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선진국 비결은 '긴호흡 투자'… 英, 5년이상 수익률만 따져

김정범 기자(nowhere@mk.co.kr) 2023. 6. 22.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 월단위 수익률에 휘둘려
장기운용 중시하는 제도 필요
내달 디폴트옵션 본격시행 주목
2%대 수익률 높일 절호 기회
獨노인 80% "연금으로 생활"
한국선 22%에 그쳐 갈길 멀어

◆ 자본시장 대토론회 ◆

2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3 매경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토론회'에서 오흥식 코스닥협회장,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사장,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 브라이언 패스코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회장, 김주현 금융위원장, 장대환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백혜련 국회 정무위원장, 손병두 한국거래소 이사장,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함용일 금융감독원 부원장, 정구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장, 김원규 이베스트투자증권 사장, 박정림 KB증권 사장(앞줄 왼쪽부터)이 박수를 치고 있다. 둘째 줄 왼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현승 KB자산운용 사장, 황성엽 신영증권 사장, 최만연 블랙록자산운용 대표, 황현순 키움증권 사장, 홍우선 코스콤 사장, 김군호 에프앤가이드 대표, 이순호 예탁결제원 사장, 오익근 대신증권 사장, 정영채 NH투자증권 사장, 채남기 한국IR협의회장,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 민수아 삼성액티브운용 대표, 박종학 베어링자산운용 대표, 서양원 매일경제신문 대표, 마경환 GB투자자문 대표, 황성환 타임폴리오운용 대표, 박봉권 교보증권 사장, 홍원식 하이투자증권 사장, 윤창호 한국증권금융 사장, 박경희 삼성증권 부사장, 강창희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대표,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전무,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사장, 이창희 다올자산운용 대표, 임재택 한양증권 사장, 전우종 SK증권 사장, 황준호 다올투자증권 대표. 김호영 기자

연 2%에 머물고 있는 퇴직연금 수익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주식형 펀드 등 실적 배당형 투자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퇴직연금이 실질적인 노후 안전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예·적금에 방치해놨던 지금과 같은 투자 방식이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는 얘기다.

2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KRX 마켓스퀘어에서 열린 '2023 매경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토론회'에서 '월급 없는 40년, 3층 연금으로 대비하라'라는 주제로 발표한 강창희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대표는 "최소한의 노후 생활비를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으로 확보한 국민이 많은 나라가 바로 선진국"이라며 "독일은 노후 주요 수입원을 연금이라고 답한 비중이 80% 이상인 반면, 한국은 22%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퇴직연금을 적극적으로 운용해 물가 상승률을 뛰어넘는 수익률을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미국은 한국의 개인형퇴직연금(IRP)과 유사한 IRA 계좌를 활용해 세제 혜택을 받으며 은퇴 재원을 확보하고 있다.

해당 계좌에서 주식형 펀드 등 실적 배당형 상품에 장기 투자해 100만달러(약 13억원) 이상의 연금을 쌓고 은퇴한 이른바 '연금 백만장자'도 크게 늘고 있다. 강 대표는 "미국의 대형 운용사 중 한곳인 피델리티인베스트먼트 고객 중 자산이 100만달러 이상인 고객은 DC형(확정기여형)과 IRA 계좌를 합쳐 75만명이 넘는다"며 "피델리티의 퇴직연금시장 점유율이 약 20%임을 감안하면 100만달러 이상의 퇴직연금 계좌를 보유한 이들이 370만명을 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표는 "미국에서는 어떤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했는지 정확히 따져보고 입사하는 문화가 정착돼 있다"며 "반면 한국에서는 회사가 어떤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했는지 확인하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라고 지적했다.

2005년 도입해 어느덧 18년이 된 국내 퇴직연금시장은 여전히 정체 상태다. 그 결과 현재 330조원에서 2030년 1000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퇴직연금시장의 연평균 수익률은 최근 10년 기준 2.7%에 머물고 있다. 미국은 퇴직연금이 최근 10년간 연수익률 8%를 웃돌면서 노후 대비를 위한 재원으로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강 대표는 "미국에서 DC형 연금자산의 70%가량을 주식형 펀드 등에 투자하고 있고 채권형 펀드를 포함하면 80%에 이른다"며 "반면 2021년 기준 한국의 DC형 계좌의 펀드 투자 비중은 16.8%에 그치고 있고 주식형 펀드 비율은 10%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일본도 DC형 계좌의 펀드 투자 비중이 지난해 3월 말 기준 55%에 이른다.

다음달부터 의무화되는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으로 퇴직연금 규모나 수익률 면에서 반전의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특히 장기 수익률 향상에 디폴트옵션이 기여할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유정화 삼성증권 연금본부장은 "최근 3년간 DC형과 IRP의 업권별 성장률을 보면 은행 17%, 보험 8%였던 반면, 증권은 34%에 육박했다"며 "이는 연금을 그냥 방치하는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투자자 수요가 커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진 한화자산운용 채널연금마케팅본부장은 "실적 배당형 상품 투자를 유도해 결국 장기적으로 운용 성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자본시장 대토론회에서는 디폴트옵션 제도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 손질이 이뤄지고 가입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진 미래에셋증권 연금본부장은 "디폴트옵션을 선제적으로 도입한 호주는 2년 미만 수익률을 공시하지 않고 있고 영국에서도 5년 이하 수익률은 공시하지 않고 있다"며 "한국은 단기 수익률 위주로 공시하고 있어 정책적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범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