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국가’보단 ‘대륙’으로 봐야...지역별 맞춤형 전략으로 접근
인도 시장에 물건을 팔려는 기업이라면 ‘가성비’와 ‘현지 맞춤 마케팅’이 필수다. 인도 현지에는 ‘파이사 바술(Paisa Vasool)’이라는 문화가 존재한다. 지불하는 돈(Paisa)에 대해 보상(Vasool)이 확실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야말로 ‘가성비’가 좋아야 한다는 뜻이다. 가격만 싸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현지 문화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과 상품 판매로 승부를 봐야 한다. 빈준화 코트라 서남아본부장은 “현대차는 철저한 현지화로 성공을 거둔 케이스다. 한국 차량을 그대로 들여와서 팔지 않았다. 크레타, 알카자르, 기아 소넷, 카렌스 등 인도 시장에 맞는 전략형 소형 SUV 모델을 새로 만들었다. 철저한 현지화 효과로 ‘마루티스즈키’에 이어 시장점유율 2위 기업으로 오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인도 내 공장 건설, 생산 설비 투자 등을 준비 중인 기업은 진출할 지역을 사전에 잘 선정해야 한다. 북인도와 남인도는 문화가 완전히 다르다. 같은 주라도 도시에 따라 사정이 달라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인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철저하게 독립된 별도의 국가로 봐야 한다. 중앙정부가 약속한 투자 인센티브를 지방정부가 거부할 수 있다. 김도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남아시아팀 전문연구원은 “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인프라 등이 갖춰진 곳을 찾아봐야 한다. 또 주 정부의 법규 등을 세부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업을 지원하는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잖다. 기업 홀로는 인도 진출 조건을 일일이 챙기기 힘들다. 기업이 해결하기 힘든 일은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물건 통관 정책 지원, 직항편 확대 등이 대표적인 예다. 김기봉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인도 시장 진출을 확대하되 인도 정부의 수입 대체 전략과 복잡한 규제 등을 고려해야 한다. 최종재보다는 중간재 수출에 주력하면서 통관 등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인도 현지에 쉽게 진출하려면 교류가 많아져야 한다. 인도의 인재가 한국에 쉽게 오고, 한국 직원이 쉽게 현지 법인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직항으로 입국 가능한 지역은 델리밖에 없다. 정작 경제적으로 중요한 뭄바이, 벵갈루루, 첸나이, 푸네 등 도시는 복잡한 경유 절차를 거쳐야 한다. 직항편이 없으니 가고 싶어도 못 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요는 많다. 중요 인도 거점 도시와의 하늘길을 여는 것이 필수다.” 김동규 코트라 벵갈루루 무역관장의 뼈 있는 진단이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17호 (2023.07.12~2023.07.18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미녀? 생소한데 美서 대박...매출 2000억 노리는 K뷰티 등극 [내일은 유니콘] - 매일경제
- 美 장갑차 프로젝트 하차한 한화...호주 ‘레드백’으로 만회할까 - 매일경제
- 머스크 ‘트위터’ vs 주커버그 ‘스레드’ 승자는 누구?...여론전은 스레드 ‘판정승’ [민심레
- “일요일에도 택배 받는다”...CJ대한통운, 통합 배송 브랜드 ‘오네’ 시작 - 매일경제
- 美 반도체 훈풍에...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반 강세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
- 한샘의 40대 여성 CEO, 김유진은 누구?...IMM PE의 ‘특급 소방수’ - 매일경제
- 트로트의 사회학...‘뽕짝’ 열기, 왜 꺼지지 않을까 - 매일경제
- 테이블서 주문·결제까지...엄동설한에 ‘티오더’ 투자 유치 비결 - 매일경제
- “어느새 20억 훌쩍”...목동 집값 무섭게 오른다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尹 대통령 지원 발언에...우크라 재건 관련주 ‘들썩’ [오늘, 이 종목]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