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 예금 빼서 버틴 기업들…정부의 한은 '마통'도 역대 최대

김경희 2023. 7. 6. 17: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올해 초 수출 부진, 부동산 침체 등으로 경기가 둔화하면서 국내 여유자금이 1년 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불경기에 기업은 예금을 빼거나 빚을 내 버텼고, 정부는 세수 부족에 시달린 탓이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여유자금(순자금운용) 규모는 1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1000억원) 대비 13조9000억원 감소했다.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 2분기(-1조4000억원) 이후 최저 규모다. 순자금운용은 경제활동 주체들이 예금ㆍ채권ㆍ주식ㆍ보험 등으로 굴린 돈(자금 운용)에서 금융회사 대출금(자금 조달)을 뺀 금액이다. 이 차액이 플러스(+)라면 여유자금이 있어서 '순운용'을, 마이너스(-)이면 자금이 부족해 '순조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재민 기자

기업(비금융법인)은 수출 한파에 허리띠를 졸라맸다. 올해 1분기 기업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42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35조3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우선 예금과 주식 등으로 굴린 돈은 1년 전 82조5000억원에서 -46조2000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실적 부진에 자금난까지 겹친 기업들이 예금(-31조2000억원)을 대거 인출하면서다. 둘 다 역대 최저 수준이다. 반면 대출이나 채권 발행으로 빌린 돈은 117조8000억원에서 -3조9000억원으로 줄었다. 자금을 조달할 때도 금리가 높은 기업대출을 받기보다는 회사채를 발행했다.

세수 부족에 시달린 정부는 어렵사리 곳간을 메웠다. 정부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23조1000억원으로 1년 전(10조7000억원)의 2배 이상 늘었다. 경기 둔화와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국세 수입이 111조1000억 원에서 87조1000억 원으로 크게 줄어서다. 자금조달 규모(74조7000억원) 중 한국은행 대출금이 31조원을 차지했는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문혜정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정부가 국채 발행을 덜 하는 대신 한은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수 결손을 메우기 위한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을 당겨쓴 것이다.

한편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64조8000억원에서 76조9000억원으로 12조1000억원 늘었다. 이는 2020년 1분기(81조원) 이후 3년 만에 역대 최대 규모다. 부동산 경기 둔화, 주식시장 부진 등으로 갈 곳 잃은 가계 여유자금은 은행 예금에 몰렸다. 가계 금융자산 중 예금 비중은 44.5%로 가장 많았다. 고금리 여파에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 규모는 -7조원으로 1년 전(24조4000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