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국가’보단 ‘대륙’으로 봐야...지역별 맞춤형 전략으로 접근

반진욱 매경이코노미 기자(halfnuk@mk.co.kr) 2023. 7. 15. 19: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 인도 진출 주의점은
인도는 잠재력이 높다는 이유로 섣불리 들어갈 시장이 아니다. 지역, 도시마다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조사가 필수다. 사진은 개발 중인 뭄바이 일대를 걷는 시민들. (반진욱 기자)
인도 경제의 잠재력이 커지면서 인도 시장 진출을 시도하는 한국 기업이 늘어나는 모양새다. 생산 거점 마련을 목적으로 공장 건설에 나서거나 인도 소비 시장에 상품을 내놓는 식이다. 다만, 잠재력이 높다는 이유로 무턱대고 발을 들이면 곤란하다. 전문가들은 제도가 복잡하고 지역마다 특색이 완전히 다른 국가인 만큼 인도 진출 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인도 시장에 물건을 팔려는 기업이라면 ‘가성비’와 ‘현지 맞춤 마케팅’이 필수다. 인도 현지에는 ‘파이사 바술(Paisa Vasool)’이라는 문화가 존재한다. 지불하는 돈(Paisa)에 대해 보상(Vasool)이 확실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야말로 ‘가성비’가 좋아야 한다는 뜻이다. 가격만 싸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현지 문화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과 상품 판매로 승부를 봐야 한다. 빈준화 코트라 서남아본부장은 “현대차는 철저한 현지화로 성공을 거둔 케이스다. 한국 차량을 그대로 들여와서 팔지 않았다. 크레타, 알카자르, 기아 소넷, 카렌스 등 인도 시장에 맞는 전략형 소형 SUV 모델을 새로 만들었다. 철저한 현지화 효과로 ‘마루티스즈키’에 이어 시장점유율 2위 기업으로 오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인도 내 공장 건설, 생산 설비 투자 등을 준비 중인 기업은 진출할 지역을 사전에 잘 선정해야 한다. 북인도와 남인도는 문화가 완전히 다르다. 같은 주라도 도시에 따라 사정이 달라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인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철저하게 독립된 별도의 국가로 봐야 한다. 중앙정부가 약속한 투자 인센티브를 지방정부가 거부할 수 있다. 김도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남아시아팀 전문연구원은 “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인프라 등이 갖춰진 곳을 찾아봐야 한다. 또 주 정부의 법규 등을 세부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업을 지원하는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잖다. 기업 홀로는 인도 진출 조건을 일일이 챙기기 힘들다. 기업이 해결하기 힘든 일은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물건 통관 정책 지원, 직항편 확대 등이 대표적인 예다. 김기봉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인도 시장 진출을 확대하되 인도 정부의 수입 대체 전략과 복잡한 규제 등을 고려해야 한다. 최종재보다는 중간재 수출에 주력하면서 통관 등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인도 현지에 쉽게 진출하려면 교류가 많아져야 한다. 인도의 인재가 한국에 쉽게 오고, 한국 직원이 쉽게 현지 법인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직항으로 입국 가능한 지역은 델리밖에 없다. 정작 경제적으로 중요한 뭄바이, 벵갈루루, 첸나이, 푸네 등 도시는 복잡한 경유 절차를 거쳐야 한다. 직항편이 없으니 가고 싶어도 못 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요는 많다. 중요 인도 거점 도시와의 하늘길을 여는 것이 필수다.” 김동규 코트라 벵갈루루 무역관장의 뼈 있는 진단이다.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17호 (2023.07.12~2023.07.18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