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K콘텐츠 성공 비결은 노동착취, 곧 한계 온다"
[윤현 기자]
▲ 한국 드라마 업계의 불공정 노동 관행을 보도하는 <LA타임스> 갈무리 |
ⓒ LA타임스 |
'오징어 게임' '킹덤' 등 K콘텐츠가 넷플릭스를 타고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의 고질적인 노동 착취 관행이 있다는 미국 언론의 비판이 나왔다.
미국 유력 일간지 < LA타임스 >는 29일(한국시각) '오징어 게임'을 대표적인 예로 들면서 넷플릭스의 K콘텐츠가 저예산으로 큰 성공을 거둔 배경에 불공정 계약과 무급 노동 등이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은 에피소드당 240만 달러(약 31억 6천만 원)의 예산으로 제작됐다. 이는 넷플릭스의 또 다른 인기 시리즈인 미국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 제작비의 약 4분의 1 수준이다.
'오징어 게임'은 첫 공개 후 28일 동안 넷플릭스 역대 최고인 16억 5천만 시청 시간을 기록했다. 또한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의 에미상 6개 부문을 수상했고,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의 기업 가치를 약 9억 달러(1조2천억 원) 높였다.
그러나 기사는 "'오징어 게임'의 각본을 쓰고 연출한 황동혁 감독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돈을 많이 벌지는 못했다"라며 "지적재산권이 넷플릭스로 넘어갔고, 재방영 때 감독과 배우들에게 지급하는 재상영분배금(residual)도 받지 못하는 불리한 계약을 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제작 현장 |
ⓒ 넷플릭스 |
< LA타임스 >는 "드라마 업계에서 '오징어 게임'은 이른바 가성비(cost-effective)가 좋은 K콘텐츠의 대명사가 되었다"라며 "이 밖에도 '킹덤'이나 '지옥' 등 한국의 다른 인기 시리즈도 상대적으로 저예산으로 만들어졌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넷플릭스는 적자의 위험을 감수하고 제작자에게 기존 미디어에서 볼 수 없던 창작의 자유를 보장했고,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가 아니었다면 세상이 나오지 못했을 것"이라면서도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넷플릭스의 사업 방식에 점점 더 의문과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LA타임스 >는 "한국 드라마 업계의 노동 환경은 혹독했고, 지난 2016년에는 한 젊은 프로듀서가 격무를 버티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한 사례도 있다"면서 "넷플릭스가 처음 한국에 진출했을 때는 미국처럼 엄격한 노동 기준이 한국에도 적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기사에서 김기영 공공운수노조 방송스태프지부장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제작 환경은 국내의 여느 작품과 다를 바 없다"라며 "결국 다 같은 한국 제작사에서 만드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지부장은 "모든 것이 인건비로 귀결되고, 엄청난 무급 노동이 벌어지고 있다"라며 "저예산으로 세계적인 인기 작품을 만들면서 넷플릭스의 기준선이 됐고, 그들은 한국에서는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L A타임스 >는 "최근 할리우드가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하자 K콘텐츠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라며 "한국의 보조 작가들이 최저 임금에 가까운 돈을 받고 불규칙한 노동을 하는 것이 K콘텐츠가 저예산을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라고 비판했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스틸컷 |
ⓒ 넷플릭스 |
최근 넷플릭스와 6부작 드라마를 계약한 한 작가는 "한국 드라마 업계는 매우 적은 인력으로 많은 일을 하는 데 익숙해져 있다"라며 "아무리 많은 K콘텐츠가 수출되더라도 노동 불평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곧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업계의 많은 이가 비뚤어진 자부심(perverse pride)을 가지고 있다"라며 "그들은 K콘텐츠의 성공이 지금의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다는 증거로 여기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 LA타임스 >는 "넷플릭스는 직접 고용주가 아니어서 노조와 교섭할 의무가 없고, 최근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업체들이 노조 협약에 서명한 할리우드와 달리 한국은 그런 교섭도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다만 현재 한국 국회에서 심의 중인 노조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고용주의 정의가 넷플릭스로도 확대되어 노조와 교섭할 수 있게 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황동혁 감독이 지난 2월 국회에서 "또 다른 '오징어 게임'과 '기생충'이 나오려면 창작자들의 생계가 보장되어야 한다"라고 말한 것을 소개했다.
한편, 넷플릭스는 <LA타임스>에 보낸 성명을 통해 "넷플릭스는 K콘텐츠 제작자에게 공정하고 경쟁력 있는 대가를 지급하고 있으며, 한국의 모든 제작 파트너에게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라며 "이 기준은 한국 법률을 충족하거나 초과한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한국 영화 산업에 대한 투자로 수천 명의 고용을 창출했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