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도 흐지부지, 또 '포기쇼' 될까…불체포특권 뜨거운 쟁점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저와 즉시 만나서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서에 공동 서명하자”고 말했다.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이후 네 번째 공개요구였다. 자기 당 의원들이 대상이던 국회 체포동의안을 연속 부결시킨 민주당에 대한 압박이기도 했다.
#. 같은 시각,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불체포특권 포기’에 대한 논쟁이 오갔다. 여당에 이어 당 혁신위원회(위원장 김은경)까지 이를 요구하자 당 지도부는 곤혹스러운 상황이었다. “서둘러 답을 내놓자”“더 고민하자”는 양쪽 의견을 묵묵히 지켜보던 이 대표는 “더는 물러설 수 없다. 오늘은 반드시 결론 내야 한다”고 상황을 정리했다.
요즘 정치권의 가장 뜨거운 화두 중 하나가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문제다. 국민의힘이 탈당의사를 밝힌 황보승희 의원을 제외한 소속의원 112명 중 110명(26일 현재)에게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을 받아내자 민주당도 일단 불체포특권 포기쪽으로 움직였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26일 브리핑에서 “민주당은 개별 의원에게 체포동의안이 제출되면 비(非)회기 기간을 확보해 영장실질심사를 받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할 것”이라며 “회기 중 체포동의안 요구가 오면 부결을 당론으로 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불체포특권 포기’ 서약 문제는 의원총회에서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여야가 불체포특권을 포기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실제 포기까지는 쟁점이 적지 않다.
①역대 대선공약에도 결국 ‘흐지부지’
하지만 그 뿐이었다. 박 전 대통령이 당선된 뒤 관련 논의는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문 전 대통령도 두 번째 대선 도전이던 2017년 19대 대선에선 아예 불체포특권 포기를 공약조차 하지 않았다. 지난해 3월 20대 대선에서는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대표가 불체포특권 폐지를 약속했지만, 대선 후 자신의 사법리스크가 커지자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다를 수 있다"며 말을 바꿨다.
②“헌법적 권리” vs “절대적 권리 아니다”
헌법을 어떻게 해석할지 법리적 문제도 있다. 1948년 제헌헌법부터 이어져 온 헌법 44조의 관련 조항은 ‘국회의원은 현행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기 중 국회의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차진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불체포특권은 헌법상 권리로 국회의 기능 보호에 방점이 찍혀있다”며 “의원 개인이 포기할 수 있는 성격의 권리가 아니다”고 말했다. 개헌 없는 ‘불체포특권 포기’는 불가능하다는 논리다.
반면 장영수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헌법적 권리라고 해서 불체포특권을 절대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특히 의원 개인 비리에 따른 체포·구금에 대해서는 달리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③‘권성동 케이스’ 준용될까
일각에선 불체포특권 포기를 의원 개인의 판단에 맡기는 ‘우회로’를 거론한다. 특히 2018년 6월 강원랜드에 취업청탁을 했다는 혐의(뇌물 등)로 수사를 받은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사례가 자주 언급된다. 권 의원은 당시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 임시국회를 열지 말아달라”고 여야 지도부에 요구했다. 회기가 아닌 시기에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법원에 출석해 영장실질심사를 받았다.
결국 영장은 기각됐고 이후 검찰은 그를 기소했지만 2022년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를 선고받았다. 26일 민주당이 꺼내 든 ‘비(非)회기 기간 영장실질심사 자진 출석’ 방침도 권 의원 건을 준용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국회 관계자는 “의원 개인마다 판단이 다를 수 있어 진정한 의미의 불체포특권 포기는 아니지 않느냐”고 했다.
④기명투표·의결정족수 하향 등 대안도
개헌 대신 불체포특권의 세부 절차를 담은 국회법을 개정하자는 논의도 있다. 현재 무기명투표로 이뤄지는 체포동의안 표결을 ‘기명투표’로 바꾸는 국회법 개정안(정우택 국민의힘 의원 등 대표발의)이 대표적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무기명투표로 진행될 경우 ‘제 식구 감싸기’ 심리가 작용할 수 있어 이를 막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또 ‘재적 의원 과반 출석, 출석 의원 과반 찬성’으로 가결되는 체포동의안의 의결정족수를 하향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다만 민주당 관계자는 “기명투표는 자유로운 의사표시를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 의결정족수 하향은 ‘정치적 포퓰리즘’일 수 있다는 반론이 있다”고 했다.
김효성·강보현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상, 약 좀 바르지 마라” 명의가 꼽은 위험한 상식 | 중앙일보
- '강릉 급발진' 7억 소송…손자 잃은 할머니, 2가지 증거 내놨다 | 중앙일보
- "폰 도난당했다"…'사생활 폭로' 황의조 피해자인가 가해자인가 | 중앙일보
- '울갤' 투신 방조했던 20대, 여중생과 성관계 "나이 알았다" | 중앙일보
- "4인 가족 제주 왕복 80만원" 항공편 늘려도 가격 오르는 이유 | 중앙일보
- '남편사망정식'에 엇갈린 시선..."나도 시켰다" vs "불쾌해" 말 나온 이유 | 중앙일보
- 33년간 평생항공권 쓴 남성…"술탄처럼 살았다" 진짜 혜택은 | 중앙일보
- 제브라피시 암컷 '은밀한 선택'…건강한 정자만 유혹하는 방법 | 중앙일보
- 北 6차례 방문한 40년 외교관…"영어보다 중요" 강조한 이것 | 중앙일보
- 푸틴 "무장반란 결국 실패할 운명"…5분 TV연설서 첫 언급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