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갑부의 딸’ 윔블던 정복 나섰다
‘윔블던 출전 선수 중 최고 부자.’
영국 데일리 스타는 올해 윔블던 여자 단식 2회전에 진출한 제시카 페굴라(29·세계랭킹 4위·미국)를 소개하면서 이런 표현을 썼다. 페굴라는 3일(한국시간) 영국 런던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열린 1회전에서 로런 데이비스(세계 46위·미국)를 2-1(6-2, 6-7〈8-10〉, 6-3)로 물리쳤다. 페굴라는 5일 2회전에서 크리스티나 벅사(세계 78위·스페인)와 맞붙는다. 페굴라는 이번 윔블던에서 생애 첫 메이저 우승에 도전한다.
아직 메이저 우승 경력이 없는 페굴라가 최고의 부자로 꼽히는 건 부모가 세계적인 거부인 덕분이다. 그의 아버지 테리 페굴라(72)와 어머니 킴(54)은 미국에서 천연가스·부동산 등의 사업을 하는 억만장자 기업가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페굴라 부부의 순자산이 67억 달러(약 8조7000억원)의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테리는 포브스가 집계한 세계 부호 순위에서 128위를 차지했다.
페굴라의 부모는 스포츠에도 큰 관심을 보인다. 페굴라 부부는 2011년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버펄로 세이버스를 1억8900만 달러(약 2460억원)에 사들인 데 이어 2014년 9월엔 미국프로풋볼(NFL) 버펄로 빌스를 14억 달러(약 1조8200억원)에 인수했다. 부부는 공동 구단주다. 버펄로 빌스 인수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경쟁해 이긴 것은 페굴라 부부의 ‘머니 파워’를 잘 보여주는 일화다.
반면 딸인 제시카 페굴라는 부유한 집안 탓에 코트에서 편견과 싸워야 했다. 성적이 좋지 않을 때마다 “테니스는 취미로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시달렸고, 부상을 당하면 “헝그리 정신이 부족하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래도 그는 이를 악물고 훈련했다. 체격(키 170㎝, 몸무게 68㎏)이나 힘으로는 상대를 압도하지 못하지만, 정교한 플레이와 끈질긴 경기 운영으로 잇따라 승리했다.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 최근 출전한 6차례 메이저 대회에서 4차례나 준결승에 진출했다. 2009년 프로에 데뷔해 지난 14년간 상금으로 벌어들인 돈은 922만 달러(약 120억원)다. 페굴라는 현재 미국 여자 선수 중 세계랭킹이 가장 높다. 지난해 은퇴한 세리나 윌리엄스(42·미국)의 후계자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페굴라에겐 한국인의 피가 흐른다. 어머니 킴이 한국계 입양아 출신이다. 킴은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나 5세 때인 1974년 미국으로 입양돼 뉴욕에서 성장했다. 남편 테리와 1993년 결혼한 이후 사업가로 성공했다. 제시카 페굴라는 2019년 서울에서 열린 코리아 오픈에도 참가했다. 당시 그는 “하프 코리언(Half-Korean)”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페굴라는 “한국에 다녀온 뒤 ‘뿌리’의 중요성을 알게 됐다. 어머니처럼 아시아인과 한국인들에게 영감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안타깝게도 페굴라의 어머니는 지난해 6월 심정지로 쓰러졌다. 심폐소생술 덕분에 목숨을 건졌지만, 지금도 회복 중이다. 페굴라의 목표는 어머니에게 생애 첫 메이저 우승을 선물하는 것이다. 미국 CNN은 “페굴라는 메이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릴 실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피주영 기자 akapj@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진짜 74세 맞아?"…탱크톱 완벽 소화했다는 베라왕 근황 | 중앙일보
- 술독 빠진 가난한 용접공…대학교수 만들어 준 책 1권 | 중앙일보
- '한발 42억' 英미사일에 러 혼쭐…프랑스 전차는 망신 당했다 | 중앙일보
- "제로콜라 55캔" 그 말 안통했다…과자로 옮겨붙은 '발암 공포' | 중앙일보
- 美나사도 못 풀었는데…손자 숨진 급발진, 할머니가 증명하라니 [최현철의 시시각각] | 중앙일보
- SUV 탄 60대 남녀 바다로 돌진…추락 당시 찍힌 영상보니 | 중앙일보
- "UN 최정원, 내 아내와 불륜"…녹취록 폭로한 40대 남편 송치 | 중앙일보
- 택배기사가 밀쳐 남편 숨졌는데…그 아내가 선처 호소한 까닭 | 중앙일보
- 한 끼 100만원인데 손님 꽉 찼다…호텔 '갈라 디너' 뭐길래 | 중앙일보
- "캐리어 끌면 벌금 40만원"…'꽃보다 누나' 관광지의 경고, 왜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