가 '화들짝' - 아시아경제
- "10년간 손 안 씻어", "세균 존재 안해"…美 국방 내정자 과거 발언 - 아시아경제
- "무료나눔 옷장 가져간다던 커플, 다 부수고 주차장에 버리고 가" - 아시아경제
- "핸들 작고 승차감 별로"…지드래곤 탄 트럭에 안정환 부인 솔직리뷰 - 아시아경제
- 진정시키려고 뺨을 때려?…8살 태권소녀 때린 아버지 '뭇매'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