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기 전 대비해야” “심근경색 치료할 의사 없다” 정부 공청회서 나온 성토

채혜선 2023. 7. 5. 18: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해영 심뇌혈관질환관리 정책 2.0 기획단장의 공청회 발표. 사진 보건복지부 유튜브

“신문기사에 나오기 전 대비하자는 게 간절한 바람입니다.”

5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 보건복지부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 공청회에 발표자로 선 이해영 심뇌혈관질환관리 정책 2.0 기획단장(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은 이런 말로 발제를 마무리했다.

정부는 2017년 만들어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관리에 관한 법률(심뇌혈관질환법)에 따라 5년 주기로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을 5년 주기로 만들고 있다. 심근경색 2시간, 뇌졸중 3시간 등 심뇌혈관질환은 중증·응급 발생 질환 중에서도 ‘골든 타임’이 매우 짧고,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 37.6%에 이르는 만큼 사회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서다. 제2차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법 제정 후 제1차 종합계획(2018~2022)을 거쳐 두 번째 만들어지는 종합계획이다. 복지부는 공청회 의견 수렴과 제2차관이 위원장인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 말 제2차 종합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 공청회. 사진 채혜선 기자

이 단장은 이날 발표에서 급성 심근경색 환자 등이 “제 시기에 병원 오는 비율이 낮다”라고 지적했다. 이 단장에 따르면 구급차로 응급실을 찾는 심근경색 환자는 25% 수준이다. 이 단장은 “100%를 원하는 게 아니라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잘하고 있고, 환자가 가던 데를 가기 때문 등으로 분석되지만, 이 수치는 부족하다”라며 “더 많은 심근경색·뇌졸중 등 중증·응급 질환자가 이른 시간에 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라고 말했다.

심뇌혈관질환을 치료하는 의료진의 인력 유출 문제도 거론했다. 이 단장은 “의료진이 지쳐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라며 “5~10년간 신나서 치료했던 분도 나이가 들고 있고, 신규 인력은 공급이 안 되는데 업무과다 누적으로 인력은 빠져나가고 있다”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제2차 종합계획도 골든타임 강조…“환자 중심 체계 확보할 것”


복지부도 제2차 종합계획에선 중증·응급치료 중심으로 정책을 펴겠다고 밝혔다. 김한숙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2차 계획은 골든타임이 있는 급성기 치료의 과제 비중이 1차보다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심뇌혈관질환 환자 중심의 의료이용체계를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급성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시 즉시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자가 내원하거나 119구급차 이송, 전원이 매우 중요하다”(김 과장)는 평가에 따라서다. 복지부는 골든타임 사수를 위해 증상 발생 즉시 환자와 가족이 인지·대응하도록 중증·응급요령 등을 확산시키기로 했다. 또 심뇌혈관질환 의료이용 지도와 함께 권역·지역센터 등록 환자에게 응급 핫라인과 이송 지원 등도 제공한다.

이날 공청회 마지막 순서인 전문가 토의에서는 국가의 효과적인 심뇌혈관질환 관리를 위해 의사 인력 확충이 우선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홍그루 대한심장학회 총무이사는 “문제는 수술할 사람이 없다는 거다. 1년에 30~40명 정도가 겨우 펠로(전임의)에 지원하는데 (정책이 본질을) 꿰뚫고 있지 못하다”라고 지적했다. 정의석 대한심장흉부외과학회 기획홍보위원장은 “2009년 수요조사에 따르면 2020년이 되면 50% 이상 흉부외과 의사가 부족할 것이란 진단이 있었는데, 실제로 그 정도가 모자라다”라며 “흉부외과가 겪는 일들은 필수의료 분야가 앞으로 겪을 일”이라고 경고했다. 신승훈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정책이사도 “골든타임이 있는 질병에 대응하느라 의사들이 굉장히 긴장하고 피곤하게 살고 있는데 의사가 없어진다는 게 가장 큰 당면 과제다. 어떻게 해결할지를 공동으로 찾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과장은 “중장기 모델로 인력 추계는 필요하다고 보고 이미 필수의료 지원 대책에 반영돼있다. 인력 부분은 보강하겠다”라고 설명했다.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인력은 복지부 전체에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라며 “당장 숫자를 늘리는 것뿐 아니라 현재 수가 체계 내에서 의사들에게 직접 혜택이 갈 수 있는 방법도 구현하려고 한다”라고 밝혔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