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명함' 들고 다니신다면, 이 글을 꼭 읽어보세요 [난 네게 반했어]
콘텐츠가 넘쳐 나는 시대, 당신에게 딱 맞는 책이나 영화, 노래를 배달해 드립니다. 좋은 콘텐츠를 소개하면서 지금 이 순간 우리에게 필요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난 네게 반했어 챌린지'는 다음 필자를 지목하는 릴레이 연재입니다. 글의 마지막 부분을 주목해 주세요. <편집자말>
[성지훈 기자]
▲ 홈리스행동이 2021년 6월 16일 오전 서울역 앞 광장에서 '홈리스 코로나19 예방접종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을 당시, 한 노숙인이 서울역 앞에서 누워있다. |
ⓒ 이희훈 |
행복은 실존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그저 '지향'으로만 존재한다. 그러나 고통과 실패는 실재한다. 그래서 우리가 삶에서 실감할 수 있는 것은 절망과 좌절일 뿐이다.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의 이유로 불행하지만 행복한 가정은 단 한가지의 이유로 행복하다고 했다. 그 단 하나의 이유란 아마 '희망'일 것이다. 행복을 지향하는 것. 그러니 희망이란 아직 행복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말인즉슨, 행복이란 불행과 절망을 딛고 나서야 가능하다는 것.
"이게 젤 밑바닥인 거 같지? 아냐. 바닥같은 건 없어. 바닥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또 바닥으로 떨어져 버려."
희망과 긍정의 인플레이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느낌이다. 우리는 마치 단 한 번도 좌절하지 않을 것처럼, 긍정적으로 살기만 하면 뭐든 다 해낼 수 있을 것 같은 집단 최면에 빠져있다. 이 집단 최면의 부작용은 절망을 부정하고 실패를 '낙오'라고 여기는 일이다. 그보다는 희망이란 절망 위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잊는 일이다.
그리고 절망과 불행 위에서 희망과 행복을 향해 가는 그 수많은 '과정'과 '양태'를 그저 실패와 낙오라고 단순히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마치 화폐를 찍어내기만 해서 화폐가 가치 없어진 사회처럼, 희망과 행복을 단순히 공산품처럼 찍어내기만 하는 세상에서 우리는 진짜 희망과 행복의 가치를 잃어버린 것일지도 모른다.
김혜진의 <중앙역>엔 저마다의 불행이 난무한다. 나의 부박한 문장으론 그것을 그저 '불행'이란 말로밖에 표현하지 못하겠지만, 그것은 그저 '삶의 다양한 양태'에 가깝다. 삶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것이 지금의 불행과 좌절을 긍정하는 것에서 부터라면, 어쩌면 행과 불행이란 그저 수없이 엮이는 삶의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는 순간들 중 하나일 것이다.
<중앙역>의 화자인 '나'는 어느 도시 중앙역에서 노숙하는 노숙인이다. 세상에서 도태되고 좌절한 그는 그 불행의 저수지 같은 중앙역 광장에 퇴적된다. 그는 이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그 불행의 저수지 같은 곳이 삶의 최하단부일 것이라고 여긴다. '나'는 이곳에서 사랑이나 희망 같은 말을 떠올릴 수 없을 것이라 여긴다.
그러나 그는 그곳에서 사랑을 하고 사랑하는 이를 버리기도 하고 외면하기도 한다. 그리고 마침내 '어떤 것'에, 그러니까 희망이나 사랑으로 이름붙은 마음이나, 노숙이나 재활 혹은 부유나 빈곤으로 규정한 삶의 방식이나 혹은 사람 그자체를 비로소 긍정할 수 있게 된다. 밑바닥 밑엔 밑바닥이, 사랑보다 깊은 곳엔 상처가. 우리는 그것들의 무엇을 얼마나 안다고 함부로 이름을 붙여왔던 것일까. 소설 <중앙역>의 주인공 나와 그녀는 소설 속에 단 한번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이름 그 자체가 규정의 시작이기 때문일까.
▲ 김혜진 <중앙역> |
ⓒ 문학동네 |
세상에 대한 이해가 조금이라고 생겼던 순간은 세상엔 내가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란 단 한가지도 없다는 것을 인정했을 때였던 것 같다. 세상과 사람은 너무 많은 레이어가 중첩되며 이뤄져 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그 자체로 하나의 우주라는 사람 역시 마찬가지다.
사람은 셀 수도 없을만큼 많은 레이어가 쌓여 이뤄진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이뤄지는 '관계'에는 그 제곱만큼 더 많은 레이어가 쌓이겠지. 나는, 그보단 우리 중 어느 누구도 사람을, 그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만든 '관계'를, 그 관계들이 수도 없이 얽혀 이루는 '사회'를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이해란 고작 우리는 근본적으로 '몰이해'를 전제로 한 존재라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 뿐일까.
<중앙역>을 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김혜진의 소설엔 언제나 '사회적으로 소외받은 사람들'이 나온다. 노숙인, 해고노동자, 성소수자, 고령의 여성노동자. 우리는 그들을 쉽사리 '약자'라고 부르고 그들을 동정하거나 혹은 동정이란 이름으로 대상화하지만, 실은 그들은 언제나 약자이거나 언제나 선량하지 않다. 그냥 그저 그렇게 삶아가고 있을 뿐이다. 우리 사회의 중앙역에도 노숙인과 철거용역과 장애인과 방관자가 있지만 그들은 삶의 어느 순간에선 강자이기도 또 약자이기도 혹은 아무것도 아닐 때도 있다. 그저 그렇게 삶을 살아갈 뿐이다. 그들을 삶의 밑바닥, 희망이 없는 삶, 불행한 삶이라고 쉽게 이야기 할 수 있을까.
행과 불행 절망과 희망이란 그저 언제나 교차하고 접속하고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으로만 있다. 소설 속의 '나'와 '그녀'가 그랬듯이. 우리는 일상에서, 우리 사회의 중앙역들에서 언제나 '나'를 만나고 있을 것이다. 실은 우리 모두가 어느 중앙역에 누워 노숙하고 있는 '나'일 것이고. 우린 '나'에 대해서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어쩌면 처음 중앙역에서 노숙을 시작했던 '나'처럼 이곳은 불행의 저수지, 제일 밑바닥이라고 말하고 있진 않을까. 행과 불행, 삶과 사랑을 그저 멋대로 단정하고 규정지어 놓은 채.
▲ 2021년 1월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 지하도에서 홈리스들이 종이 상자를 이부자리 삼아 추위를 피하고 있다. |
ⓒ 유성호 |
'기자'라는 직함을 명함에 써 넣어놓고 다닐 때 동료들과 "채권추심 한 번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기자를 할 수 없다"고 농담했다. 술자리의 우스개였지만 실은 '남의 말 하기'를 업으로 살아가는 우리가 세상과 삶의 너무 단편만을 보고 단정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자괴가 들었기 때문이었다. 남의 돈을 빌려쓸 수밖에 없던 이유, 그걸 갚지 못한 사연, 사연을 뻔히 알면서도 빚을 독촉할 수밖에 없었던 또 다른 사연.
사연과 사람이 중첩되며 빚은 세상을 말하는 우리는 결코 모든 사연들을 다 알 순 없을 것이란 자괴. 그래서 적어도 빚독촉 정도는 받아서 그 고통을 실감이라도 해봐야 하는 것 아니겠냐는 자조섞인 농담. 우리가 말해야 하고 짚어내야 하는 것들은 단순한 현상의 조합이 아니라 현상을 이루는 맥락의 교차여야 한다. 아니, 기자뿐 아니라 말을 하는 우리 모두가.
그러니 쉽게 무엇을 행복이라고, 혹은 무엇을 불행이라고, 누구를 성공한 사람이라고 어떤 삶을 낙오의 삶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 우리가 해야 할 것은 그저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불행과 좌절 속에서도, 그보단 불행과 좌절 속에서만 찾아지는 희망과 행복의 단초들을.
김혜진의 <중앙역>을 더 많은 고통과 좌절 속에서도 행복과 희망을 찾아내려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겠다. 고통과 좌절의 레이어를 한 올이라도 더 관찰하고 이해하려는 사람들, 고통과 좌절을 긍정했기 때문에 한 줌이라도 더 큰 희망과 행복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들이.
* 다음 필자는 <비마이너> 하민지 기자입니다. 나와주세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은순의 법정 자백, 남편 사망 날짜 위조 "내가 했다"
- 부채늪에 빠진 '위기의 자영업자' 구하는 방법 셋
- 성직자에게 '동성애' 묻는 건 폭력? 신부님, 주위를 보십시오
- '카톡'에 빠진 93세 아버지, 이대로 괜찮을까요?
- 검사 탄핵 부담됐나...이정섭 차장검사 강제수사 나선 검찰
- 죽을 뻔한 이 남자, 70세에 또 세계일주를 꿈꿉니다
- 아이 학교 앞에 '탕후루 가게'... 솔직히 심란합니다
- 김기현 "슈퍼 빅텐트" 선언... 이준석 견제, 민주당 힘빼기?
- [오마이포토2023] 언론노조 KBS본부, 박민 사장 고발
- 법원, 인권조례 폐지 청구안 효력 정지... "충남도의회, 무겁게 받아 들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