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 30년, 내 신앙은 한국 미술사…이 책은 전도서예요
“안 팔려야지. 더 좋은 책이 나와 이 책을 잡아먹어야 우리 문화유산계가 더 발전한다고 생각해요.” 유홍준(74) 명지대 석좌교수에게 새 책 때문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이하 답사기) 다른 편이 안 팔리면 어쩌냐고 했더니, 돌아온 답변이다.
핵심만 추린 『아는 만큼 보인다』 출간
새 책 『아는 만큼 보인다』(창비)는 답사기 30주년 기념판. 지금껏 펴낸 12권의 국내 답사기에서 14편 글을 뽑아 한 권에 담았다. 유 교수는 답사기에 대해 “젊은 세대가 좋은 책인 줄은 아는데 양이 방대해 접근하기 쉽지 않다”며 새 책을 “에센스만 골라 쉽게 볼 수 있게 한 것”이라고 했다.
알다시피 그의 답사기는 1993년 1권 ‘남도답사 일번지’부터 그야말로 센세이션이었다. ‘문화유산 답사’라는 말조차 새롭던 시절, 대대적인 답사 붐을 일으키며 1년 만에 100만부 넘게 팔렸다.
유 교수는 “처음에는 원고료를 못 받고 연재한 글”이라고 했다. 1991년 잡지 ‘사회평론’에 연재를 시작할 때만 해도 그는 3회 정도로 그만두려 했단다. 한데 독자 반응이 대단했다. 한 차례 원고를 펑크 내자 편집부에 항의 전화가 쇄도했고, 창비를 이끌던 백낙청 서울대 교수는 첫 회를 보고 바로 출간을 제의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를 “민주화 이후 큰 사회적 이슈가 없었고, 이른바 마이카 시대가 왔다”고 돌이켰다. 무엇보다 “우리 것”을 제대로 알고 싶은 욕구가 컸다. “영화 ‘서편제’의 흥행도, 박동진 명창이 광고에서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고 한 것도 그 무렵이죠.”
출간 때는 영남대 교수였지만, 잡지 연재 시작 때는 “백수”이자 “마당쇠”였다. 미학과 미술사학을 전공한 그는 미술 평론에 뜻을 두고 잡지 ‘계간미술’ 기자를 1983년 그만뒀다. 이듬해 ‘젊은이를 위한 한국 미술사’ 공개강좌를 시작했다. 수강생들과 문화유산 답사회도 만들었다. 그는 “그러면서 나도 많이 성장했다”며 “그때 만든 교재를 지금 보면, 이 실력 갖고 강의한 게 용기라고 생각할 정도”라고 했다.
“마당쇠”는 ‘우리마당’ ‘한마당’ ‘그림마당 민’ ‘예술마당 금강’ 등 당시 강의했던 곳에 ‘마당’이 많기도 했기 때문이다. 나중에 학전소극장 강의는 수강생이 넘쳐 1000석 규모의 시설을 따로 빌려야 했다. 수강생으로는 역사·미술 교사와 화가뿐 아니라 “일반인부터 귀부인까지 몰려왔다”고 한다.
공부와 다년간의 현장 강의·답사로 쌓인 내공과 화법은 책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답사기가 성공하자 백낙청 교수는 “‘학삐리’(학생의 속어) 50%, ‘딴따라’ 50%가 절묘하게 만났기 때문”이라고 평했단다. 문화유산마다 초점을 달리하며 에피소드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내 읽는 맛을 더했다. 새 책에도 나오는 ‘검이불루 화이불치’나 6권 제목 ‘인생도처 유상수’ 등 옛사람 말 여럿도 그를 통해 새롭게 퍼졌다.
그는 “내 인생에서 답사기는 반이고, 미술사가 반”이라고 했다. 답사기 전에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을 아우른 조르조 바사리의 책에 감동하여 우리 화가 열전을 쓰고 싶었단다. 1997년 3권 이후에는 논문·평론에만 집중할 생각도 했다. 중앙일보 방북단 일원으로 분단 이후 처음 북한 문화유산을 답사하면서, 답사기는 한반도 곳곳으로 이어졌다.
국토박물관 순례로 답사기 완간 구상
답사기 완간 구상도 다 있다. 오랜 지론처럼 “국토박물관” 순례가 초점.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지, 부산 동삼동 신석기 패총 등, 시간순으로 문화유산은 물론 그 지역 다른 유적지와 명소까지 3권 분량으로 소개할 생각이다.
이 많은 곳을 어떻게 답사할 수 있었을까. 첫째 비결은 “술을 잘 안 하는 것”, 그다음은 “유물과의 대화”라고 했다. “유물을 보고 많이 감동했어요. 책으로 볼 때는 별거 아닌 데, 현장에서 보면 어마어마한 거야.” 미술잡지 기자 때 출장을 자원해서 다녔던 그다.
끝으로 물었다. 유홍준에게 문화유산답사기란. “학문의 사회적 실천, 미술사의 사회적 실천은 공부한 전문 지식을 동시대 사람들, 같은 하늘 아래 사는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해서 같이 즐길 수 있게 하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는 “진정한 전문성은 전문 지식을 대중도 알아들을 수 있게 쓰는 것”이라며 “전문서·대중서를 구별하는 풍토가 우리 인문학이 대중으로부터 멀어지는 계기가 됐다”고 지적했다. “한국 미술사의 전도사로서, 내 신앙은 한국 미술사이고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내 신앙의 전도서에요.”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역도 영웅' 장미란, 문체부 차관 된다…통일장관 김영호 | 중앙일보
- 대만 미모의 女대변인, 경호원과 불륜 스캔들…"출산 계획도" | 중앙일보
- 116년 만의 첫 치매 치료제…1년 약값 3500만원, 효과는? | 중앙일보
- 1조짜리 '현피' 뜨나...머스크·저커버그, 같은 주짓수 스승과 맹훈련 | 중앙일보
- 군복 입은 '괴물 수비수'...육군훈련소 간 김민재 근황 | 중앙일보
- 친구도 만날 수 없다…차 없는 '170㎞ 직선 도시'가 부를 공포 | 중앙일보
- [단독] "세 아이 걱정돼 자수 못 해" 냉장고 시신 친모의 편지 | 중앙일보
- 항공권만 50만원인데, 4박5일 상품이 20만원? 참 황당한 기적 | 중앙일보
- 인천서 214명 태우고 떠난 비엣젯 항공기, 필리핀 공항 불시착 | 중앙일보
- 자숙한다더니…도연스님, 3주 만에 SNS 등장해 한 말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