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원생명과학, 핵산 기반 단클론 항체 플랫폼 활용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개발

장효원 2023. 7. 10. 08: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진원생명과학은 개발 중인 핵산 기반 항체치료제의 전달 플랫폼 기술 다각화의 일환으로,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핵산 기반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치료제 전달 플랫폼에 대한 리뷰 논문을 '안티바디즈(Antibodies)'에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우리 회사는 이미 플라스미드DNA(Plasmid DNA) 전달 시스템을사용한 단클론 항체 치료제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회사의 핵산 기반 백신 및 치료제 파이프라인 다각화의 일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단클론 항체치료제 플랫폼의 차세대 모달리티인 mRNA로의 확장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은 개발 중인 핵산 기반 항체치료제의 전달 플랫폼 기술 다각화의 일환으로,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핵산 기반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치료제 전달 플랫폼에 대한 리뷰 논문을 ’안티바디즈(Antibodies)’에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mRNA 백신 분야의 저명한 연구자인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놀버트파르디(Norbert Pardi)’ 박사, 위스타 연구소(Wistar Institute)의 항체 엔지니어링 전문가 모하메드(Mohamed Abdel-Mohsen) 박사, 그리고 핵산 기반 백신 및 치료제 연구의 권위자 하버드 의과대학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의 쉬 즈양(Ziyang Xu) 박사 등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단클론 항체 치료제는 암,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감염병,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주요한 면역치료제로 부상하고 있으나 높은 개발 및 생산 비용에 따른 높은 약가로 인해 환자의 접근성이 제한돼 있다.

진원생명과학은 핵산 기반 백신의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오래 전부터 합성 핵산 기반 전달 플랫폼 기술을 통한 단클론 항체의 생체 내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단클론 항체 치료제의 빠른 시장 진입 및 비용 절감 문제를 충족시켜 궁극적으로 환자의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우리 회사는 이미 플라스미드DNA(Plasmid DNA) 전달 시스템을사용한 단클론 항체 치료제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회사의 핵산 기반 백신 및 치료제 파이프라인 다각화의 일환으로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단클론 항체치료제 플랫폼의 차세대 모달리티인 mRNA로의 확장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분야 전문가들 및 차세대 기술 플랫폼 보유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한 핵산 기반 항체 플랫폼 핵심 기술 고도화 및 다각화를 추진해 항체 의약품에 대한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과 의료진의 약제 선택권 확대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