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북한 대외무역 규모 15억8561만 달러…전년比 122.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가 전년 대비 122.3% 증가한 15억8561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북한의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2021년보다 124.8% 증가한 15억3249만 달러(수출 1억3366만 달러, 수입 13억9883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역적자 5억6544만 달러→12억6761만 달러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가 전년 대비 122.3% 증가한 15억8561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코로나19 상황 완화, 북-중 철도교역 재개 등으로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21일 발표한 '2022년 북한 대외무역 동향'에 따르면 북한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 대비 94% 증가한 1억5900만 달러, 수입은 126% 증가한 14억2661만 달러로 집계됐다. 무역적자는 2021년 5억 4941만 달러에서 지난해 12억6761만 달러로 130.7% 증가했다.
지난해 북한의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2021년보다 124.8% 증가한 15억3249만 달러(수출 1억3366만 달러, 수입 13억9883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무역적자는 2021년 5억6544만 달러에서 지난해 12억6517만 달러로 대폭 늘어나 코로나19 기간의 약 두 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또한 북한 전체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95.6%에서 2022년 96.7%로 상승함에 따라 김정은 집권 이후 대중(對中) 의존도가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에 이어 베트남,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가 북한의 5대 교역국에 이름을 올렸고 북한의 전체 교역국 1위인 중국(96.7%), 2위인 베트남(1%)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가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 북한의 최대 수출품목인 광물류는 전년 대비 7281% 증가한 4458만 달러로 2021년 2위에 이어 지난해에는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2021년도 상위 5위 수출 품목 안에 들었던 철강, 광물성 연료·광물유, 견은 지난해에도 상위권을 유지했다. 또한 조제우모와 솜털, 유리와 유리제품은 각각 2878%, 1만4194%의 증가율을 보이며 전년 대비 수출액이 급증했다.
지난해 북한의 최대 수입품목은 2021년에 이어 원유·정제유 등 광물성 연료·광물유로 5억2000만달러가 수입돼 전체 수입의 36.4%를 차지했다. 플라스틱류, 고무류, 그리고 담배가 전년도에 이어 상위권을 유지했다. 동식물성 유지와 분해생산물이 새로 3위에 진입한 것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KOTRA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 완화 및 북·중 철도교역 재개 등에 따라 교역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지는 못했다"며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어 대중 의존도 변화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친개라고 생각해" 카페 女주인 끌어안고 만져댄 건물주 70대男
- [단독] 민주당, 당원교육서 '尹 탄핵 여론몰이'…"고속道 의혹 국정농단"
- 2000억 적자 LG엔솔이 쓴 1조 신화…"비결은 구본무 선대 회장 패기"
- "또 가짜뉴스야?"…與, '김건희 샤넬백' 민주당 박영훈 명예훼손 고발
- "아내가 美간호사 되더니…말도 없이 두 딸과 사라졌습니다"
- [단독] 故 오요안나 2023년 1월 녹취록…MBC의 징벌적 6+6 계약조치 '충격'
- 이재명 상속세안, 왼쪽에서도 오른쪽에서도 뭇매
- 이주호 "국민들 고통 감수하며 의료개혁 지지…의대 증원 최대한 빨리 타결"
- 사랑에서 논리를 찾을 수 있을까…뮤지컬 ‘베르테르’ [D:헬로스테이지]
- 독주 현대캐피탈, '천적' 대한항공 밀어내고 우승 축포 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