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을 열며] 네이버 뉴스의 공정, 시장의 불공정
네이버 뉴스의 알고리즘이 또 논란이다. 2018년 당시 여권으로부터 보수 편향적이란 지적을 받은 네이버 뉴스가 이번엔 진보 성향인 MBC가 검색 결과에서 유리하게, 보수 성향인 조선일보는 불리하게 알고리즘을 수정했다는 의혹이다.(박성중 국민의힘 의원) 네이버는 부인한다. 알고리즘에 언론사 성향을 반영하는 변수는 없다는 것. 공방은 여전히 ‘네이버 뉴스는 (정치적으로) 공정한가’라는 해묵은 질문을 맴돌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2600만여 명(2022년 11월 기준)이 네이버에서 평균 7개 언론사를 구독(무료)하고 있다.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60%에 육박한다. 이런 구조에서 네이버 뉴스 유통이 특정 세력에 유리해 보인다면, 정치인들은 민감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과거 ‘드루킹 댓글 조작’ 사례는 네이버 뉴스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그런데도 네이버 논란이 ‘정치적 공정’에 국한되는 건, 문제다. 국회에 발의된 신문법 개정안도 한계가 있다. 포털이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에 따라 기사를 제공·매개하도록 책임을 부여하고 정부가 감독하겠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뉴스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그 알고리즘 적용 결과가 공정해 보이면 다 괜찮아지는 걸까.
‘뉴스 스트리밍’을 지향하는 네이버 뉴스는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뉴스를, 더 오래 플랫폼에서 소비하도록 설계된다. 이 목적에 충실한 검색·추천 알고리즘은 사람들의 뉴스 소비를 파편화하는 면이 있다. 수백개 매체로부터 끊임없이 기사가 쏟아지는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은 뉴스 쫓기에 바쁘고, 클릭을 부르는 뉴스들은 과잉 생산된다. 특정 이슈에 불같이 끓어올랐다가 훅 꺼지는 패턴이 반복되는 건 뉴스 소비 환경과 무관치 않다.
네이버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지만, 뉴스 유통 시장을 독과점한 이상 스스로 해결 못 할 문제는 점점 늘 수밖에 없다. 사회는 독과점 사업자에게 더 많은 것을 요구하고 감시하려 하는 법이니까. 독과점 상태를 유지하는 한 과거의 문제도, 새로운 문제도 모두 네이버로 수렴할 뿐이다. 게다가 챗GPT 같은 생성 AI가 네이버 뉴스 서비스와 결합할 경우를 생각해보자. 뉴스 등으로 학습한 네이버의 AI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질문에 뭐라고 답할까. 애초에 대답을 못 하도록 막아버려야 하나? 알고리즘 공정성 논란이 더 요란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까, 네이버 뉴스의 정치적 공정보다, 공정한 경쟁이 거의 불가능해진 ‘뉴스 유통 시장의 구조적 불공정’이 더 근본적이 문제라는 얘기다.
박수련 IT산업부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평생 날 못 잊게 하겠다” 전 남친의 충격적인 유서 | 중앙일보
- 비 맞으며 女기자 생중계…빨간옷 아저씨 돌발 행동도 방송됐다 | 중앙일보
- "이재명 되겄소?""이낙연 쪼까 서운"…野 텃밭, 광주 심상찮다 [르포] | 중앙일보
- "청각장애 학생인데, 듣고 말하기 강요했다"…지옥 같았던 교실 | 중앙일보
- "대낮 막걸리 5병이나 마셨다"…文·이낙연 밥상 위 '나라 걱정' | 중앙일보
- '줄기세포 인간배아' 뉴스에 떠오른 이름…황우석 충격 근황 | 중앙일보
- 남편에 성매매 들킬까 봐 "성폭행당했다"…판사 "무슨 생각이냐" | 중앙일보
- 택배 가지러 나온 여성 내리쳤다…계단서 1시간 기다린 범인 정체 | 중앙일보
- 미 NASA도 못 했는데…손자 숨진 급발진, 할머니가 증명하라니 | 중앙일보
- 이천수, 올림픽대로 1km 빗속의 질주…만취 뺑소니범 잡았다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