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갯바위 뒤덮었다..."대지진 전조 현상" 괴담 물고기 정체[이슈추적]

안대훈, 최충일 2023. 7. 5. 15: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 갯바위 뒤덮은 물고기 정체


지난 2일 제주시 외도동 해안가에서 집단 폐사한 채 발견된 정어리 떼. 연합뉴스
지난 2일 오전 제주도 제주시 외도동 해안가. 갯바위 곳곳에 미역 줄기와 뒤엉킨 물고기 폐사체가 널려 있었다. ‘물고기가 집단 폐사했다’는 주민 신고를 받은 제주시는 현장에서 죽은 물고기 500㎏정도를 수거했다. 지자체는 물고기 정체를 ‘눈퉁멸’로 짐작했다. 하지만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 조사 결과, ‘정어리’로 밝혀졌다.

앞서 지난달 초에도 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서도 정어리 떼죽음이 확인됐다. 당시 수거된 폐사체만 약 7t에 달했다. 수과원은 밀물 때 해안가로 밀려온 정어리 떼가 갯바위나 웅덩이에 갇혀 썰물과 함께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산소 부족으로 폐사한 것으로 추정했다. 정어리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어종으로, 청어ㆍ멸치 등 같은 청어목(目) 어종보다 3.4~3.8배 산소요구량이 많다.


‘정어리 출몰’ 작년보다 수개월 빨라져, 왜?


지난해 10월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일대 해안가에서 마을주민과 시청 직원들이 폐사한 정어리 떼를 수거하고 있다. 사진 창원시
최근 제주 앞바다에서 정어리 떼가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지난 십수년간 없던 일이라고 한다. 지난해에는 부산ㆍ경남 앞바다에 정어리가 대거 나타나 시민을 놀라게 했다. “대지진 전조 현상”이란 괴담이 돌 정도였다.

수과원은 정어리 자원 자체가 증가하면서 곳곳에서 대량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와 가까운 대마도를 중심으로 일본 규슈 연안 등에 서식하는 대마군계 정어리 자원이 증가, 플랑크톤 등 먹이를 찾아 한국 해역까지 이동하면서 서식 범위가 넓어졌단 설명이다.

특히 올해는 정어리 출몰 시기도 3~4개월 정도 앞당겨졌다. 지난해는 10월쯤부터 부산ㆍ경남 바닷가에 정어리 떼가 나타났다. 정어리 출몰 시기가 빨라진 것은 국내산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한 영향이 크다고 수과원은 설명했다. 작년부터 잔류한 정어리가 올해 초 남해안 일대에 대거 산란(産卵)했기 때문이다.


국내 정어리 알 밀도, 전년 대비 17배 늘어


지난해 10월 부산시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발견된 정어리 떼 모습(어두운 부분). 사진 해운대구
수과원이 올해 4월 수산과학조사선에 탑재된 연속어란채집기(CUFES)로 조사한 결과, 남해 중부해역(전남 여수~경남 남해) 정어리 알 밀도가 1000㎥당 평균 1603개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평균 93개체/1000㎥)보다 17.2배 증가한 수치다. 이보다 앞선 2021년도엔 0(zero)개체였다.

실제 제주 이호해수욕장 등에서 발견된 정어리 폐사체는 길이가 7~9㎝로, 태어난 지 3~4개월 정도밖에 안 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지난해 경남 창원 앞바다에서 수거된 정어리 폐사체는 1년 정도 돼 길이가 14~16㎝였다. 수과원 관계자는 “크기가 손바닥만 한 작은 정어리는 올해 국내 연근해에서 산란한 개체로 보인다”며 “개체 수가 늘면서 출현 시기도 빨라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어획량 급증…지자체는 '집단폐사' 대책 마련


지난해 10월 경남 창원 앞바다에서 폐사한 정어리 떼 모습. 안대훈 기자
올해 국내 정어리 어획량도 지난해보다 빠르게 늘고 있다. 올 5월까지 집계된 어획량은 6752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5월) 743t보다 9배 이상 많았다. 이 중 경남에서 어획된 정어리가 2981t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892t)·경북(1850t)·강원(29t) 순이었다. 주로 남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있다.

갑자기 늘어난 정어리가 집단 폐사하는 일이 잦자, 지자체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제주도는 폐사체를 수거, 비료용으로 배포할 계획이다. 지난해 정어리 집단 폐사로 곤욕을 치른 경남도ㆍ창원시는 이미 ‘정어리 상품화’ 방안을 내놓았다. 수과원은 정어리 통조림 제품도 개발했다.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 중인 '고추기름 정어리 통조림'. 사진 국립수산과학원

국내 정어리는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 주기로 어획량이 급등락했다. 2000년대 들어 자취를 감춘 듯했지만, 한때 100만t 넘게 잡혔을 정도로 많은 어종이었다. 1937년엔 138만t으로 역대 최대 어획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매년 어획량이 감소하다 2006년엔 아예 ‘ZERO(0t)’을 기록했다. 그러다 정어리가 갑자기 대규모 출몰한 지난해에만 1만2000t이 잡혔다.

제주·창원=안대훈·최충일 기자 an.daeh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