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을 대하는 언론의 '이중적 태도'
[김홍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킬러 문항' 발언으로 갑자기 수능과 사교육이 '공공의 적'이 됐다. 대형 학원들은 세무조사도 받았다. 현직 교사와 사교육 유명 강사들이 연계된 '사교육 카르텔' 관련 기사가 언론 지면을 채운다.
그런데 궁금하다. 언론은 윤 대통령과 이주호 교육부장관이 '킬러 문항' '사교육 폐해'를 말하기 전까지 어떤 태도를 보였을까?
▲ 킬러 문항 사교육 관련 언론 보도 건수 2022년 7월 8일부터 2023년 7월 8일까지 1년 동안 ‘킬러 문항 사교육’이라는 단어로 '빅카인즈'(BigKinds)에서 검색한 결과이다. 기사의 절대 다수가 6월 15일 이후 쏟아졌다. |
ⓒ 빅카인즈 |
그 가운데 올해 6월 15일부터 7월 8일 사이 기사가 673건을 차지했다. 96.83%다. 보도량에만 차이가 있을 뿐 '사교육'이라는 단어로 검색한 결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여러 언론 보도를 종합해 보면, 윤 대통령의 이른바 '킬러 문항' 관련 공식 언급은 6월 15일 이주호 교육부장관의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시작됐다. 사교육과 '킬러 문항' 관련 언론 보도가 갑자기 늘어난 시점도 6월 15일부터다.
"지난 3월 나온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학부모들이 1년간 학원이나 과외, 인터넷 강의 등에 쓴 돈이 무려 26조원에 육박했다. (중략) 사교육 지옥은 너무나 지나친 입시 경쟁이 낳은 것이기도 하다.
(중략) 외국에서 한국의 이런 교육 현실을 '압력 밥솥'이라고 말한다고 한다. 학생 학부모를 압력 밥솥에 넣고 찌는 것 같다는 것이다. (중략) 학생들 역량이나 우리나라 학문 수준이 높아졌다는 증거도 없다. 사교육은 치유 불가능한 질병이 아니다.
(중략)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강력히 추진하는 한편으로 지나친 대학 서열화의 해소 등 교육 혁신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들도 과감하게 문호를 열어 사회 병리 현상 치유에 동참해야 한다." - <조선일보> 2023년 6월 17일 인터넷판 사설, '교육 지옥' 해소 못하면 저출생 극복 불가능하다 )
이 신문은 7월 8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을 인터뷰한 기사 <염재호 "미 명문대는 SAT 만점도 떨어뜨려... 수능 체제 바꿔야">도 실었다. 점수 1점 차이가 '능력' 차이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존재하는 우리 사회에서 기사 제목은 무척 자극적이다.
▲ 조선일보 염재호 총장 인터뷰 기사 조선일보는 7월 8일 염재호 태재대 총장을 인터뷰한 기사 <염재호 “미 명문대는 SAT 만점도 떨어뜨려...수능 체제 바꿔야”>를 실었다. |
ⓒ 조선일보 |
안타깝지만 나는 비관적이다. 대통령이 또 다른 지시를 하거나 새로운 사회적 이슈가 생기고 국회의원 선거가 다가오면 관심은 차갑게 식을 것이다. 지금껏 그래왔던 것처럼.
▲ 6월 모의 평가 직후 언론 보도 6월 수능 모의평가 직후에 중앙일보와 경향신문에 실린 관련 기사다. 공통으로 학원 관계자들을 인터뷰했다. 다른 언론들도 비슷한 보도를 했다. |
ⓒ 중앙일보 경향신문 |
이런 기사는 매년 반복됐다. 수능 전후나 모의평가 이후에는 어김없이 대다수 언론이 무슨 무슨 학원 원장이나 관계자를 인터뷰한 기사를 싣는다. 이른바 진보, 보수 가릴 것 없다. 사교육을 바라보는 언론의 기본 태도다.
모든 제도와 정책은 바꿀 수 있다. 특히 교육 분야는 완전히 뜯어고쳐야 하는 문제들이 쌓여 있다. 그러나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국가 정책이나 주요 제도가 흔들리고, 온 나라가 들썩이는 현상은 국가의 주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의심하게 한다. 바람직하지 않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지난 정부들도 이런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고교학점제를 추진하면서 수능 비율을 늘린 것이 대표적이다.
교사들 가운데 대형 입시 학원으로 가는 이들이 종종 있다. 유명 입시 학원이 아니어도 어느 정도 경력을 쌓고 학원을 차리는 사례도 있다. 일부 교사들은 출발부터 대학원 파견, 교과서 집필, 수능 출제 참여, EBS 강의, 대형 입시 학원 진출 등 구체적 로드맵을 짜고 스펙을 쌓기도 한다.
개인의 선택이다. 그들을 공교육 밖으로 내모는 교육부와 사학 재단의 책임도 있다. 그런데 돈과 명성, 드러난 스펙으로 사람을 판단하고 효율성으로 교육 효과를 재단하는 우리 사회 분위기가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다. 그 분위기를 만드는 데 우리 언론이 일정 부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교사 출신 학원 강사 인터뷰 기사 조선일보는 2009년 7월 8일 교사를 그만두고 대형 학원으로 간 강사를 인터뷰한 기사를 실었다. |
ⓒ 조선일보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굴된 시체만 382구, 제주공항 자리에서 가장 많이 죽었다
- 사장님, 저 사실 너무 더워서 반삭했습니다
- 어느날 프랑스 남자가 찾아왔다, 한국 와인이 궁금하다고
- 부산 오염수 반대서명 10만명 돌파 "IAEA·수조물 먹방이 불붙여"
- 일 언론 "8월 오염수 방류 유력"... 원자력규제위 '종료증' 교부
- 표절, 자살 소동, 재기... 룰라가 개척한 길
- 김건희 특혜 노선, 2년 전 민주당 요구? 원희룡의 물타기
- 미국, 우크라에 '무차별 살상력' 집속탄 지원... "어려운 결정"
- 김현 방통위원 단식 중단, MBC 대주주 방문진 감독은 막았다
- 10개월 지났건만... 아직도 '바이든? 날리면?' 말 못하는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