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다누리 성공 뒤 ‘스카이’ ‘유니버스’ 넘어 ‘헤븐’ 바라본 그들 있었다

손동준 2023. 6. 29. 16: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항우연 신우회, 잇따른 대형 우주 프로젝트 속에 활약
항우연 신우회 임원들이 항우연 1층 로비에 전시된 누리호 엔진 앞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누리호와 다누리 등 대형 우주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발사 순간 두 손을 모았다. 발사 때마다 ‘수치를 당하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원장 이상률) 신우회(회장 이금오) 회원들의 이야기다.

항우연은 2021년 누리호 1차 발사의 부분 성공 후 이듬해 누리호 2차 발사에 성공했다. 2022년 연말에는 국내 첫 달 탐사선 다누리가 임무 궤도에 무사 안착하면서 한국의 항공우주 기술의 위상을 한층 끌어 올렸다. 지난달 25일에는 누리호 3차 발사를 통해 처음으로 실제 위성을 우주 궤도에 띄우는 데 성공했다. 잇따른 쾌거였다. 지난 28일 대전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서관에 월례 독서모임차 모인 신우회 회원들의 표정에서도 여유가 느껴졌다.

항우연 신우회 회장 이금오(네비게이토선교회 대전A지구 간사) 박사.


1000여명의 연구원 가운데 신우회 회비를 내는 기독교인은 60명 남짓. 3차에 걸친 누리호의 엔진 개발에 모두 참여한 이금오(소형발사체연구부 책임연구원) 회장은 “아주 작은 실수가 큰 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사 날의 긴장은 상당하다”며 누리호 발사 현장의 분위기를 소개했다. 이 회장은 “영화에서 보면 로켓이 발사대를 떠날 때 환호하지만 연구원들은 그때부터 손에 땀을 쥐고 모니터를 쳐다본다”며 “맥스큐(Max-q, 대기권에서 비행하는 발사체 주변의 동압이 최대가 되는 지점)를 통과하면 그때야 안도의 한숨이 나온다”고 말했다.

항우연 신우회 창립회원인 조남경(대덕교회 집사) 박사.


1993년 신우회 결성 당시부터 활동해 온 조남경(우주추진연구부 책임연구원) 박사도 발사 프로젝트의 부담감을 토로했다. 로켓 엔진을 시험하기 위해 매주 전남 고흥의 우주센터를 방문했다는 조 박사는 “수없이 엔진을 시험하고 검증했지만 발사가 다가오면 어김없이 악몽을 꾼다”며 “신우회 회원뿐 아니라 가족들까지 발사를 앞두고 ‘수치를 당하지 않게 해달라’고 함께 기도한다. 로켓의 경우 첫 비행을 전 세계에 중계하기 때문에 중압감이 말도 못 하게 크다”고 했다.

항우연 신우회 반주자 류은진(대전 늘사랑침례교회 집사) 팀장.


잇따른 성공은 부담과 갈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신우회 반주자인 류은진(윤리경영팀) 팀장은 “워낙 큰 과업이다 보니 구성원들의 심리적 부담감이 크고 각자 주장이 강해질 수밖에 없다”며 “갈등을 조율하는 업무를 맡고 있기도 하지만 신우회가 조직 내에서 평화를 전하는 역할로 쓰임 받게 해달라고 항상 기도한다”고 말했다.

다누리 프로젝트 구상 단계부터 4년간 팀장으로 과제를 이끌었던 신우회 직전 회장 김방엽(지상국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 박사는 “다누리 프로젝트는 8년의 세월이 걸린 대장정이었다”며 “성공으로 끝나서 다행이지만 만에 하나라도 실패했을 때는 책임 공방으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크다”고 했다. 김 박사는 “그래서 신우회 회원들은 발사 일주일 전에 모여서 1시간가량 뜨겁게 기도했다”며 “혹시라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않고 여러 사람이 싸우지 않게 해달라는 게 우리의 기도 제목”이라고 소개했다.

항우연 신우회 직전 회장인 김방엽(서울 광염교회 집사) 박사.


항공우주 분야의 최첨단을 달리는 과학자들답게 신앙에서도 이론을 세우고 검증하는 식의 과학적 사고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김 박사는 군 생활 중 교회에서 하는 제자반에 참여했다가 예수를 믿게 됐다. 김 박사는 “아인슈타인 같은 소위 천재들도 하나님을 믿었다는 사실에 자극받았다”며 “하나님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풀리지 않던 의문들이 해소됐다”고 했다. 그는 “대학에서 우주론을 배웠는데 우주의 생성 환경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하면 확률적으로 누군가 의도적으로 설계하지 않았다고 도저히 생각하기 어려웠다”며 “천문학자들 가운데 신앙인이 많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모태신앙으로 자랐지만 중고등학생 시절 지식이 커지면서 성경의 가르침과 괴리를 느끼며 혼란을 겪었었다”고 회상했다. 과학고를 나온 이 회장은 당시 은사의 영향으로 자신의 신앙을 정립할 수 있었다고 했다. 이 회장은 “당시 생물 선생님께서 진화론과 창조론을 동일한 비중으로 가르치셨다”며 “학생들과 함께 토론도 적극적으로 하셨는데 이 경험을 통해 논리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개했다.

항우연 신우회 회원들이 28일 항우연 도서관에서 독서모임을 가진 후 함께 기도하고 있다.


신우회 회원들은 ‘의대 쏠림 현상’ 등 물질적 풍요를 최우선으로 하는 추세에 대한 안타까움도 토로했다. 조 박사는 연구소 곳곳에 걸린 대형 태극기를 가리키며 돈보다 귀한 ‘사명’을 거듭 강조했다. 이 회장은 “신앙적인 이유에서도 항우연은 매우 감사한 직장”이라며 “유대인들은 하늘을 ‘스카이’와 ‘유니버스’ ‘헤븐’의 세 단계로 구분한다고 한다. 우리 연구소는 첫째인 하늘과 둘째 우주를 생각하는 곳이다. 우리 신우회는 이곳에서 세번째 하늘인 천국을 꿈꾸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는 창백한 작은 점 하나에 불과하다. 우리는 하나님이 창조한 작은 피조물에 불과하다”며 “위성 사진 속 좁쌀만 한 건물들 사이에서 헛된 것을 추구하며 아등바등 살아가는 대신 하늘과 우주의 차원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어서 감사하다”고 표현했다.

항우연 신우회는 1993년 결성 후 꾸준히 모임을 이어왔다. 2020년 코로나가 확산하는 상황 속에서 잇따른 대형 프로젝트가 겹치며 모임을 중단해야 했다. 지난해 모임을 재개했지만 아직 참석률은 저조한 편이다. 네비게이토선교회 간사인 이 회장이 매주 수요일 성경 공부를 진행하고 있으며 월에 1번 독서 모임으로 모이고 있다.

대전=글·사진 손동준 기자 sdj@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