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을 열며] 네이버 뉴스의 공정, 시장의 불공정

박수련 2023. 7. 6. 00: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수련 IT산업부장

네이버 뉴스의 알고리즘이 또 논란이다. 2018년 당시 여권으로부터 보수 편향적이란 지적을 받은 네이버 뉴스가 이번엔 진보 성향인 MBC가 검색 결과에서 유리하게, 보수 성향인 조선일보는 불리하게 알고리즘을 수정했다는 의혹이다.(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네이버는 부인한다. 알고리즘에 언론사 성향을 반영하는 변수는 없다는 것. 공방은 여전히 ‘네이버 뉴스는 (정치적으로) 공정한가’라는 해묵은 질문을 맴돌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2600만여 명(2022년 11월 기준)이 네이버에서 평균 7개 언론사를 구독(무료)하고 있다.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60%에 육박한다. 이런 구조에서 네이버 뉴스 유통이 특정 세력에 유리해 보인다면, 정치인들은 민감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과거 ‘드루킹 댓글 조작’ 사례는 네이버 뉴스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네이버 뉴스의 PC 화면. [네이버 홈페이지 캡처]

그런데도 네이버 논란이 ‘정치적 공정’에 국한되는 건, 문제다. 국회에 발의된 신문법 개정안도 한계가 있다. 포털이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에 따라 기사를 제공·매개하도록 책임을 부여하고 정부가 감독하겠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뉴스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그 알고리즘 적용 결과가 공정해 보이면 다 괜찮아지는 걸까.

‘뉴스 스트리밍’을 지향하는 네이버 뉴스는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뉴스를, 더 오래 플랫폼에서 소비하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에 충실한 검색·추천 알고리즘은 사람들의 뉴스 소비를 파편화하는 면이 있다. 수백개 매체로부터 끊임없이 기사가 쏟아지는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은 뉴스 쫓기에 바쁘고, 클릭을 부르는 뉴스들은 과잉 생산된다. 특정 이슈에 불같이 끓어올랐다가 훅 꺼지는 패턴이 반복되는 건 뉴스 소비 환경과 무관치 않다.

네이버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지만, 뉴스 유통 시장을 독과점한 이상 스스로 해결 못 할 문제는 점점 늘 수밖에 없다. 사회는 독과점 사업자에게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감시하려 하는 법이니까. 독과점 상태를 유지하는 한 과거의 문제도, 새로운 문제도 모두 네이버로 수렴할 뿐이다. 게다가 챗GPT 같은 생성 AI가 네이버 뉴스 서비스와 결합할 경우를 생각해보자. 뉴스 등으로 학습한 네이버의 AI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질문에 뭐라고 답할까. 애초에 대답을 못 하도록 막아버려야 하나? 알고리즘 공정성 논란이 더 요란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까, 네이버 뉴스의 정치적 공정보다, 공정한 경쟁이 거의 불가능해진 ‘뉴스 유통 시장의 구조적 불공정’이 더 근본적이 문제라는 얘기다.

박수련 IT산업부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