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 볼 새 없다"…돈 버는 60대女 급증

최승우 2023. 7. 16. 11: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증가가 맞물린 결과
전문가 “노인경제 시대 능동적으로 대비해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고 일하는 고령층이 점점 늘어나면서, 60대 여성 중 돈을 버는 사람이 육아나 가사를 하는 사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60대(60∼69세) 여성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4만5000명(8.2%) 늘어난 191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미취학 아동을 돌보는 육아를 하는 60대 여성은 3만3000명, 가사를 하는 60대 여성은 167만7000명이었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가 육아나 가사를 하는 60대 여성(171만명)보다 많은 것이다. 60대 여성 취업자 수는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육아나 가사를 한 인구를 앞서기 시작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육아를 하는 60대 여성은 3000명이 늘어난 반면, 가사를 하는 60대 여성은 1만7000명 줄었다. 집안에서 가사 대신 수입 목적으로 일을 하는 60대 여성이 점점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현상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와 함께 고령층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와 맞물린 결과다. 지난달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2%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동월 기준 가장 높은 것이다. 고용률 역시 47.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자리 정보를 살펴보는 고령의 구직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지난해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에 따르면 미래에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55∼79세) 비율 역시 68.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하는 등,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자는 계속 늘고 있다.

맞벌이가 많아지면서 돌봄 수요 등이 증가, 60대 여성이 많이 종사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관련 수요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60대 여성 취업자 가운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종사자는 37만5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가운데 가장 큰 비중(20%)을 차지했다. 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2만6000명 늘었는데 이중 60대 여성은 3만7000명이었다.

고령층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면서 전체 여성의 고용도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달 여성의 고용률은 55.1%로 동월 기준 역대 가장 높았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33만2000명 늘었는데 이중 60대 여성은 14만5000명으로 30대(9만6000명), 50대(7만4000명) 등 다른 연령대를 웃돌았다.

한국은 2022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900만명을 넘으며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했다. 2025년에는 비중이 20%를 돌파해 본격적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문가들은 노인 경제를 일컫는 이른바 ‘엘더노믹스(Eldernomics)’를 능동적으로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고령층을 청년의 반대 개념이 아니라 더 오래 일할 수 있는 추가 노동력이자 추가 소비층으로 보고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독일의 고령자 고용률은 유럽연합(EU) 국가 가운데 스웨덴과 덴마크 다음으로 가장 높다. 독일 연방 노동사회부(BMA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만 55세부터 64세 사이의 고령 인구의 고용률은 72%로 9년 전인 2012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EU 국가들의 평균 고령자 고용률이 60%인 것보다 12%포인트 더 높다.

반면 고령 근로자들의 고용 형태에서 비정규직은 적은 수준이다. 독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만 55~65세 가운데 정규직에 속하는 표준 근로자 수는 653만9000명이며, 비정규직 등이 있는 비정형적 근로자 수는 177만5000명이다. 고령자들의 노동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따른 결과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