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민 2.6명 중 1명 의료용 마약 처방…역대 최대

임혜선 2023. 7. 19. 12: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 공개
의료용 마약류 처방 환자 1946만명
펜타닐 패취제·진통제 등 사용 감소

지난해 국민 2.6명 중 1명은 의료용 마약류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약류 통합관리시스템으로 관련 통계를 수집한 2018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40~50대가 가장 많이 사용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마약·향정신성의약품)의 제조(수입)·유통·처방 현황을 담은 '2022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를 19일 발표했다.

40~50대 사용 많아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946만명(중복 제외)으로 전년 대비 62만명(3.3%)이 증가했다. 효능별 의료용 마약류 처방 환자 수는 마취제가 1122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최면진정제(928만명), 항불안제(641만명), 진통제(312만명), 항뇌전증제(124만명), 식욕억제제(121만명), 진해제(65.6만명), ADHD치료제(22.1만명)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21.0%(406만명), 40대가 19.9%(384만명)로 많았다. 이어 60대(19.3%·374만명), 30대(12.5%·243만명), 70대(10.6%·204만명), 20대(7.5%·55만명), 80대 이상 (6.0%·40만명), 10대 이하 (3.2%·32만명) 등이 뒤를 이었다. 40대 이상 연령대에서 의료용 마약류 사용이 많은 것은 프로포폴·미다졸람과 같은 마취제가 건강검진이나 간단한 시술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식약처는 분석했다.

지난해 마약류 취급자(업체)는 총 4만6541개소다. 약국이 2만2887개소(49.2%), 의료기관이 1만6947개소(36.4%)였다. 이외에도 동물병원(3527개소), 도매업자(1977개소), 학술연구자(1029개소), 제조업자(63개소), 원료사용자(63개소), 수출입업자(48개소) 등도 있다.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한 의사 종류별로는 의사가 10만1057명, 수의사가 5239명, 치과의사가 5165명이다. 처음으로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하는 수의사의 수가 치과의사의 수를 넘어섰다.

항불안제 사용 가장 많고, 진통제·식욕억제제 줄어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전체 처방량은 18억7360만개로 2021년 대비 2.5% 증가했다.

효능별 처방량은 항불안제(9억1863만개, 49.0%)가 가장 많았다. 성분별 처방량은 알프라졸람(항불안제, 3억9,423만개, 21%)이 많았다.

오남용 우려 문제가 제기된 진통제, 식욕억제제, 펜타닐 경피흡수제(패취제) 등은 처방량이 줄었다. 진통제와 식욕억제제 처방 건수는 전년 대비 각각 5.3%, 5.0% 감소했다. 처방량도 각각 3.6%, 0.8% 줄었다. 펜타닐 경피흡수제(패취제) 처방 건수와 처방량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감소세다. 특히 20세 미만의 펜타닐 경피흡수제 처방 환자 수는 482명이고, 처방량은 3067개다. 비중은 전체 처방의 0.3%, 0.1% 수준이다. 처방 환자 수와 처방량 모두 2021년에 비해 감소했다.

의료용 마약류의 국내 생산실적은 2942억원으로 2021년 대비 약 10.6% 줄었다. 수입액은 994억원으로 2년 연속 증가했다. 수출액은 146억원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었다.

의료용 마약류는 현재 의료현장에서 수술 전 마취나 암·만성통증 관리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 적극적인 만성 통증 관리 경향 등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오남용되면 중독·심각한 부작용·사망 등 영구적인 손상의 위험이 있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식약처는 의료용 마약류의 안전하고 적정한 사용을 위해 오남용 조치기준에 해당하는 식욕억제제·진통제 등을 처방하는 의사·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사전알리미’ 제도를 운용하고, 과다 처방이 지속되는 경우 처방 금지 등 행정조치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마약류의 오남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처방 의사가 환자의 투약 이력을 내년 6월부터는 의무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식약처는 투약 이력 확인 대상 성분 지정 등 하위법령을 조기에 마련할 계획이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