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탄산 음료에 쓰는 아스파탐, 발암 물질 분류

임선영 2023. 6. 30. 0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탕 대체 인공 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9일 보도했다.

통신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IARC가 다음 달 14일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2B군) 물질로 분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스파탐은 설탕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제로’가 붙은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껌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통신은 과거 다른 물질에 대한 유사한 IARC의 판단으로 해당 물질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제기되고 제조업체는 물질을 교체하는 등 파장이 상당했다고 전했다.

IARC는 화학물질 등 각종 환경 요소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 군으로 분류·평가해오고 있다.

아스파탐이 분류될 ‘발암 가능 물질’인 2B군은 인체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 분류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은 1군은 ‘인체에 발암성이 있는’ 물질이며 담배·석면·다이옥신·벤조피렌·가공육 등이 해당한다.

그 바로 아래인 2A군은 ‘발암 추정’ 물질로 붉은 고기, 고온의 튀김, 질소 머스터드, 우레탄 등이 속한다. 아스파탐이 속할 예정인 2B군엔 납·쿠멘·디곡신·이소포론 등이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IARC는 이번 검토 과정에서 1300건의 연구를 평가했다. 아스파탐에 관한 연구는 수년 동안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2000년대 초반 이탈리아에서 쥐에게 발생한 암이 아스파탐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프랑스에선 성인 10만 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를 진행했더니 아스파탐을 포함한 인공감미료를 다량 섭취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암에 걸릴 확률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시스 헌트-우드 국제감미료협회(ISA) 사무총장은 “IARC는 식품 안전기구가 아니며 IARC의 아스파탐 평가는 과학적으로 포괄적이지 않고 신빙성이 떨어지는 연구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