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수천 명, 고독사 하는 남성들
[김성호 기자]
고독사는 오늘날 한국의 주된 사회문제 중 하나다. 가족이며 친척, 친구들과의 인간관계며 사회활동이 끊긴 상태로 지내다가 아무도 모른 채 죽음을 맞는 일을 이미 많은 이들이 당면한 위기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번영을 누리는 이 때, 너무나도 많은 구성원이 기본적인 존엄조차 갖추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는 사실은 얼마나 참담한 일인가.
사태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도 완전히 손을 놓고 있지는 않았다. 2021년 처음으로 고독사 예방과 관련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지난해는 역시 처음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결과는 어떠했나. 2017년엔 2412명, 2018년엔 3048명, 그리고 2021년엔 3378명이 고독사했다는 통계가 작성됐다. 사망자 100명 중 한 명은 고독사하고, 특히 은퇴 직후의 남성이 전체 고독사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다는 해석이다.
그렇다고 젊은이들이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건 아니다. 2030 젊은 남성의 고독사도 한 해 수백 명에 달해 관계가 파괴되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이 처한 위협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는 사실을 짐작케 한다. 외신이 한국과 일본 남성의 고독사를 주제로 몇 번이나 심층보도를 냈다는 건 이 사회가 특정한 계층과 집단의 위기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 호이스트 포스터 |
ⓒ BIFAN |
부천 찾은 관객들의 선택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찾은 관객들이 30분짜리 짧은 영화 한 편을 주목했다. 코리안 판타스틱 부문 관객상을 받은 <호이스트>가 그 주인공으로, 건설현장에서 쓰이는 장비인 호이스트 속에 갇힌 한 청년의 이야기를 담았다.
단편영화로는 드물게도 두 줄기 이야기를 교차로 편집한 영화는 주인공인 사내의 현재와 과거를 담는다. 현재는 호이스트라 불리는 장비, 뼈대만 있는 거칠고 불친절한 승강기에 갇힌 상황이며, 과거는 그가 지금 이 곳에 이르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다.
▲ 호이스트 스틸컷 |
ⓒ BIFAN |
누구도 찾지 않는 고립된 곳에서
그가 호이스트를 타게 된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돈에 쪼들리는 상황은 그를 공사장 인부로 이끌었다. 이 시대 가진 것 없는 사내들이 막노동에 이르는 건 자연스러운 일 아닌가. 처음 막노동에 나서는 청년은 시멘트가루 날리는 현장에서 막내 잡부로 일하게 마련이고 종일 선임들의 일을 도우며 땀방울을 흘린다.
그렇게 일하던 중 문자 하나를 받으니, 어느 기업에서 서류전형 합격을 통보하는 메시지가 아닌가. 그러나 바쁜 일터에서 면접 참석여부를 묻는 문자에 답장을 할 수조차 없어 그는 일이 끝나기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그로부터 일은 꼬여나가고 그는 마침내 모두가 퇴근한 공사장에서 홀로 호이스트에 오르게 되는 것이다.
▲ 호이스트 스틸컷 |
ⓒ BIFAN |
감독 "고독사를 생각하며 만들었다"
영화 <호이스트>의 국형 감독은 영화를 준비하며 고독사에 대해 생각했다고 말한다. 고독사로 숨지는 수많은 사람들이 어째서 그 고립된 공간을 나오지 못하고 홀로 생을 마쳐야 했는지를 고민했다는 것이다. 그렇게 홀로 생을 꺼뜨리는 비좁은 방이 외딴 공사장의 호이스트와 마주 닿는다. 분투해도 혼자서는 빠져 나올 수 없는 그 차고 불편한 공간이 어떻게 사람들을 해치는가를, 그 안에서 죽어가는 이들은 또 어떤 사람들인가를 이 처절한 영화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호이스트>가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은 건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오늘의 관객에게 결코 멀리 있지 않은 위협을 장르적 재미를 가진 한 편의 재난 스릴러로 만들어낸 솜씨가 충분한 호소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형 감독은 상영이 끝난 자리에서 관객들을 향해 "다시 만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기약했다. 그가 그럴 수 있기까지 열어내야 할 호이스트의 문이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나는 그가 그 모든 문을 열어 제 다짐을 지키기를 바란다. 또 그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제 앞의 문을 열어젖히고 뚜벅뚜벅 나아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김성호 평론가의 얼룩소(https://alook.so/users/LZt0JM)에도 함께 실립니다. '김성호의 씨네만세'를 검색하면 더 많은 글을 만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